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문장완성검사 해석에 대한 예시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성격검사 유형
1.1. 인벤토리형 성격검사
1.1.1.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1.1.2. 한국 아동인성평정척도
1.2. 투사법검사
1.2.1. 로르샤하 잉크반점검사
1.2.2. 아동용 회화통각검사
1.2.3. 인물화검사
1.2.3.1. 그림의 순서
1.2.3.2. 그림의 비교
1.2.3.3. 그림의 크기
1.2.3.4. 그림의 위치
1.2.3.5. 인물의 움직임
1.2.3.6. 왜곡과 생략
1.2.3.7. 선의 성질
1.2.3.8. 인물화의 특징
1.2.4. 집-나무-인물검사
1.2.5. 문장완성검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성격검사 유형
1.1. 인벤토리형 성격검사
1.1.1.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는 Achenbach와 Edelbrock(1983)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만든 CBCL을 오경자 등(1997)이 국내에서 만 4~17세를 대상으로 표준화한 것이다. K-CBCL은 미국판 CBCL/4-18을 토대로 사회능력척도와 문제행동증후군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능력척도는 친구나 또래와 어올리는 정도, 부모와의 관계 등의 사회성을 평가하는 사회성척도와 교과목 수행정도, 학업수행상의 문제 여부 등을 평가하는 학업수행척도 등의 2개 척도 그리고 총사회능력 점수 등 모두 3개로 이루어져 있다. 문제행동증후군척도는 119개의 문제행동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항목은 0점(전혀 없다), 1점(가끔 보이거나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2점(자주 있거나 심한 경우)의 3점 척도로 평정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문제행동증후군척도는 해당 문제행동항목들의 합으로 계산한다. 문제행동증후군척도에는 위축, 신체증상, 우울/불안 등의 내재화문제, 비행, 공격성 등의 외현화문제 등 모두 10개의 문제행동증후군척도, 4~11세에만 적용되는 특수척도인 성문제척도, 우리나라특유의 정서불안정척도 및 총문제행동척도 등 모두 13개의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CBCL은 부모가 평정하도록 되어 있고 부모용 문항을 아동 ? 청소년 자신이 보고할 수 있도록 만든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Youth Self Report: YSR, Achenbach, 1991)와 교사용 아동행동평가척도(chikl Behavior Checklist Teachers Report Form: CBCL-TRF, Achenbach & Edelbrock, 1986)도 있다.
이처럼 K-CBCL은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을 다각도로 평가하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로, 부모, 아동 자신, 교사 등 다양한 정보제공자의 보고에 기반하여 아동의 전반적인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을 진단하고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행동, 정서, 사회성 등의 여러 측면에서 아동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담 및 치료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1.1.2. 한국 아동인성평정척도
한국 아동인성평정척도(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KPRS)는 아동의 심리적 장애나 정신과적 문제를 선별 진단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 보호자 평정을 통해 아동의 인지 · 정서 · 행동의 문제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KPRS는 국내의 한 소아정신과에서 최근 10년 이상 수집한 임상자료와 DSM-IV, ICD-10에서 아동 · 청소년 정신장애와 관련된 내용, 아동평가와 관련된 문헌 및 저자들의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외국의 경우 CBCL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아동행동 평가도구가 제작되어 여러 장면에서 연구 · 활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보호자의 보고를 토대로 아동의 정신건강이나 심리적인 문제를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아동용 인성검사가 없다는 측면에서 KPRS가 개발되었다.
KPRS는 무응답(?), 검사-재검사(T-R), 허구(L), 빈도(F) 척도 등 4개의 타당성척도와 자아탄력성척도(ERS) 및 10개의 임상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문항수는 총 177문항이다.
또한 KPRS와 동일한 문항을 사용하여 아동보고용으로 개발된 한국 청소년성격검사(Korean Child Personality Inventory for Self Report: KAPI-S), 교사가 평정하도록 개발된 한국아동성격검사 교사평정용(Korean Child Personality Inventory for Teachers: KCPI-T)이 있다. 이처럼 세 가지 검사는 척도의 구성 내용과 측정 영역이 동일하므로, 한 아동을 대상으로 동시에 실시하면 각각의 장면에서 아동의 문제행동을 전반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제공자의 지각의 차이를 분명히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KPRS는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의 선별진단뿐만 아니라 학교장면에서 심리적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여 1차적 ...
참고 자료
최진숙, 「투사 그림검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美術治療硏究, Vol.21 No.1, 2014.
오세진 외, 2015, 제 5판 인간행동과 심리학, 학지사
https://youtu.be/LRoOvRzHjjk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876&contents_id=112176
http://koolkool99.com/1032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