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주선율문화의 특징을 가진 한국영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패왕별희'를 통해 살펴보는 중국과 한국의 전통 연극 비교
1.1. 경극
1.2. 창극
2. 중국영화사
2.1. 1980년대 이전
2.1.1. 중국영화 시대구분
2.1.2. 문화대혁명과 중국영화
2.2. 5세대 영화
2.2.1. 5세대 영화의 정의와 특징
2.2.2. 5세대 영화의 주요의식
2.2.3. 5세대 감독과 작품
2.3. 6세대 영화
2.3.1. 톈안먼 사건과 중국영화
2.3.2. 6세대 영화의 정의
2.3.3. 6세대 영화의 특징
2.3.4. 6세대 감독과 작품
3. 스페인 대중음악과 한국 대중음악의 특징
3.1. 스페인 대중음악
3.1.1. 정의
3.1.2. 각 시대별 대중음악의 종류와 특징
3.2. 한국 대중음악
3.2.1. 정의
3.2.2. 각 시대별 대중음악의 종류와 특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패왕별희'를 통해 살펴보는 중국과 한국의 전통 연극 비교
1.1. 경극
경극은 중국 희곡 중 하나로, 대극(大劇) 혹은 국극(國劇)이라 불리며, 한의학, 중국화와 함께 중국의 3대 국수(國粹)로 여겨지고 있다. 베이징 지역에서 발달한 음악극이라는 뜻에서 흔히 '베이징 오페라'로 불리는 경극은 음악과 춤, 연극이 합쳐진 종합예술로 철저히 정형화한 몸짓과 더불어 호화로운 의상과 짙은 화장이 특징이다. 또한 극본, 연기, 음악, 소도구, 분장, 의상 등의 예술적 요소를 다채롭게 결합시킨 총체적 예술로 서양의 공연예술과는 달리 상징적으로 세련되게 표현한다.
경극의 배역은 크게 남자 역인 '생(生)', 여자 역인 '단(旦)', 얼굴에 그림을 그린 배역인 '정(淨)', 어릿광대 역인 '축(丑)'의 넷으로 나뉜다. '생'은 남자역으로 노생(중년), 소생(청년), 무생(무술을 하는 남자), 왜왜생(어린 남자아이), 홍생(빨간색 분장의 긴수염의 문무관)으로 나뉘어진다. '단'은 정단(조용하고 점잖은 여성), 화단(자유분방한 여성), 규문단(요조숙녀), 도마단(무술을 하는 여걸), 노단(노파역)으로 나뉜다. 배우가 여러 배역을 맡지 않고 평생 한 배역만 맡는 것도 또 하나의 특징이며 경극에서 얼굴에 칠한 색은 인물 성격을 표현한다.
다른 많은 전통극과 마찬가지로 노래·대사·동작·액션 등으로 구성되는 형식연극으로, 노래가 중시되고 무용에 가까운 동작은 격렬하면서도 아름답다. 호궁과 징·북을 중심으로 한 반주의 선율과 리듬이 극의 기조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의상은 명(明)나라 때의 복장을 기초로 한 초시대적인 전통극 고유의상이다. 현재 대본이 전해지는 작품은 약 2천 편으로 그 중 300여 편이 활발히 공연되고 있으며, 주로 역사적 사실이나 설화를 경극으로 각색한 작품들로 무거운 주제보다는 희로애락과 풍자를 앞세운다.
경극 등장 인물의 성격과 심리상태는 동작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배우가 눈을 얼마나 크게 뜨고 눈동자를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인물의 감정 변화를 파악하게 되며, 손동작 하나하나에도 의미가 담겨 있다. 경극은 단순한 연극이 아니라 독특한 전통 문화와 예술이 융합된 종합적인 공연예술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1.2. 창극
창극은 창(소리)으로 엮어가는 연극을 뜻하는 말로, 판소리를 연극화하여 전통음악을 사용하는 음악극으로서 '국극'이라고도 한다"" 창을 중심으로 극적인 대화가 구성되어 연출되는 민속극으로 판소리에 바탕을 두고 있어도 또 판소리와는 다른 면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판소리의 경우 연극적인 표현과 구성이 약했고, 본질적으로 연극이라고 할 수 없는데, 창극화(唱劇化)시킴으로써 연극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창극은 본래 판소리로부터 나왔지만 판소리와 가장 큰 차이점은 배역에 있다"" 판소리가 고수의북 장단에 맞추어 소리꾼 혼자서 일정 내용을 2-3시간에 걸쳐 모두 소화하는 것에 비해, 창극은 판소리에 서양의 연극형태를 첨가하여 각각의 배역을 나누어 분창하는 특징이 있다"" 즉, 각자 사람에서 동물까지 소화하는 역할이 있을 뿐 아니라, 오페라나 연극처럼 다양한 소도구와 무대정치를 이용해 보다 대중적인 호응을 얻을 수 있도록 변형된 판소리의 형태이다""
