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직 비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이론적 배경
1.2.1. 관련 이론 고찰
1.2.2. 정의의 정의
1.2.3. 롤스의 정의론
2. 정의의 존재와 실현의 차이
2.1. 우리 사회에 정의가 존재하는가?
2.1.1. 기득권 자녀의 교육기회와 비기득권 자녀의 상대적 박탈감
3. 결론 및 제언
3.1. 한국 사회를 도덕적으로 만들기 위한 개혁안
3.2. 롤스의 정의론에 근거한 실태 분석과 정의 실현 방법
3.2.1. 사회의 노력
3.2.2. 개인의 노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최근 한국에서 정의(正義), 사회 양극화 등이 또다시 화두가 된 바 있다. 2011년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2012년에는『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그리고 2014년에는 Thomas Piketty의 『21세기 자본』 역시 선풍을 일으켰다. 이와 같은 사람들의 관심은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정의라는 관념을 결부해 반성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이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 사회에서 정의(正義)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사람들은 어떤 대답을 할까? 각자가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이며, 만약 그렇지 않다는 의견의 근거는 무엇일지 알아보며 우리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이론적 배경
1.2.1. 관련 이론 고찰
'1.2.1. 관련 이론 고찰'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의가 사회의 문제를 풀어내는 열쇠처럼 화두가 된 적이 있었다.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저서는 자유 민주 사회에서 정의와 부정, 평등과 불평등, 개인의 권리와 공동선에 관한 다양한 주장과 이견을 이성적으로 꿰뚫어 합리적 합의를 이끌고자 하였으며, 세간에 큰 주목을 받았다. 그의 철학적 방법론과 흥미로운 예시는 독자들에게 정의에 대해 다양하게 고민하게 만들었다.
샌델의 경우 공동체주의적 입장이 강하며, 상대적으로 개인의 자유주의를 간과한 측면이 있다. 그는 공동체적 자아를 상정하고, 타인을 위한 희생은 공동체가 규정하는 훌륭한 미덕이며, 개인은 공동체적 자아의 일부분이어서 자발적으로 자신을 희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국가가 이상적인 좋은 삶을 규정하고 시민들이 그 이상에 맞추어 살 수 있도록 의무를 부과하는 국가 완전주의에 해당한다.
반면에 롤스(J. Rawls)는 정의론에서 사회정의를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첫째, 국민들이 기본적 자유를 동등하게 누리고 있는가, 둘째, 사회경제적 가치의 분배에 있어서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불평등의 기준을 따르고 있는가이다. 롤스는 기본적 자유의 평등과 더불어 재화와 직위 등을 얻는 데 있어서 모든 사람들에게 기회가 균등하게 주어져야 하며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의 이익을 주는 경우 차등의 원칙이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처럼 마이클 샌델과 존 롤스는 정의에 대한 상이한 관점을 제시하였다. 샌델은 공동체주의적 입장을 취하여 개인의 자유를 간과한 반면, 롤스는 자유와 기회의 평등, 그리고 차등의 원칙을 제시하며 보다 균형 잡힌 정의관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1.2.2. 정의의 정의
정의는 우리에게 익숙한 말이다. 우리는 자주 정의로운 사회를 이야기하고, 부정의에 분노하며, 정의를 세우자는 다짐을 한다....
참고 자료
Robert Nozick., 남경희(역),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문학과 지성사. 1984
장동진, 김만권, 「노직의 자유지상주의 - 소극적 자유의 이상」, 정치사상연구 3, 한국정치사상학회, 2000
목광수, 「로버트 노직의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 철학과 현실 92호 2012년 봄호, 철학문화연구소, 2012
로버트 노직,『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ASU 번역본)
남경희 「최소국가의 이념과 자유주의적 정의론」
김우영 「로버트 노직의 사회정의론 - 소유권리론을 중심으로」
장동진, 김만권 「노직의 자유지상주의 : 소극적 자유의 이상」
장동진 「노직의 정치이론 : 최소국가론」
박창호. (2017). 사회학자의 눈에 비친 우리사회의 적폐. 문화와 사회, (), 333-337.
마이클 샌델. 2010. 정의란 무엇인가. 김명철 옮김. 김영사. Sandel, Michael J. 2010.
허병기. (2014). 롤스(J. Rawls)의 정의론에 기초한 교육정의 탐구. 도덕교육연구, 26(3), 191-213.
류방란.「」200601[RR2006-07-02] 교육격차 : 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이영미. (2018). 사회정의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박탈감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30(1), 195-218.
이재율. (2012). 헨리 조지와 존 롤스의 분배적 정의론 비교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31(1), 307-323.
김기석 (2007). 공교육으로 사회정의 실현할 수 있나. 초등우리교육, 4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