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사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발전론
1.1. 식민지근대화론이란 무엇인가
1.2. 내재적 성장론이란 무엇인가
1.3.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 식민지 근대화론 적용 타당성 검토
2. 한국근대사 연구에 대한 문제
2.1. 근대란 무엇인가
2.2.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
2.3. 한국의 근대화
3. 식민사관의 발전과 극복
3.1. 일제 강점기의 식민사관의 전개와 우리 사학자들의 대응
3.1.1. 일제 식민사관의 전개
3.1.2. 우리 사학자들의 대응
3.2. 해방 이후 식민사관의 발전과 대응사학의 전개
3.2.1. 식민사관의 발전
3.2.2. 해방 이후의 식민사학 극복 노력
3.3. 식민사관의 부정적인 영향
3.4. 민족정신으로서의 역사의 중요성과 식민사관 극복의 당위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발전론
1.1. 식민지근대화론이란 무엇인가
식민지근대화론이란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의 식민통치가 한국의 근대화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식민지근대화론에 따르면, 일본이 한국을 지배하면서 근대적인 제도와 인프라를 구축했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가 근대화될 수 있었다고 본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사유재산제도와 근대적인 행정, 사법, 토지제도 등이 시행되어 자본주의 사회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둘째, 철도, 항만, 도로 등의 사회간접자본이 크게 확충되었다. 셋째, 은행, 기업, 거래소 등의 근대적 시장기구와 근대교육시설이 도입되어 인적 자원이 육성되었다. 넷째, 신분제가 해체되고 사민평등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이다.
즉, 식민지근대화론은 일제강점기 근대화의 성과를 인정하면서, 이것이 한국의 경제성장과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는 일제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시도이자, 한국의 근대화가 일본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1.2. 내재적 성장론이란 무엇인가
내재적 발전론이란, 조선이 일제강점기를 거치지 않았더라도 자생적으로 근대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는 주장이다. 내재적 발전론은 조선 후기부터 이미 자생적인 근대화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다고 본다.
구체적으로 내재적 발전론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들고 있다. 첫째, 조선 후기 농업생산량이 증가하고 농민경제가 성장하면서 부농층이 등장했다는 점이다. 둘째, 도시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공인과 사상 등 상업자본가가 등장하여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했다는 점이다. 셋째, 이러한 경제적 변화에 따라 신분제도 동요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넷째, 실학의 발전과 천주교, 동학 등 새로운 사상의 등장으로 민중의식이 고취되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내재적 발전론은 조선 후기 이미 근대화의 싹이 자생적으로 트기 시작했다고 보며, 일제강점기는 오히려 이러한 자생적 근대화 과정을 저해했다고 주장한다. 즉, 조선이 일제의 강점 없이도 충분히 근대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는 것이 내재적 발전론의 핵심 내용이다.
1.3.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 식민지 근대화론 적용 타당성 검토
본인은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 식민지 근대화론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선 역사적·이념적 입장과는 별개로, 약 35년에 달하는 일제강점기 동안 실제로 근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한국의 산업 발전에도 영향을 끼쳤다면, 해방 이후 근대화로 인한 국부의 실질적인 증가와 민생의 개선이 있었어야 한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후반기에 접어들수록 식량 수탈과 전쟁 물자 수탈이 심화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철도나 도로 등의 사회간접자본을 확충한 것이 과연 조선 경제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없다. 또한 근대화에 핵심적인 요인인 자본가 계급의 성장이 일본에 의해 철저히 억압되었다는 점에서 식민지근대화론의 근거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제강점기의 근대화는 조선 내부의 민생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해방 이후 한국의 경제 성장은 오히려 미국의 지원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2. 한국근대사 연구에 대한 문제
2.1. 근대란 무엇인가
근대란 서양 역사상의 시대 구분이다. 근세 다음이며, 현대 이전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서양의 역사발전 단계에 따라 근대를 산업혁명 이후의 18세기, 19세기로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근대의 시작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존재한다.
학자에 따라 근대의 시작을 15세기 르네상스 또는 종교개혁 이후,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의 산업혁명 이후, 더 나아가 프랑스혁명으로 대표되는 시민혁명 이후의 사회로 정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근대의 구분에 대한 여러 논의들을 종합하여 근대의 중요한 특징들을 정의하고자 한다.
