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플라스틱 열분해 과정 원리와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생활폐기물의 정의 및 특징
1.2. 생활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필요성
2. 생활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2.1. 생물학적 처리 방식(MBT)
2.2. MBT 방식의 장단점
2.3. MBT 처리 공정
3. 생물학적 처리로 생산되는 액상연료
3.1. 바이오디젤
3.2. 바이오에탄올
3.3. 열분해 재생연료유
4. 생활폐기물의 메탄발효
4.1. 메탄발효 원리 및 과정
4.2. 메탄발효 공정방법
5. 생활폐기물의 호기성 퇴비화
5.1. 특징 및 장단점
5.2. 퇴비화 공정의 온도변화
6. 생활폐기물의 수소발효
6.1. 배경 및 특징
6.2. 수소발효 공정방법
7. 생활폐기물의 사료화
7.1. 습식, 건식, 발효 사료화
8. 결 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생활폐기물의 정의 및 특징
생활폐기물의 정의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생활폐기물이란 "일반가정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서 종류와 상태가 일반쓰레기와 유사한 폐기물"을 말한다. 생활폐기물에는 음식물쓰레기, 종이, 플라스틱, 유리 등 일반적인 생활쓰레기와 같은 폐기물이 포함된다.
생활폐기물의 주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생활폐기물은 발생원이 매우 분산되어 있어 집약적인 수거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생활폐기물은 대부분 가연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열량이 높고 부피가 큰 편이다. 이에 따라 생활폐기물의 처리 시 부피 감량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된다. 마지막으로 생활폐기물에는 기저귀, 고양이 모래 등 위생적으로 민감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위생관리가 필수적이다.
1.2. 생활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필요성
생활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생활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는 폐수나 폐기물 처리와 함께 메탄이라는 에너지 회수를 위해 적용된다. 생활폐기물에는 분해가능한 유기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혐기성 소화 과정을 통해 메탄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나무와 풀과 같은 유한적인 친환경적 자원의 이용보다 인간이 사용한 후 발생된 폐기물, 다시 말해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인자를 재활용 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하기 때문에 환경오염 방지와 대체에너지 활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석유가 고갈되고 있는 시점에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수단으로 가솔린 대체연료인 바이오알코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최근 50년간 급격히 상승하여 환경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므로, 생활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를 통한 바이오에너지 생산은 화석연료 대체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생활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는 유한한 자원의 고갈 문제와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2. 생활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2.1. 생물학적 처리 방식(MBT)
생활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방식인 MBT(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는 생활폐기물을 기계적, 생물학적 공정을 이용하여 폐기물 내 재활용 가치가 있는 물질을 선별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최종 처리하는 양을 감량하는 것이다.
MBT 방식은 기계적인 분리와 선별 시스템, 생물학적인 안정화 시스템이 주요 축을 이루고 있다. 매립이나 소각의 전처리 개념에서 출발하였으며, 공정 중에 생분해성 물질과 가연성 물질을 최대한 회수하게 되므로 처리된 잔류물에는 유기탄소성분과 오염물질이 최소화 되어있다.
기계적 공정에는 파봉, 파쇄, 선별(비중, 입도, 자력선별 등), 건조, 고형연료 제조 등이 포함되고, 생물학적 공정에는 생물학적 건조, 바이오가스화, 퇴비화 등이 해당된다. 생활폐기물 내 수분을 비롯하여 불순물과 입자의 크기, 유기물의 분리 등을 통해 양질의 폐기물을 선별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생산하는 연료는 고형연료인 RDF라고 불린다.
MBT 방식의 장점은 자원의 재활용과 에너지 회수 측면에서 유리하며, 소각설비에 비해서 설치비와 운영비가 저렴하고 배기가스 중 유해물질 제거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반면 단점은 국내 실적이 많지 않고 안정적인 RDF 수요처 확보가 부족하며, 폐기물 수분함량에 따라 제품 생산량과 품질 변동이 심하고 소각설비에 비해 매립량이 많다는 것이다.
MBT 처리공정은 생활폐기물을 투입하여 파봉과 파쇄, 선별 후 건조 분쇄하여 고형연료(RDF)를 생산한다. 이후 화력발전소, 시멘트공장, RDF 발전시설 등에 공급한다. 파봉과 파쇄 과정에서 선별된 유기물은 유기물 처리시설로, 철,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유가물은 재활용, 불연물은 매립된다.
2.2. MBT 방식의 장단점
MBT 방식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MBT 방식의 장점은 자원의 재활용과 에너지 회수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점...
참고 자료
강의자료 ‘생활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I, II’ - 환경보건학과 한선기 교수
생활폐기물관리 이채영 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20.02.01
신 폐기물처리 윤석표, 권영식 외 3명 저 | 동화기술 | 2012.03.10
폐기물처리개론 (황재석외) 황재석 저 | 동화기술교역 | 2001.08.10
환경과 생활 속의 화학 American Chemical Society 저 | 김현주 외 2명 역 | 자유아카데미 | 2016.02.25
윤지로(2021.04.18.), “넷플릭스 인기 다큐 ‘씨스파라시’ 주장 어디까지 사실일까 [FACT IN 뉴스]”, 세계일보
김효윤(2021.05.20.), “[국민의 기업]탄소 중립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환경과 기후변화 대응 지원 강화해야”, 중앙일보
한선기, 이채영(2020), 생활폐기물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한선기(2019), 생활폐기물관리 강의록 4~5강
주소현(2021.05.20.),“코로나는 기후위기 ‘시험대’…탄소절감, 세계인 함께 나서야” [H.eco forum 2021-기후위기시계를 마주하다③], 헤럴드경제
김한식(2021.05.17.), “GIST, 빛 활용 이산화탄소→비천연 아미노산 전환기술 개발”, ETNEWS
중국의 건축폐기물 처리에 대한 국내외 비교분석 (2010) 하웅수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7) 이지윤, 김영주
국내 건설폐기물 활용 현황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2003) 장재명 외 2인
자원순환의 관점에서 본 폐유리의 활용방안 (2016) 송훈
폐유리를 활용한 불연 무기물 발포 보드 개발 및 성능평가 (2019) 김현수 외 4인
폐콘크리트 재생 디자인의 연구, 공공 의자를 중심으로 (2020) 지앙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