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리학 결핵 문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약리학 결핵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폐결핵
2.1. 병태생리
2.2. 발생 현황
2.3. 결핵균의 특성
2.4. 감염 경로 및 전파
2.5. 임상 증상
2.6. 진단과 검사
2.7. 치료
2.8. 예방과 간호 관리

3. 아동간호학 사례
3.1. 사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2. 문헌고찰
3.3. 간호과정

4. 약물 투여와 간호
4.1. 약리학에서의 간호과정
4.2. 연령별 약물 치료 시 고려사항
4.3. 약물 반응의 개인적 차이
4.4. 약물남용
4.5. 비상사태 대비와 중독
4.6. 투약오류 및 사고 감소를 위한 전략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는 국가차원에서 결핵퇴치를 위한 적극적인 사업을 추진해왔지만 OECD 가입국 중 결핵 발생률 1위로, 결핵에 관련해서는 후진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결핵의 약 85%는 폐에서 발병하는 폐결핵이지만 우리 몸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위치에 따라 병명이 달라진다. 림프절에서 발생하면 림프절 결핵, 척추에서 발생하면 척추결핵, 장에서 발생하면 장결핵, 이처럼 폐 이외의 장기에서 발생하는 결핵을 통틀어 폐 외 결핵이라고 하고, 폐 외 결핵은 타인에게 전염되지 않는다. 본문은 결핵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폐결핵에 대해 연구하고자 작성되었다.


2. 폐결핵
2.1. 병태생리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야기되는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된 만성 전염성 질환이다. 결핵은 폐에 가장 흔히 침범하지만 신체 어느 부위의 장기나 조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전형적인 결핵의 병변은 중심에 건락성 괴사를 일으키는 국소성 육아종성 염증 반응으로, 이를 결핵결절이라고 한다. 인체를 감염시키는 결핵균이 주원인균이다.

결핵의 병변은 주로 증식성 및 침출성 변화가 혼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증식성 결핵 또는 침출성 결핵으로 구분된다. 증식성 변화의 특징은 결핵결절의 형성이며, 이 결절은 중심부에 치즈처럼 되는 건락괴사가 많다. 주위에는 섬유성 피막에 의해 둘러싸인 결핵종을 형성한다. 조직학적으로는 유상피세포와 랑게르한스 거대세포의 증식, 그리고 림프구, 형질세포, 섬유아세포의 증식층이 관찰된다.

침출성 변화는 초기에는 침출성염과 유사하지만 나중에는 건락화되어 결핵 특유의 소견을 보인다. 건락화된 부분은 경화되거나 연화하여 공동을 형성한다. 연화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일어나며, 결핵균 외에 다른 세포의 혼합 감염이 있을 때 더욱 잘 나타난다.

이처럼 결핵의 병태생리는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특히 폐결핵이 가장 흔한 형태로 발생한다. 현대에는 예방과 화학요법의 발달로 인해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이 감소되었으나, 사회경제적으로 낙후된 국가에서는 여전히 높은 결핵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2.2. 발생 현황

국내 폐결핵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연령 및 성별 분석에서의 결핵 유병률은 20대에 가장 높으며, 남자가 여자에 비하여 연령증가에 비례하여 현저히 높다. 국내의 5세 이상 인구에 대해 1965년도부터 1995년까지 5년 간격으로 실시된 결핵실태조사에서 X-선상 활동성 폐결핵 환자 수는 연간 평균 5.0%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균 양성자 수도 5.1%의 감소율을 보여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전 세계적으로 17억 명이 결핵에 감염되어 있으며, 매년 800만 명의 결핵 환자가 새로 발생하여 300만 명이 사망한다. 이는 WHO의 통계조사 결과이다.


2.3. 결핵균의 특성

결핵균은 독소를 생산하지 않지만, 균이 숙주의 방어기전을 이기고 조직 내에서 증식할 수 있으므로 병원성을 보인다. 결핵균의 형태는 길이 1.2~4.0㎛, 폭 0.3~0.5㎛ 정도 되는 막대 모양이다. 세포벽에 많은 양의 지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각종 염료의 침투나 탈색이 어렵고 독특한 항산성 염색성을 나타낸다. 배양은 pH 6.8~7.0, 온도는 37°C가 최적이다.

결핵균은 편성 호기성이기 때문에 산소 공급이 풍부한 환경에서 증식하며, 주로 폐 상엽에 많고 신장, 뇌, 성장하고 있는 골격에 주로 병소를 일으킨다. 복제시간이 약 20시간으로 증식의 속도가 느리며, 약물 획득 내성률이 높다. 그람 양성의 항산성균이고 대식세포 내에서도 생존할 수 있으며, 건조한 상태에서 6~8개월 동안 생존할 수 있고 강산이나 알칼리에도 내성이 있다. 하지만 빛과 열에 약하여 직사광선 노출시에는 2시간 동안만 생존한다.


2.4. 감염 경로 및 전파

결핵은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며, 다양한 경로로 감염될 수 있다.

먼저, 가장 흔한 감염 경로는 호흡기 감염이다. 도말 양성 폐결핵 환자가 기침, 재채기를 할 때 배출되는 가래에 결핵균이 섞여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건강한 사람의 폐에 들어가면서 감염이 일어난다.

다음으로 소화기 감염의 경우, 과거에는 우형 결핵의 오염된 우유를 통해 장결핵이 발생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응급처치 도중 구강대 구강 인공호흡을 실시한 후 결핵에 감염된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피부감염은 상처난 피부나 점막을 통해 결핵균이 직접 침입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파 경로는 매우 드물다.

그 외에도 인후·편도선 감염, 감염된 태반을 통한 감염 등의 경로가 있다.

전염력의 정도는 분비되는 결핵균의 수, 숙주의 저항성, 결핵균의 독력, 연령, 그리고 기침, 재채기, 환자와의 접촉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5세 이하와 노인에게 더 잘 전파되며, 결핵균이 많이 분비되고 숙주의 저항이 약한 경우, 그리고 접촉 시간이 길수록 전염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결핵균은 여러 전파 경로를 통해 신체 내에서 퍼져나갈 수 있다. 관성 전파로는 장결핵이나 후두결핵, 중이 결핵 등이 발생할 수 있고, 혈행성 전파로는 뼈, 신장, 수막 등 다른 장기로 번질 수 있다. 림프행성 전파를 통해서는 경부 림프선 결핵이나 장간막 림프선 결핵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핵은 공기감염과 더불어 다양한 경로로 전파될 수 있으므로, 결핵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 이러한 ...


참고 자료

김영혜, 권봉숙 외 공저(2018),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성인간호학1 아홉 번째판, 윤은자 외 공저, 수문사, 2019.
문헌고찰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47
이소니아지드
http://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4507
리팜핀
http://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6401
피라진아미드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295
이윤미 외 13명, 2019,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7, 임상 약리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Masahiko Suzuki, 2016, 알기 쉬운 약리학, 도서 출판 의학교육
김수경 외 28명, 2009, 간호사를 위한 임상 약리학 8판, 이퍼블릭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