역사발전 단계에 따라 고대, 중세, 근대, 현대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이전 사회와 급격한 차이를 보이는 변화의 존재 여부이다. 여기서 이전 사회와의 급격한 차이를 보이는 변화는 정치, 사회, 경제, 문화를 모두 고려한 변화를 의미한다. 이번 장에서는 경제, 사회, 문화사적인 관점에서 근대의 변화를 네 가지로 정의하고자 한다.
첫째, 도시의 발달이다. 농업 생산량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데, 농업 생산량이 증가하여 잉여 생산물이 발생하면서 거래가 활발해지고 시장이 형성되었다. 이로 인해 더 이상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었고, 이들은 수공업자나 임노동자, 기술자가 되어 중심 촌락에 모여 도시가 형성되었다. 도시는 정치,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의 중심지로 성장하면서 전통적인 공동체에 의한 자급자족적 생활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삶의 방식을 만들어냈다.
둘째, 경제체제의 변화이다. 도시가 성장하면서 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유통과 판매 과정에서 부를 축적하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자본주의가 형성되었다. 축적된 자본이 기계에 투자되면서 공장제 기계공업의 생산방식이 구축되었고, 이는 자본주의 역사에 있어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전통적으로 토지를 통한 부의 창출이 주를 이루었지만, 산업혁명 이후 토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었다.
셋째, 새로운 신분질서에 대한 인식과 구체제에 대한 저항 의식의 등장이다.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의 발전으로 인해 노동자의 권익이 증진되었고, 이에 따라 전통적인 신분제도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었다. 기존의 특권층인 왕족과 귀족에 의해 모든 것이 이루어지던 정치제도를 없애고, 시민이 중심이 되는 사회를 지향하게 된 것이다.
넷째, 과학의 발전과 합리적, 이성적 사고의 등장이다. 18세기 유럽에 계몽주의가 등장하면서 합리성과 이성을 통해 불합리한 관습이나 전통, 종교적 광신 등에서 벗어나 세속적인 관점으로 세계를 바라보게 되었다. 천문학과 수학 등 자연과학의 발전을 통해 우주와 자연세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
참고 자료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정책평가론의 시각: 탐색적 연구, 남기범, 행정사학지, 한국행정사학회, 2019
[역사속 경제리뷰] 회사령, 어기선, 파이낸셜 리뷰, 2023.01.06.,
http://www.financialreview.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382
신용하 外(2009).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나남.
신기욱 外(2006).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삼인
김정인(2017). 식민사관 비판론의 등장과 내재적 발전론의 형성. 사학연구(125), 7-44
염정섭(2019). 1960~70년대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근세사회론. 한국사연구(184), 1-42
권내현(2015). 내재적 발전론과 조선 후기사 인식. 역사비평, 417-442.
이영호(2011). 내재적 발전론 역사인식의 궤적과 전망. 한국사연구(152), 239-272
임성수(2019). 한국사 교과서의 조선후기 서술과 내재적 발전론. 역사교육연구(34), 93-132
고동환(2009). 자본주의 맹아론과 조선후기 상업 변동. 한국사연구(147), 357-378
김두진(2019). 한국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근대성’ 인식의 재검토 : 근대성 개념의 간학문적 논의를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62(4), 33-68
배성준(1995). 특집1 : 식민지근대화론을 비판한다 1930년대 일제의 '조선공업화'론 비판. 역사비평, 133-145
조석곤(2006). 식민지 근대화론 연구 성과의 비판적 수용을 위한 제언. 역사비평, 57-75
정호훈(2019). 조선후기 실학 연구의 추이와 성과. 한국사연구(184), 75-112
차남희(1991). 후기 조선사회에 있어서의 자본주의의 농촌침투와 농민운동. 한국정치학 회보, 25(1), 75-101
홍선이(2019). 중·고등학교 교과서 實學 史料 활용의 특징과 개선 방안. 역사교육연구, (35), 85-114.
(2016). ‘한국사 교과서’ 조선 후기 신분제 내용의 劃一과 固着. 역사교육, 137, 37-73.
