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복강경 충수절제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복강경 충수 절제술의 모든것
1.1. 충수염의 정의와 원인
1.2. 충수염의 증상과 진단
1.3. 충수절제술의 수술 기구
1.4. 충수절제술의 수술 과정
1.5. 마취 방법 및 주의사항
1.6. 수술 전 간호
1.7. 수술 후 합병증 및 간호
2. 성인간호학실습 -Laparoscopic Appendectomy-
2.1. 문헌고찰
2.1.1. 급성 충수염의 정의와 병태생리
2.1.2. 급성 충수염의 증상 및 진단
2.1.3. 급성 충수염의 치료
2.2. 사례연구
2.2.1. 수술 전 대상자 준비상황
2.2.2. 복강경 충수절제술의 이해
2.2.3. 수술에 필요한 기구 및 장비
2.2.4. 수술 과정 및 간호
2.2.5. 수술 중 간호활동
2.2.6. 마취 회복상태 관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복강경 충수 절제술의 모든것
1.1. 충수염의 정의와 원인
충수염은 맹장 끝에 달린 6~9cm 길이의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충수돌기는 대장의 첫 부분인 맹장에 부착되어 있는 작고 가는 관 모양의 주머니로, 그 끝이 막혀있다. 충수염은 급성 복통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충수절제술은 가장 보편적인 응급수술이다.
대부분의 경우 충수염의 원인을 명확히 알 수 없지만, 때로는 충수 내부의 폐색이 발생하면서 유발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폐색이 되면 한정된 공간 안에서 압력이 올라가고 염증이 생기면서 세균 감염이 동반되어 발생한다. 충수관이 막히게 되면 충수로부터 대장으로 향하는 정상적인 장의 연동 운동이 제한되어 고인 물이 썩듯이 저류가 일어나고, 장내 세균이 증식하여 독성 물질을 분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충수 내부 점막이 손상 받아 궤양을 형성하게 되고, 충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충수로 가는 동맥혈의 흐름이 저하되어 충수 벽의 전층이 괴사되어 천공으로 진행되게 된다.
1.2. 충수염의 증상과 진단
충수염의 증상과 진단은 다음과 같다.
충수염의 주된 증상은 복통이며, 95% 이상의 환자에서 복통이 발생한다. 초기에는 상복부에 모호한 통증이 있다가 점차 우측 하복부로 통증이 국한된다. 그러나 충수돌기의 위치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충수돌기가 골반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급후증(배변 후에도 변을 보고 싶은 증상) 및 치골 위쪽의 모호한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외에도 식욕부진, 오심, 구토(80%), 국소적 복부 압통과 발열 등이 동반된다. 또한 장 폐색 증상, 복막염, 변비, 설사 등을 주 증상으로 호소할 수도 있다.
신체 검진 시에는 미열이 흔하고, 복부 검사 시 감소된 장음과 국소적 압통, 수의적 방어 등이 관찰된다. 특히 McBurney's point(맥버니 압통점)를 눌렀다 놓을 때 통증이 발생하는 반동압통이 전형적인 소견이다. 그러나 충수돌기의 위치가 가변적이므로 통증의 최대 부위와 압통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검사 소견으로는 경증의 백혈구 증가증(백혈구 수치>10,000/μl)이 80%의 환자에서 관찰되며, 백혈구 수치가 18,000/μl 이상인 경우 농양이 있거나 천공성 충수염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증가된 C반응 단백도 합병성 충수염을 시사한다.
영상 검사로는 복부 초음파와 복부 CT가 주로 이용된다. 복부 초음파에서는 충수 직경이 6-7mm 이상이고, 무에코성 환으로 둘러싸인 표적 모양을 보이거나 충수가 눌리지 않는 소견이 관찰된다. 복부 CT에서는 충수 직경이 7mm 이상, 막힌 내강, 충수 벽 비후 등의 소견이 특징적이다.
이와 같이 충수염의 증상은 다양하고 비특이적일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 증상과 신체 검진, 영상 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1.3. 충수절제술의 수술 기구
충수절제술의 수술 기구는 다음과 같다.
Minor set(작은 수술도구 세트)에는 가위, 겸자, 메스 등의 기본적인 수술 도구가 포함된다. Laparoscopic line set(복강경 선 세트)에는 복강경(카메라), laparo reusable inst(손잡이와 가위가 연결된 기구), monopolar line(복강경 연결라인) 등이 포함된다. 또한 Bovie(출혈이 있는 부위를 전기 소작하고 절개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 endo loop(충수를 묶는 데 사용되는 기구) 등이 사용된다.
