소개글
"한국 전쟁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전쟁과 전후 한국사회
1.1. 한국전쟁의 정치·경제·사회적 영향
1.2. 분단 이후 남북한 사회체제 변화
1.3. 한국전쟁과 국가형성
1.4. 민간인 학살과 전후 정치
1.5. 전쟁과 남북한 관계 단절
2. 한국전쟁이 개인의 삶에 미친 영향
2.1. 이산가족의 문제
2.2. 과도한 군사비 지출
2.3. 통일에 대한 인식 변화
2.4. 불안한 안보와 의무적인 군대
3. 한국전쟁이 사회에 미친 영향
3.1. 분단의 폐해
3.2. 분단의 속성 문제
3.3. 불안한 안보
3.4. 변화된 통일 환경
4. 해결 방안 모색
4.1. 남북한 개별 국가성의 강화
4.2. 통일의 '비용'과 '편익' 고려
4.3. 남북한 접촉지대 확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전쟁과 전후 한국사회
1.1. 한국전쟁의 정치·경제·사회적 영향
한국전쟁은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전쟁이 끝나지 않은 상태로 장기화되면서 그 영향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한국의 정치·경제·사회질서는 휴전이 정치사회적으로 내재화된 결과이다. 전쟁의 기억은 사회화되어 한국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1950년대 이후 한국은 전쟁이 정치와 사회의 운영원리로 정착된 상태이다. 한국전쟁은 세 가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미소의 대리전으로, 두 번째는 내전 및 혁명전쟁으로, 세 번째는 이를 절충한 관점이다. 한국전쟁은 국내적 성격과 국제적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전쟁의 내전적 성격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당시 해방된 한국은 시민혁명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나, 정치갈등과 폭력이 전쟁이라는 형태로 발현되었다. 전쟁은 체제변화를 초래하며 시민혁명적 결과를 가져왔다.
한국전쟁은 한국의 국가연원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쟁은 정치, 경제, 사회 등 전후 한국의 각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당시 건국헌법은 자유주의 시장경제가 아닌 강력한 국가개입의 사회적 시장경제와 사회민주주의를 추구하였으나, 1954년 전후헌법은 시장경제체제로 변화하였다. 이는 이승만 정부의 대미전략에 따른 것이었다. 한국전쟁 이후 흑백논리적 사고가 인정받고 중도적 사고가 용납되지 않는 사회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또한 미군정에 불만을 가진 좌익 세력의 항쟁이 일어나게 되었다.
한국전쟁은 이승만 정권을 반석 위에 올려놓았으며, 미군의 주둔과 미국의 경제지원, 강력한 반공주의가 국가이념으로 작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승만의 친미외교는 국제연합에 대한 신뢰 강화로 이어졌고,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국의 경제성장과 민주화에 기여하였다.
한편, 북한의 국가형성과정도 남한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김일성의 목표도 남한을 무력으로 통일시키는 것이었고, 경찰·군사력의 증대에 집중하였다. 다만 남한의 국가형성이 외생적 과정이었다는 점, 국가체제가 역행적으로 형성되었다는 점, 북한의 존재가 큰 역할을 했다는 점, 군대와 경찰의 영향력이 컸다는 점 등의 차이가 있다.
전쟁기간 동안 미군은 막대한 군사·경제원조를 제공하였고, 이에 따라 한국의 국방비와 경찰비가 대폭 증가하였다. 세출에서 국방비와 경찰비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고, 해외원조 규모도 크게 늘어났다. 이는 한반도에 신흥자본주의를 대두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2. 분단 이후 남북한 사회체제 변화
분단 이후 남북한 사회체제 변화는 다음과 같다.
남한은 1953년 휴전 이후 이승만 정부를 거쳐 군사정권으로 이어지며 시장경제체제와 반공주의 체제를 구축하였다. 이승만 정권은 한국전쟁 이후 미국의 원조를 바탕으로 경제개발을 추진하였으나, 1950년대 중반까지 정치적 불안정과 군부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1961년 군사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은 반공체제를 더욱 강화하고 경제개발정책을 추진하여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제한되고 권위주의 체제가 강화되었다. 이후 1980년대 말 민주화운동을 거쳐 1987년 민주정부가 수립되었지만, 반공주의와 이념대립은 여전히 남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한은 1953년 휴전 이후 김일성 주도의 유일지배체제를 구축하였다. 북한은 토지개혁과 중공업 중심의 경제개발을 통해 사회주의 체제를 강화하였고, 주체사상과 군사노선을 내세우며 반자본주의, 반제국주의의 노선을 견지하였다. 1960년대부터는 김일성 1인 지배체제가 공고화되었고, 1970년대 이후에는 김정일 후계체제가 구축되었다. 이후 북한은 핵개발과 남북대결 노선을 고수하며 고립주의와 계획경제체제를 유지해왔다.
