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재난선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최신재난선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선박 사고
1.1. 선박사고의 정의
1.2. 선박사고의 사례
1.2.1. 타이타닉호 침몰 사고
1.2.2. 창경호 침몰 사고
1.2.3. 서해 훼리호 침몰
1.2.4. 천안함 사건
1.2.5. 세월호 침몰사고
1.2.6. 설봉호 화재사건
1.3. 선박사고 시 대처요령

2. 항공기 사고
2.1. 항공기사고의 정의
2.2. 항공기사고 유형
2.3. 항공기사고의 사례
2.3.1. 팬암 - KLM 충돌 사고
2.3.2. 일본항공 123편(JAL123)
2.3.3. 대한항공 007 사건
2.4. 항공기 사고 발생 시 대처요령

3. 코로나 이후 발생된 세계적 물류대란
3.1. 공급사슬관리 기업의 사례
3.2. N차 신상 C2C 공급사슬관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선박 사고
1.1. 선박사고의 정의

선박사고의 정의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리나라의 초기 선박은 영세한 규모였으며 나무로 만든 배가 대부분이었고, 항만시설 또한 충분하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경제발전을 거치면서 선박의 대형화와 원양어업의 활성화로 먼 바다에서 발생하는 선박사고가 증가하였고 사고의 규모 또한 대형화되었다. 1960년대 후반 이후로는 과적이나 자연재해 외에 남북 간의 갈등에 의한 사고, 유조선의 기름 유출 사고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해양 사고가 많이 발생했으며, 특히 유류나 화학 물질의 유출로 인한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와 같이 선박사고는 육지와 멀어 빠른 대처가 힘들고 구조대의 역할을 장담할 수 없어 자칫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사고대처보다는 사고예방에 중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1.2. 선박사고의 사례
1.2.1. 타이타닉호 침몰 사고

1912년 4월 10일 영국의 사우샘프턴을 떠나 미국의 뉴욕으로 향한 타이타닉호는 4월 14일 23시 40분 북대서양의 바다에서 빙산과 충돌하여 침몰하였다. 당시 최신형 호화 여객선인 타이타닉호에는 선장과 승무원, 승객을 합쳐서 약 2,200명 이상이 승선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침몰 희생자 수 집계는 다양하지만 대략 1,514명이라고 한다. 타이타닉호 침몰 사고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해상 참사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1.2.2. 창경호 침몰 사고

1953년 1월 9일 오후 2시에 전남 여수항을 출발하여 부산항으로 가던 대동상선 소속의 150톤급 정기 여객선 창경호는 오후 10시 40분경 부산 서남쪽 8km쯤 지점에 위치한 다대포 앞바다 거북섬에서 200m 떨어진 지점에서 왼쪽으로 급격하게 기울면서 20~30분 만에 침몰하였다. 당시 창경호는 승객 2백 수십 명과 쌀 450가마를 싣고 있었으나, 선장과 선원 3명, 승객 3명만이 구조되었다고 보도되었다.


1.2.3. 서해 훼리호 침몰

라) 서해 훼리호 침몰은 1993년 10월 10일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여객선이 침몰하여 사망자가 292명 발생한 사건이다. 이 사고는 당시 여객선 회사에서 승객을 너무 많이 태워 시체가 무리지어서 발견되는 등 인명 피해가 심각했기 때문에, 당시 신문에 "죽음의 신이 여객선을 유혹하는 장면"의 풍자만화가 실리기도 했다. 대부분의 피해자들은 섬 지역에서 살던 주민들이었다. 이번 사고로 인한 대규모 인명피해로 인해 선박 안전 및 운항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1.2.4. 천안함 사건

2010년 3월 26일 21시 22분경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인 PCC-772천안함이 침몰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해군병사 40명이 사망했으며 6명이 실종되었다. 천안함 사건은 남북 간의 갈등에 의한 새로운 유형의 해양사고로, 평시 해군작전 중에 발생한 사고인 만큼 평화로운 상황에서 군사적 충돌이 있었다는 점에서 큰 충격을 주었다. 당시 정부는 북한의 어뢰 공격에 의한 것으로 결론 내렸으나, 이에 대한 국내외의 여론은 엇갈렸다. 특히 천안함 사건은 한반도 정세에 큰 영향을 끼쳐 한반도의 긴장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1.2.5. 세월호 침몰사고

2014년 4월 16일 오전 8시 50분경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인근 해상에서 청해진해운 소속의 인천발 제주행 연안 여객선 세월호가 전복되어 2014년 4월 18일 완전히 침몰한 사고였다. 이 사고로 탑승인원 476명 중 사망자 295명, 실종자 9명이 발생하였다. 당시 세월호 사고의 원인으로 여러 가지가 논의되고 있으나 가장 핵심원인은 선박의 증축과 무리한 화물적재로 인해 세월로의 급격한 변침을 견디지 못하고 복원력을 읽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밖에도 진도VTS 관제의 허술한 대응으로 초기 대응시간을 허비하였으며,...


참고 자료

국가재난정보센터(http://www.safekorea.go.kr/dmtd/Index.jsp)
소방방재청(http://www.nema.go.kr)
코로나·물류대란, 무슨 상관?…팬데믹 '나비효과'로 물류 파국, 전명훈, 연합뉴스, 2021.12.07., https://www.yna.co.kr/view/AKR20211207130900009
미국 LA 앞바다 화물선 157척 입항 대기...물류대란 더 악화, 정준형, SBS, 2021.10.2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928129?sid=104
미국, 물류대란 완화 위해 LA항 24시간 풀가동…'90일 총력전', 김재중, 경향신문, 2021.10.1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03684?sid=104
“없어서 팔 수가 없어요”…대목 덮친 미국발 물류대란, 조현선, 채널A, 2021.10.27.,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9/0000216962?sid=101
코로나·물류대란에… 항공 화물운송 날개 달았다, 남상욱, 한국일보, 2022.04.14., http://www.koreatimes.com/article/1410973
내년엔 물류 대란 잦아들까… “단기간엔 어려워”, 김영채, 한국무역신문, 2021.11.25., 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7&item=&no=77316
다음백과 공급망관리
서울경제 TV 반기성의 날씨와 경제 기후변화 피해 줄이는 날씨경영 정훈규기자 2021.06.07
김난도 『트렌드코리아』 2021 팬데믹 위기에 대응하는 전략은 무엇인가? 2020.10.1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