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설문지 분석과 재무관리 및 재무분석
1.1. 도시지역거주 노인들의 사회적지지와 주관적 행복감 관련성
1.1.1. 설문조사 방법
설문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5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450명이었다. G POWER 3.1.7 PROGRAM을 기반으로 한 예측변수 25개, 효과크기 0.10, 검정력 0.95, 유의수준 0.05 양측검정으로 산정 시 탈락률을 고려하여 인원을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 까지의 기간(60일)이었다. 조사방법은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 내용 및 조사방법에 대해 사전 교육을 받은 보건계열 대학생 8명의 조사원과 연구자가 조사대상 노인들을 직접 방문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면접조사는 조사원 및 연구자가 조사대상 노인들을 직접 방문하여 본 연구의 목적 및 조사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의 동의를 얻은 후 설문내용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1.1.2. 설문지 분석
1.1.2.1.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학력, 배우자의 유무, 가족유형, 생활비 부담여부, 한 달 평균 용돈 및 현재 삶에 대한 만족도가 조사되었다. 연령은 [65~74세]와 [75세 이상]으로 구분하고, 학력은 [무학], [초등학교], [중학교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배우자 유무는 [있다], [없다]로, 가족유형은 [혼자 산다], [부부만 같이 살고 있다], [가족(배우자 및 자녀)와 함께 살고 있다]로 구분하였다. 생활비 부담 여부는 [정부보조금], [자녀의 생활비 보조금], [본인(배우자)부담 또는 연금]으로 구분하였고, 한달 평균 용돈은 [50만 원 이하]와 [50만원 이상]으로 구분하였으며, 일상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 [보통], [불만족]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1.1.2.2. 건강상태
건강상태에 관한 변수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의 기왕력 유무, 신체의 부자유 유무, 청력상태, 치아상태, 시력상태, 요실금 유무 및 건망증 유무를 조사하였다.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건강하다]와 [건강하지 않다]로 구분하였고, 신체의 부자유 유무는 [있다], [없다]로 구분하였다. 청력상태와 시력상태는 [보통으로 들을 수 있다], [듣는데 지장이 있다]로, 치아상태는 [식사에 지장 없음], [치아상태가 좋지 못해 식사에 지장 있음]으로 구분하였다. 요실금 유무 및 건망증 유무는 [있다], [없다]로 구분하였다. 건강상태 또한 객관식 질의 응답을 기반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의 심도에 따라 다양한 결론이 나올 것으로 사료되는데 논문의 주제가 개인의 행복감을 조사하는 용도이기에 세부적인 건강 척도보다는 개인이 느끼는 건강 척도를 중심의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논문에 활용하고자 한 것이 인상적이다.
1.1.2.3. 건강관련행위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강관련행위 특성으로는 주관적인 수면의 질, 흡연상태, 음주상태, 규칙적 식사여부, 규칙적 운동여부, 외출 빈도 수 및 취미활동 유무를 조사하였다. 주관적인 수면의 질 평가는 Breslow[23]의 건강습관지수를 사용하여 7시간 수면시간을 기준으로 긍정 및 부정적 평가를 하였다. 흡연상태는 금연, 비흡연, 흡연으로 구분하였고, 음주 상태는 금주, 비음주, 음주로 구분하였다. 규칙적인 식사여부는 매일 규칙적으로 한다와 가끔 하거나 안한다군으로 구분하였다. 외출 빈도수는 가끔한다, 매일한다, 안한다군으로 구분하였고 취미활동 여부는 한다와 안한다로 구분하였다. 이처럼 건강과 상관관계가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포괄적인 범위에서 조사를 하였다. 이는 노인 분야에 있어 복잡한 설문이 들어가는 경우 오히려 논문의 객관성을 침해할 수 있는 우려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1.1.2.4.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도시지역 거주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특성을 Sherbourne와 Stewart가 개발한 MOS-SSS(Medical Outcomes Study-Social-Support Survey)의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MOS-SSS 설문지는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해 자주 그렇게 느끼는지를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총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지지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도시지역 거주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이는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가족, 친구, 이웃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