요컨대, 분단 이후 남북한은 상이한 이념과 체제를 수립하며 대립해왔다. 남한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민주주의를 발전시켰지만, 반공주의와 권위주의적 통치가 지속되었다. 북한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와 유일지배체제를 강화하며 폐쇄적인 국가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남북한 체제 간 대립과 갈등은 한반도 분단 구조를 고착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1.3. 한국전쟁과 국가형성
한국전쟁은 한국의 국가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전쟁 이전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배에서 해방되었으며, 이에 따라 누적되어온 사회경제적 갈등관계를 청산할 시민혁명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1946년경부터 시작된 정치갈등과 자주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민족구성원 내부의 정치폭력이 전쟁이라는 왜곡된 형태로 발현되었다. 전쟁은 체제변화를 초래하는 등 시민혁명적 결과를 불러왔다는 점에서 한국전쟁의 내전적 성격을 드러낸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의 국가형성은 미국 주도의 외생적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한국의 국가형성이 한국의 자발적 과정이 아니었으며, 국가체제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재조정을 거치는 역행적 과정을 거쳤다. 또한 북한의 존재가 국가형성과정에서 큰 역할을 했고, 군대와 경찰의 영향력이 매우 컸다.
미국은 한국전쟁 기간 동안 연간 3~4억 달러의 직접군원과 1...
참고 자료
브루스 커밍스. (2001).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 서울 : 창작과비평사.
브루스 커밍스. (1986). 한국전쟁의 기원 上, 下. 서울 : 도서출판 청사.
김동춘. (2006). 전쟁과 사회 – 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경기도 파주 : 돌베개.
윌리엄 스툭. (2001). 한국전쟁의 국제사. 서울 : 푸른역사.
와다 하루키. (1999). 한국전쟁. 서울 : 창작과비평사.
한성훈. (2014). 가면권력 : 한국전쟁과 학살. 서울 : 후마니터스(주).
김학준. (2003). 한국전쟁 – 원인, 과정, 휴전, 영향. 서울 : 박영사.
백학순. (1999). 국가형성전쟁으로서의 한국전쟁. 경기도 성남 : 세종연구소.
한국전쟁연구회. (2000). 탈냉전시대 한국전쟁의 재조명. 서울 : 백산서당.
김학준, 이원복, 박흥용 스튜디오. (1990). 한국전쟁. 서울 : 동아출판사.
김행선. (2009). 6.25전쟁과 한국사회문화변동. 서울 : 선인.
김학원. (2010). 역사학의 시선으로 읽는 한국전쟁 – 사실로부터 총체적 인식으로. 서울 : 청아문화사.
역사문제연구소. (2010). 한국전쟁에 대한 11가지 시선 – 한국, 동서독, 프랑스, 폴란드, 헝가리…. 서울 : 한영문화사.
기광서 외 7명. (2014). 한국전쟁기 남·북한의 점령정책과 전쟁의 유산. 서울 : 도서출판 선인.
구도완, 한국사회문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강주원. 압록강은 다르게 흐른다-문화인류학자의 눈으로 본, 국경과 국적을 넘어 아웅다웅 살고 오순도순 지내는 사람들 이야기. 눌민
이기후(2008), 한반도 분단과정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임정현(2010), 분단국 통일 사례와 남-북한 통일정책,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경향신문, 국가신뢰도, 보수정권 9년간 답보, 2017.08.16
http://v.media.daum.net/v/20170816060156240
김연철, 70년의 대화 – 새로 읽는 남북관계사, 2018.01.30
김영하, 다문화사회와 새터민 청소년의 교육문제, 2010
엄찬호, 역사와 치유 - 한국현대사의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2007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 왜곡 현수막…경찰에 고발, 2018.01.17.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17/0200000000AKR20180117042700053.HTML?input=1195m
주승현, 조난자들 - 남과 북,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이들에 관하여, 생각의 힘(2018)
중앙일보, 한국 보수주의의 위기, 2018.03.02.
인트로뉴스, 6·25전쟁이 한국 정치와 사회에 미친 영향⑤, 2010.06.22
“탈북민 평균 임금, 일반 국민 평균의 67%”
http://www.yonhapnewstv.co.kr/MYH20160731010400038/
투데이 신문, 식을 줄 모르는 ‘비트코인’ 열풍…한탕주의·물질만능주의 그늘?, 2017.12.21
http://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34
IT CHOSUN, 평창올림픽 공격 해커, 일부러 북한 흔적?, 2018.03.18.
http://it.chosun.com/news/article.html?no=2848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