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리적 특성
광산구의 면적은 222.88㎢로 광주광역시 전체(501.19㎢)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다. 광산구는 항공·교통·철도 교통이 발달한 요충지로 호남고속도로와 호남선 철도가 관내를 경유하고 있으며 광주공항이 위치하고 있어 수도권과 광주·전남 지역을 잇는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농 복합도시로서 농산물을 외국에 수출하는 등의 도시근교농업이 발달하였으며, 하남·소촌·소촌농공·진곡·평동 등 5개의 산업단지에서 자동차, 전자부품, 타이어 등을 생산하는 등 산업개발 및 기술고도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1.2. 인구 특성
광산구의 인구 특성은 다음과 같다.
광산구 인구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2023년 2월 기준 총인구수는 399,669명이다. 광산구 전체 인구에서 인구 밀도는 1,794.91명/km²이다. 인구 분포를 보면 수완동, 첨단2동, 신창동, 운남동 순으로 인구가 많다. 신규 택지개발 지역에서는 젊은 인구 비율이 높다.
광산구의 평균연령은 36.4세로, 유소년인구 비율은 18.3%로 전국에서 3위로 젊은 도시이다. 하지만 평균수명 증가로 노인인구 비율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노인인구가 가장 많은 동은 수완동,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동은 본량동으로 농촌동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다.
광산구에 거주하는 등록외국인은 2018년 기준 12,954명으로 전체 인구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광주광역시 전체 등록외국인 22,815명 중 56.32%가 광산구에 거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별로는 월곡2동, 하남동, 어룡동, 평동 순으로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합계출산율은 전국 및 타 자치구에 비해 높지만 감소 추세에 있다. 2013년 1.465명에서 2016년 1.426명으로 감소하였다.
종합하면, 광산구는 전체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젊은 연령층이 많지만 노령화도 진행 중이다. 또한 전체 인구의 3.2%를 차지하는 외국인 주민이 많이 살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1.3. 건강 수준
주요 사망원인은 암, 심뇌혈관질환, 폐렴, 자살 순이며 암과 심뇌혈관 질환이 전체 사망률의 66%를 차지한다"". 0-14세 유소년 인구비율과 도·농 복합도시 특성으로 감염병 제2군 수두, 유행성 이하선염, 제3군 쯔쯔가무시증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만성질환 의료 이용률은 광주시 타 구에 비해 높은 편이나 전국 수치(18.22)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를 보인다"". 고혈압 진단 대상자의 치료율은 광주시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이지만, 연령별 표준화 사망률 70세 이상은 광산구(73.3%)>광주시(71.6%)>전국(64.6%) 순으로 높다"".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1, 2차 모두 광주, 전국에 비해 높으며 영유아 건강검진 수검률은 광주, 전국에 비해 낮으며 일반, 영유아 모두 2차 이상 검진율이 낮다"". 전국 수치에 비해 건강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남성흡연률, 구강건강, 스트레스 인지율에서 미흡한 양상을 보인다"". 자살률이 2016년 24.0명으로 전국에 비해 낮지만, 광주시에서 북구와 2번째로 높으며, 여자(31.2%)보다 남자(68.8%) 자살률이 2배 이상 높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