수술 시 사용되는 주요 기구로는 Trocar(복부를 뚫고 고정하는 기구), Veress(복강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여 공간을 확보하는 기구), grasper forcep(조직을 잡는 겸자), scissors(조직을 절개하는 가위), Endo Hemolok(혈관이나 조직을 클립으로 묶는 기구), Endo bag(절제된 조직을 넣어 꺼내는 주머니)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전기 소작기, 흡인기, 봉합사 등 다양한 수술 기구들이 사용된다.
이처럼 복강경 충수절제술에는 다양한 수술 기구들이 사용되며, 각 기구의 용도와 사용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 수행이 가능하다.
1.4. 충수절제술의 수술 과정
충수절제술의 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술 과정은 크게 11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Cotton boll에 betadine 10%를 적신 후 복부 전체를 draping한다. 이후 blade를 이용하여 피부절개를 하고, bovie를 이용하여 피하조직을 절개한다. kocher를 이용하여 근막을 잡은 후 bovie로 절개를 한다. 10mm trocar를 이용하여 복막을 뚫고 삽입한 후, 나머지 두 개의 port 위치도 blade와 bovie를 이용하여 절개한다. 그 다음으로 충수를 찾아 dissector를 이용하여 충수 간막을 박리한다. 충수 동맥을 clamp하고 end scissor로 절개한다. 충수와 맹장 접합부위를 endo loop를 이용하여 묶은 후 절제한다. 절제한 충수를 lap bag에 넣어 복강 밖으로 꺼내고, 삽입한 trocar를 제거한 뒤 봉합을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배꼽부위를 드레싱하여 수술을 종료한다.""
1.5. 마취 방법 및 주의사항
전신마취는 보호 반사의 손실과 함께 의학적으로 유도된 무의식 상태이며 하나 이상의 전신 마취 작용 물질을 투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신마취의 목적은 통각 상실(통증에 대한 반응의 소실), 기억 상실(기억의 소실), 부동 상태(운동 반사의 소실), 최면 상태(무의식), 마비(골격근의 이완)를 달성하는 것이다.
전신마취는 유도 단계, 흥분 단계, 수술 마취 단계, 과다 복용 단계로 구분된다. 유도 단계는 유도제의 투여와 의식의 소실...
참고 자료
서울대학병원 N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53
성인간호학 상권(2017). 황옥남 외. 현문사
기구들 사진
https://mediworld.co.uk/minor-surgery-instrument-set/
https://www.indiamart.com/proddetail/laparoscopy-hand-instrument-2221160388.html
https://korean.alibaba.com/product-detail/disposable-suction-and-irrigation-tube-set-for-laparoscopic-abdominal-minimal-invasive-surgery-62475382013.html
https://ko.aliexpress.com/item/4000211369003.html
https://korean.alibaba.com/product-detail/bovie-electrosurgical-coagulator-60824023378.html
https://gsbentodol.tistory.com/27
https://ko.eagha.org/appendectomy-1558
수술순서 https://blog.naver.com/yhjlove8451/222362290207
천승희 외, 복강경 충수 돌기 절제술과 개복 충수 돌기 절제술의 비교, EMJ, Vol.27 No.1(2004), 21-26p
김기훈, 급성 충수염의 고찰, 대한외상·중환자외과학회, 5권 1호(2015), 10-14p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9
서울 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진천 성모병원, http://www.jcsungmo.co.kr/clinic/clinic03.php
서광병원 복강경센터, http://sghospital.kr/wp_2ds/03_07_02.html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google 이미지
유튜브, Laparoscopic Appendectomy https://www.youtube.com/watch?v=gjngNbEAb4w
유튜브, mucocele of appendix. laparoscopic appendectomy, 복강경하 충수절제술, 충수돌기 점액낭종 길병원, https://www.youtube.com/watch?v=oh_9HcWhOSI
유튜브, Laparoscopic Appendectomy Surgery | Nucleus Health
https://www.youtube.com/watch?v=E1ljClS0DhM
유튜브, 복강경 충수절제술 안내, https://www.youtube.com/watch?v=oh_9HcWhOSI
유튜브, The Mount Sinai Surgical Film Atlas Laparoscopic Appendectomy
https://www.youtube.com/watch?v=b0nepBxLwuU
한솔병원
http://www.hansolh.com/centerclinic/laparoscopy_appendicitis05.asp
서울 아산병원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35&diseaseKindId=C000009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성인간호학 Ⅰ,Ⅱ (수문사, 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19)
최신 기본간호학 Ⅰ,Ⅱ 송경애 외 (수문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