최윤오(2005). [사실, 이렇게 본다 1] 조선 후기 사회변동과 근대로의 이행 –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 내일을 여는 역사(22), 176-191
편집부(2003). 기획 : 조선후기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II-토론 : 조선후기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II-조선후기 신분제. 신분변동에 대한 재검토. 역사와 현실, 48, 81-103
이홍락(1997). 쟁점 내재적 발전론 비판에 대한 반비판. 역사비평, 229-242
강만길. <<한국민족운동사론>>. 서울: 서해문집, 2008.
김경수, 이영화. <<테마로 읽는 우리 역사 - 새로운 한국사 인식을 위한 우리 역사 이야기>>. 서울: 동방미디어, 2004.
김한종 외. <<고등학교 한국근ㆍ현대사>>. 서울: 금성출판사, 2007.
박섭.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해와 비판>>. 서울: 백산서당, 2004.
박찬승, 조동걸, 한영우.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서울: 창비, 2007.
백남운 저, 박광순 역. <<조선사회경제사>>. 서울: 범우사, 1999.
승천석. <<고대 동북아시아의 여명>>. 서울: 백림출판사, 2003.
신용하. <<일제 식민지정책과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6.
이도상. <<일제의 역사침략 120년>>. 서울: 경인문화사, 2003.
이만열. <<단재 신채호의 역사학연구>>.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0.
이원순, 장재정. <<일본 역사교과서, 무엇이 문제인가>>. 서울: 동방미디어, 2002.
이희진. <<식민사학과 한국고대사>>. 서울: 소나무, 2008.
정인보 저, 박성수 역. <<정인보의 조선사연구>>. 서울: 서원, 2000.
한국역사민속학회. <<남창 손진태의 역사민속학연구>>. 서울: 민속원, 2003.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 입문 3>>. 서울: 풀빛, 1996.
강만길. <민족사학론의 반성 - 민족사학을 중심으로 ->. <<역사학보>> 68 (1975): 318-320.
고영진. <해방 50년 조선시대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학연구>> 79 (1995): 46-75.
권오영. <식민사학의 극복과 고대한일관계 : 김석형 <<고대한일관계사>>>. <<한국역사연구회 회보>> 2 (1989): 18-21.
김기승. <식민지시대 민족주의 사학자들의 역사인식>. <<내일을 여는 역사>> 25 (2006): 74-89.
김일수. <이병도와 김석형 -실증사학과 주체사학의 분립->. <<역사비평>> 82 (2008): 96-125.
김태식. <4세기의 한일관계사 -광개토대왕릉비문의 왜군문제를 중심으로->. <<한일역사공둥연 구보고서>> 1 (2005): 1-72.
김태식. <광개토왕릉 비문 논쟁과 임나일본부설>. <<역사비평>> 38 (1997): 4-75.
문창로. <고대사연구 60년의 동향과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40 (2005): 358-359.
박걸순. <1910년대의 민족주의사학>. <<국학운동>> 34 (2009): 189-193.
박걸순. <1920년대의 민족주의사학>. <<국학운동>> 34 (2009): 281-287.
박걸순. <1930,40년대의 민족주의사학>. <<국학운동>> 34 (2009): 317-324.
박성진. <일제말기 녹기연맹의 내선일체론>. <<한국근현대사연구>> 10 (1999): 380-397.
박찬승. <분단시대 남한의 한국사학>.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하 (1994): 328-350.
박찬흥. <만선사관에서의 한국고대사 인식 연구>. <<한국사학보>> (2007): 9-39.
오미일. <식민지시대 사회경제사학자들의 역사인식>. <<내일을 여는 역사>> 25 (2006): 90-102.
이완재. <정인보의 한국사 인식>. <<한국사상사학>> 4, 5합 (1993): 471-491.
이종욱. <손진태의 신민족주의와 역사만들기의 정체>. <<한국사학사학보>> 115 (2005): 53-80.
조광. <민족사관과 우리의 학문>. <<나라사랑>> 114 (2004): 73.
조인성. <이병도의 한국고대사연구와 식민주의사학의 문제: <한국고대상연구>를 중심으 로>. <<한국사연구>> 144 (2009): 285-303.
전덕재. <이기백의 사학과 한국고대사 연구>. <<한국고대사연구>> 53 (2009): 8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