극은 판소리 선율로 짜여지며 흔히 국악관현악 반주가 딸린다"" 한편 배역 결정에 있어서 오페라에서는 주로 성역(聲域)에 따라 배역이 결정되기도 하는데 이를테면 젊은 여자 주역은 소프라노, 그 상대가 되는 여자역은 메조 소프라노(혹은 알토), 젊은 남자 주역은 테너, 그 상대가 되는 남자역은 바리톤(혹은 베이스)으로 정해지는 예가 있으나 창극에서는 남녀의 성별은 있어도 성역의 구분은 없다"" 따라서 창극의 배역결정은 성역에 의하지 않고 연기자의 개성과 기능에 의한다"" 다만 음질(音質)은 배역 결정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창극은 극중인물의 창과 대사, 그리고 무대 밖에서의 도창(導唱)으로 엮어가므로 이 세 가지를 적당히 배합하여야 한다"" 창극은 주로 몸동작 보다는 소리에 더 큰 비중을 둔다"" 창극은 판소리형 가락으로 부르는 것이 원칙이므로 대본에서 창 및 도창으로 불리는 부분은 판소리 사설과 같이 4·4조의 운문으로 쓰는 것이 무리가 없다"" 창극 연기자들은 신극적인 연기에서 벗어나 판소리에 있는 아니리(대사)와 발림(형용동작)을 주로 연기에 사용한다""그러나 아니리와 발림(혹은 너름새)만으로는 창극 표현이 부족하다"" 창극이 우리나라 고유의 연출과 연기를 발휘하려면 한국적인 민속에서 창극의 극적 요소와 연기면을 보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탈춤·가면극·인형극의 극적 형식을 가미시킴으로써 창극은 서구적인 연극 형태를 빌리지 않는 독특한 고유의 우리 창극으로 무대화할 수 있다""
2. 중국영화사
2.1. 1980년대 이전
2.1.1. 중국영화 시대구분
중국 영화의 시대구분은 영화 자체의 흐름에 따라 출현한 경향에 초점을 맞추었다기보다는 정치적인 변동에 의한 인위적인 구분이라고 할 수 있다.
1세대는 중국 최초의 영화(1905)에서부터 시작하여 1930년대까지 활동했던 영화매체를 처음 접한 초기의 개척자이다. 정정추(鄭正秋), 장스촨(張石川)을 대표로 하는 이들은 기본적으로 미국영화의 영향을 받은 상업영화의 옹호자들이다.
2세대는 유성영화 시대로 넘어간 1930년대 말에서 1940년대 초, 항일 전쟁과 국공 내전을 겪으면서 이념과 사회의식이 반영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추구했던 세대이다. 이에 따라 예술성을 지향하는 자유주의 성향이나 사회적 의의를 강조하는 좌익 성향으로 발전한다.
3...
참고 자료
네이버 영화정보 http://movie.naver.com
네이버 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
이옥강이 연출하는 중국경극의 명장면 패왕별희 http://blog.naver.com/erin0507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preview.britannica.co.kr
연합이매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225&aid=0000004062
조준현(2009) 영화로 읽는 중국 역사와 경제, 오름
김미정(2008) 영화로 보는 중국문화이야기, 신아사
이종희(2000) 중국 영화의 어제, 오늘, 내일, 책세상
최환(2005) 중국 영화의 이해와 감상, 영남대학교 출판부
안상혁·한동구(2008) 중국 6세대 영화, 삶의 본질을 말하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제영미(2003) 중국 5세대 張藝謀 감독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민족의식, 동의대, 2003
BIFF Forum(2013) 중국영화와 인문주의 스펙트럼, 부산국제영화제 연구소, 2013
현준, 신현준의 WORLD MUSIC속으로 : 레게에서 아프로비트까지, 웅진닷컴
최선화, 스페인 현대음악 입문, 음악춘추사
이석원, 현대음악(아방가르드에서 포스트 모더니즘까지),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일우, 서유럽의 민속음악과 춤(아일랜드에서 스페인까지), 한양대학교 출판부
박을미, 서양음악사 100장면, 웅진닷컴
최선화, 스페인현대음악 입문음악, 춘추사출판 64p2~67p2,98p3~98p7,121p1~3
신현준, 신현준의 월드뮤직 웅진닷컴 83p2~3,60p3~8 ,67p8~24
문강형준(2010.). 우상의 황혼 : 한국사회에서 아이돌은 어떻게 소비되는가?. ≪시민과 세계≫, 제17호, 281~296.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
[출처]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 진출 연대기: 김시스터즈부터 방탄소년단까지(제8회)|작성자 kocca_music
[네이버 지식백과] K팝 뮤직 비즈니스 (뮤직 비즈니스, 2015. 11. 1., 커뮤니케이션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