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유된조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연구를 통한 근거기반 간호실무
1.1. 간호사의 임상 질문 구체화 및 근거 문헌 검색 요소
1.2. 실험 연구 설계
1.2.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개념 및 식별
1.3. 연구의 타당도 위협요인
1.3.1. 내적 타당도 위협요인: 실험의 확산
1.3.2. 외적 타당도 위협요인: 실험자 효과
1.4.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연구를 통한 근거기반 간호실무
1.1. 간호사의 임상 질문 구체화 및 근거 문헌 검색 요소
간호사가 임상 질문을 구체화하거나 근거 문헌을 검색할 때 사용하는 다섯 가지 요소는 PICO(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이다. PICO는 간호실무에서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체계적인 문헌검색을 수행하는 데 유용한 틀이다.
첫째, Participants(대상자)는 해당 연구의 목표 집단으로, 연령, 성별, 질병 상태 등 대상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예를 들어 "65세 이상 노인 당뇨병 환자"로 정의할 수 있다.
둘째, Intervention(중재)은 해당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간호중재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간호활동이나 프로그램의 내용, 중재 제공 방식, 중재 제공자, 중재 제공 기간 등을 상세히 기술한다. "당뇨병 노인을 위한 자가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이에 해당한다.
셋째, Comparison(비교군)은 중재군과 비교할 대상을 말한다. 중재군과 비교할 수 있는 다른 중재, 기존 중재, 혹은 무처치 대조군 등을 명확히 규정한다. "기존의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이 비교군이 될 수 있다.
넷째, Outcome(결과)은 해당 간호중재의 결과로 기대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변수를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예를 들어 "당뇨 지식 향상, 자가관리 행위 증진, 혈당 조절 개선, 삶의 질 향상...
참고 자료
박영숙 외 1인(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주미(2019). 간호 윤리강령의 유용성. 디딤과 돌다리
이숙영, 신희선(2018). 만성 신 질환 청소년의 자기관리 경험. Journal Korean Academic Nursing, 48(3), 266-278
양야기(2019). 병원 간호사의 안전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26권 제3호
최귀순(2015).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박영숙 외 1인(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주미(2019). 고급간호연구의 유용성. 간호연구와 두드림
신경림 외. (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송은정 외(2016). 임상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4(11). 469-479
유재천, 김동규 공역. (2005). 매스미디어 조사방법론. 나남출판사.
양야기(2019). 병원 간호사의 안전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26권 제3호
박영숙 외 1인(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주미(2019). 고급간호연구의 유용성. 간호연구와 두드림
유재천, 김동규 공역. (2005). 매스미디어 조사방법론. 나남출판사.
신경림 외. (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신민철. (2007). 사회연구방법의 기초. 창민사.
양야기(2019). 병원 간호사의 안전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26권 제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