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칸트의 선의지에대한 설명중 타당하지 않은것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윤리 사상의 다양성
2.1. 공리주의
2.2. 칸트 사상
2.3. 사회계약사상
2.4. 덕의 윤리
3. 의무론과 결과론의 비교
3.1. 칸트의 의무론
3.2. 공리주의의 목적론
3.3. 상대론적 윤리설과 절대론적 윤리설의 차이
4. 의무론과 공리주의의 실천적 적용
4.1. 임상 시험에 대한 각 사상의 입장
4.2. 안락사에 대한 각 사상의 입장
5. 윤리 사상의 현대적 의미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윤리 사상에는 공리주의, 칸트 사상, 사회계약사상 등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다양한 윤리 사상만큼이나 우리의 실제 삶 속에서는 다양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으며, 우리는 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일들을 어떤 시각을 통해 바라볼 것인지, 이에 대해 어떤 판단을 내리는 것이 가장 윤리적인 행동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사회복지 분야에서 윤리가 가지는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사회복지사는 매 상황마다 윤리적인 결정을 실행해야 하고 전문직으로서 갈등적 의무 때문에 더욱 많은 윤리적인 딜레마와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윤리적인 딜레마에 대한 해결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것들이 바로 다양한 윤리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2. 윤리 사상의 다양성
2.1.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기본적으로 목적론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즉 어떤 행위에 대한 결과가 추구하는 목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그 행위는 옳은 행위라고 할 수 있으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그러한 행위는 잘못된 행위이다. 이것을 바꾸어 말하면 한 사람이 어떠한 행위를 한 결과나 또는 모든 사람이 어떠한 행위를 한 결과가 좋다고 한다면 그 행위는 옳은 행위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공리주의는 '모든 인간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려 한다'라는 경험적 사실에서'쾌락은 선이고 고통은 악이다'라는 가장 기본적인 가치를 규정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그렇다면 인간은 모두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해야만 한다'라는 쾌락주의적 기본명제에 사상의 중심을 두고 있다. 즉 공리주의는 행위의 옳고 그름을 그 행위가 산출하는 결과의 행복의 정도에 따라 판단한다는 것이다.
공리주의를 대표하는 철학자로는 벤담과 밀을 들 수 있다. 벤담은 쾌락과 고통이 윤리학에서 가장 기본인 개념이라고 주장하며, 옳은 행위는 쾌락의 증가 및 고통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행위이며 잘못된 행위는 이와 반대로 고통의 증가 및 쾌락의 감소를 발생시키는 행위라고 보았다. 또한 행복은 쾌락의 증가 및 고통의 감소 상태 혹은 그것을 보고 우리가 느낄 수 있는 내적인 심정이라고 정의했다.
밀은 벤담의 공리주의를 계승하여 쾌락이 선이고 고통이 악이라는 점에서 벤담과 동일하다. 하지만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에 대해 강력히 비판하며 쾌락을 단순한 감각적 쾌락에서 정신적 쾌락으로 확대하였다. 밀은 쾌락의 본질을 자율과 책임 위에서만 존재한다고 보고, 사회적 공익이 개인의 쾌락보다 앞선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공리주의는 행위의 옳고 그름을 행위가 가져오는 결과, 즉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달성 여부에 따라 판단한다는 점에서 의무론과 구별된다. 공리주의자들은 행위의 동기나 의도보다는 그 결과에 더 큰 비중을 두는 편이다.
2.2. 칸트 사상
칸트 사상은 "인간은 도대체 무엇인가"에 대해 궁극적으로 관심을 가졌으며, 이에 대해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라고 답한다"". 칸트는 인간의 행동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 주목했는데, 그는 겉으로 드러난 행동이 아닌 내면의 동기를 중요시하였다".
칸트에 따르면, 도덕적 행위는 여러 가지 동기에서 행해질 수 있지만 오직 도덕적 법칙에 대한 무조건적 경외감을 가지고 행하는 것이 옳은 행위이다". 이러한 도덕 법칙은 보편적이며 절대적인 것으로, 칸트는 이를 '선의지'라 부른다". 예를 들어, 지하철에서 구걸하는 사람을 보고 동정심으로 돈을 기부하는 행위는 비록 그 결과가 좋더라도 행위 자체의 동기가 옳지 않기 때문에 칸트는 이를 도덕적 행위로 보지 않는다".
또한 칸트는 도덕성을 판단함에 있어 결과보다는 자율적 의지에 의한 행위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즉, 어떤 행위가 좋은 결과를 가져왔다고 해서 반드시 그 행위가 도덕적인 것은 아니며, 행위자의 의지가 어떠했느냐에 따라 도덕성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칸트의 생각은 정언명령의 형식으로 나타나는데, 정언명령은 다른 목적이 없고 행위 자체가 목적인 무조건적 명령이다".
2.3. 사회계약사상
사회계약사상은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그 전통을 찾아볼 수 있지만, 근대적 정치이론으로서의 사회계약사상은 계몽주의 시대에 와서 비로소 구체적 모습을 보였다. 계몽주의 시대 전 목적론적 세계관에 따르면, 개인들의 세계 속에서의 기능이나 위치는 자연적 또는 신...
참고 자료
http://study.zum.com/book/14925
http://koc.chunjae.co.kr/Dic/dicDetail.do?idx=23845
http://koc.chunjae.co.kr/Dic/dicDetail.do?idx=23845
서양근대철학회(엮). 2010. 서양근대윤리학. 창비
나이절 워버턴, 최희봉(엮). 2016. 철학의 근본문제에 관한 10가지 성찰. 자작나무
김 경우, 이경수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동문사, 2017
한국철학회 <윤리와 사회철학>, 철학과현실사, 2015
문종길 <생활과 윤리>, 책과나무,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