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서 및 행동장애의 정의와 개념
1.1. 정서장애의 정의
정서장애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거나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증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서적 장애에는 우울증, 불안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양극성 정동장애(조울증) 등이 포함된다. 정신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이며 전체 인구의 약 3% 정도가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
1.2. 행동장애의 정의
행동장애란 자신의 행동을 적절하게 통제하지 못하여 사회적 규범을 위반하는 비행이나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의 결여로 인해 발생하며,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등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행동장애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사례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품행장애, 반사회적 성격장애 등이 있다. 이러한 행동장애는 사회적응력 저하, 낮은 자아존중감, 또래와의 관계 형성 실패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
1.3. 정서 및 행동장애의 법적 정의
우리나라 특수교육법에서는 또래집단의 규준이나 기대 수준을 벗어나 사회적 관계나 감정 조절, 주의 집중력 등이 자신과 타인의 기능을 방해하며, 대인관계와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정서 및 행동장애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지적·감각적 기타 건강상의 이유로 학습에 어려움을 지닌 사람,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어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 일반적인 상황에서 부적절한 행동이 나타나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신체적인 통증이나 기타 공토로 인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을 정서 및 행동장애자로 규정하고 있다."
2. 정서 및 행동장애의 특성
2.1. 사회적 기술 및 대인관계의 어려움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들은 사회적 기술과 대인관계 형성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대부분의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들은 또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대인관계에서 필요한 기본 사회적 기술, 즉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는 방법, 타인과 의사소통하는 기술 등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때로는 부적절한 행동으로 인해 또래나 교사로부터 배척당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공격적이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