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광산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간호학 케이스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광주광역시 광산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간호학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리적 특성
1.2. 인구 특성
1.3. 건강 수준
1.4. 환경 특성
1.5. 오락과 휴식
1.6. 지역사회 자원
1.7. 지역사회 장점

2. 간호진단
2.1. 간호진단 실습
2.2. 간호진단 우선순위 결정

3. 지역사회 간호계획
3.1. 목표 설정
3.2. 간호방법 및 수단의 선택
3.3. 평가계획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리적 특성

광산구의 면적은 222.88㎢로 광주광역시 전체(501.19㎢)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다. 광산구는 항공·교통·철도 교통이 발달한 요충지로 호남고속도로와 호남선 철도가 관내를 경유하고 있으며 광주공항이 위치하고 있어 수도권과 광주·전남 지역을 잇는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농 복합도시로서 농산물을 외국에 수출하는 등의 도시근교농업이 발달하였으며, 하남·소촌·소촌농공·진곡·평동 등 5개의 산업단지에서 자동차, 전자부품, 타이어 등을 생산하는 등 산업개발 및 기술고도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1.2. 인구 특성

광산구의 인구 특성은 다음과 같다.

광산구 인구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2023년 2월 기준 총인구수는 399,669명이다. 광산구 전체 인구에서 인구 밀도는 1,794.91명/km²이다. 인구 분포를 보면 수완동, 첨단2동, 신창동, 운남동 순으로 인구가 많다. 신규 택지개발 지역에서는 젊은 인구 비율이 높다.

광산구의 평균연령은 36.4세로, 유소년인구 비율은 18.3%로 전국에서 3위로 젊은 도시이다. 하지만 평균수명 증가로 노인인구 비율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노인인구가 가장 많은 동은 수완동,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동은 본량동으로 농촌동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다.

광산구에 거주하는 등록외국인은 2018년 기준 12,954명으로 전체 인구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광주광역시 전체 등록외국인 22,815명 중 56.32%가 광산구에 거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별로는 월곡2동, 하남동, 어룡동, 평동 순으로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합계출산율은 전국 및 타 자치구에 비해 높지만 감소 추세에 있다. 2013년 1.465명에서 2016년 1.426명으로 감소하였다.

종합하면, 광산구는 전체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젊은 연령층이 많지만 노령화도 진행 중이다. 또한 전체 인구의 3.2%를 차지하는 외국인 주민이 많이 살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1.3. 건강 수준

주요 사망원인은 암, 심뇌혈관질환, 폐렴, 자살 순이며 암과 심뇌혈관 질환이 전체 사망률의 66%를 차지한다"". 0-14세 유소년 인구비율과 도·농 복합도시 특성으로 감염병 제2군 수두, 유행성 이하선염, 제3군 쯔쯔가무시증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만성질환 의료 이용률은 광주시 타 구에 비해 높은 편이나 전국 수치(18.22)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를 보인다"". 고혈압 진단 대상자의 치료율은 광주시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이지만, 연령별 표준화 사망률 70세 이상은 광산구(73.3%)>광주시(71.6%)>전국(64.6%) 순으로 높다"".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1, 2차 모두 광주, 전국에 비해 높으며 영유아 건강검진 수검률은 광주, 전국에 비해 낮으며 일반, 영유아 모두 2차 이상 검진율이 낮다"". 전국 수치에 비해 건강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남성흡연률, 구강건강, 스트레스 인지율에서 미흡한 양상을 보인다"". 자살률이 2016년 24.0명으로 전국에 비해 낮지만, 광주시에서 북구와 2번째로 높으며, 여자(31.2%)보다 남자(68.8%) 자살률이 2배 이상 높고, ...


참고 자료

광산구 의료계획서
광산구통계연보
지역사회간호학 - 현문사
[광주지역 다문화가족 아동 및 청소년의 구강 건강상태에 대한 조사] - 전남대학교 치의학 대학원 이용진
제 7기 광산구 지역보건의료 계획안
오마하 참고자료
광산구 통계연보 2021
광주광산구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http://www.gsgacc.or.kr/v2013/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https://chs.kdca.go.kr/chs/recsRoom/ctprvnResultMain.do
광주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100대 보건지표 보고서 http://www.giph.or.kr/diam/web/?contentId=90a4a920f7a5782f74d03b7c9fc14fb2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지역사회간호학1(개정판) 김희걸, 현문사
호남지방통계청, 「광주광역시 1인 가구·주거의 변화」, 2023.03.09.
이하나(2019), 「중년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행태 및 질병 이환 비교」, 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5개년(2013~2017) 전국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 2021
국가정신건강정보포털> 정신건강정보> 질환별 정보| 자살과 자살예방 http://www.mentalhealth.go.kr/portal/disease/diseaseDetail.do?dissId=19
광주광역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1년 광주광역시 자살 현황 분석」, 2022.12
문유정, 「우울 수준별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연구』 (제29권 1호, 2021), p.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