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상담지도 프로그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도서관 상담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아동센터의 발달과정
2.1. 공부방의 역사
2.2. 지역아동센터의 법제화와 발전

3.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
3.1. 아동복지 증진 기능
3.2. 일상생활 및 학교생활 지원 기능
3.3. 가족 기능 강화 및 지원 기능
3.4. 지역사회 자원 발굴 및 지지망 강화 기능

4. 사회복지 현장실습
4.1. 실습기관 현황 분석
4.2. 실습 프로그램 계획 및 진행
4.3. 실습생의 역할과 경험

5. 지역아동센터의 과제와 발전 방향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아동센터는 아동복지법 제52조 제1항 제8호에 근거한 아동복지시설로 18세 미만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지역사회 아동의 건전 육성을 위하여 보호·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아동복지 이용시설로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어 지역사회 아동복지시설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가 법제화되기 이전의 공부방 시기에는 부모들이 먹고사는 문제로 일을 해야만 했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방임되고 방치된 아이들을 돌보며 교육을 시켜주고 식사를 제공해 주며 자선을 베풀었다고 한다면, 법제화 이후 아동복지시설로 체계를 잡아가고 돌봄이 필요한 아동을 발굴하기도 하지만 돌봄의 필요 때문에 지역아동센터를 직접 선택하여 이용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2. 지역아동센터의 발달과정
2.1. 공부방의 역사

공부방의 역사는 1960년대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개발로 형성된 도시 빈민이 판자촌에 모여들면서부터 시작이다. 이들은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저학력, 무자본으로 할 수 있는 공장의 단순직 노동자, 일용직 막노동자, 파출부나 행상, 노점상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였다. 저소득층 부모들은 생계를 위해 맞벌이를 했기 때문에 자녀를 보호할 수 없었고, 저학력으로 자녀 교육 능력이 없었으며, 이에 따라 결손가정이 증가하고 방치 아동이 82만 명에 이르렀다.

이에 빈민지역 내의 방임된 영유아를 위한 민간 비영리 탁아소가 1978년부터 운영되었고, 1986년부터 학령기 아동을 위한 공부방이 지역 내에 자생적으로 조직·운영되었다. 공부방 활동이 지속되면서 일부 빈곤운동가와 공부방 교사들은 빈곤아동의 학대, 방임 문제가 심각한 것을 알게 되었고, 빈곤아동 중심의 공부방 활동을 새롭게 전개하였다.

1975년을 전후로 시작된 도시 빈민지역 주민조직운동의 하나로 학령기 이전 아동을 위한 무허가 탁아소 형태의 교육활동이 진행되었다. 청계천의 이화유치원과 사당동의 희망유치원은 지역이 철거되어 사업을 지속하지 못하였고, 하월곡동은 빈민지역이 유지되어 1977년 '똘배의 집', 1985년 '산돌공부방'이 시작되었다. 그 이전에 민중교회에서 무허가 유치원 탁아소를 운영하면서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과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청소년을 위해 야간학교 형식의 지역센터를 운영하였다.

이처럼 공부방은 1980년대 빈곤운동의 하나로 빈곤지역 주민과 아동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문화사업을 실시하던 순수한 민간차원의 조직이었다. 그리고 1990년대 들어 대도시 외곽의 빈민지역과 농어촌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2.2. 지역아동센터의 법제화와 발전

정부는 2004년 1월 아동복지법 개정을 통해 지역아동센터(구 '공부방')를 아동복지시설로 법제화하였다.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지역아동센터는 취약계층 아동들의 학습지원을 위한 단순한 공부방의 기능을 넘어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실상부한 아동복지시설로 자리매김함과 동시에 양적으로도 급증하였다. 법제화되던 2004년 당시 총 895개소의 지역아동센터가 23,347명의 아동들에게 서비스를 지원하였으나, 2019년에는 4,217개소의 지역아동센터에서 108,971명의 아동들이 참여하고 있어 시설 및 서비스 이용 아동의 수 면에서 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아동센터가 아동복지법에 근거한 법정 아동복지시설로 자리매김하면서 정부의 재정 지원과 정책적 관심의 증대에 힘입어 양적 성장을 이루었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지역아동센터는 아동복지 증진, 일상생활 및 학교생활 지원, 가족 기능 강화 및 지원, 지역사회 자원 발굴 및 지지망 강화 등의 기능이 확대되며 지역사회 내에서 필수적인 아동복지 서비스 제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지역아동센터는 법제화 이후 양적·질적 발전을 거듭하며, 취약계층 아동들에 대한 실질적이고 통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
3.1. 아동복지 증진 기능

지역아동센터의 아동복지 증진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심리적, 정서적 안정 및 건강한 신체발달을 강화하는 기능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아동복지시설로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지역사회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위해 설립되었다. 이에 따라 아동들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와 건강한 신체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 가정 아동들의 경우 가정 내에서 충분한 돌봄과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역아동센터에서 이들의 심리정서적 안정과 건강관리 등을 위한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도...


참고 자료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0). NILE_정책_이슈 2020.4.
교육부. (2018). 제 4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안).
위더스 원격 평생교육원. 평생교육경영론 교안. P95-102.
위더스 원격 평생교육원.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교안. P58-63.
고척도서관 (2018). 2018년 고척도서관 이용서비스헌장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통계) PDF.
고척도서관 (2018). 2018년 고척도서관 이용서비스헌장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검토의견) PDF.
고척도서관 (2019). 2019년 고척도서관 이용서비스헌장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통계) PDF.
고척도서관 (2019). 2019년 고척도서관 이용서비스헌장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검토의견) PDF.
서울시교육청 고척도서관. http://gclib.sen.go.kr. (2020.07.14)
국가평생교육진흥원. http://www.nile.or.kr. (2020.07.14)
국가통계포털. KOSIS. http://kosis.kr/index/index.do. (2020.07.14)
구로구 열린 데이터 광장. http://data.guro.go.kr/openinf/sheetview.jsp?infId=OA-2717. (2020.07.14)
구로구평생학습관. http://edu.guro.go.kr/lll/network/insList.do. (2020.07.14)
서울특별시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서울시민의 도서관 이용실태.
https://data.seoul.go.kr/dataList/OA-15555/F/1/datasetView.do. (2020.07.14)
참고도서 ‘지역아동센터의 이해와 실제’
서울시 지원단‘지역아동센터 길라잡이’
2022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안내
강명순 외, “지역아동센터의 이해와 실제”, 학지사, 2010
지은구 외, “지역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2019
최일섭 외,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2021년 양주시 사회조사보고서
2018 양주시 노인복지통계 요약보고서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복지넷 (http://www.bokji.net/)
양주시청 (http://www.yangju.go.kr/)
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