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연구 논문 요약본
본 간호연구 논문 요약본은 "고위험 신생아 무호흡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평가"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고위험 신생아의 무호흡 상황에서의 응급간호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가설은 시뮬레이션 시나리오가 고위험 신생아의 무호흡 응급관리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단일 집단 사후 측정 원시실험 연구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013년 3월부터 11월까지 아동간호학 실습 교육 기간 중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 3, 4학년생 137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일반적 특성, 시뮬레이션 효과성 도구(SET), 시뮬레이션 임상판단(LCJR)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8단계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경우 SET 총점이 21.0점/26.0점, LCJR 총점이 32.4점/44.0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SET와 LCJR의 전체 및 하위 영역 간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시뮬레이션 경험 피드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된 고위험 신생아 무호흡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는 간호 학생들의 아동 간호실습 및 임상현장에서 아동의 특성에 맞는 임상판단 간호 과정을 경험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평가된다.
1.2. 연구의 필요성
간호 시뮬레이션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간호 시뮬레이션에서 큰 과제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간호현장에서의 생생한 실무경험을 모의환경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지, 즉 시뮬레이션 실습의 타당성과 그 가치에 대한 문제이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이를 임상 실습에 포함하여 임상 실습 경험을 이루어 궁극적으로는 접근이 어려운 실무환경 임상 수행 경험을 다양화하여 간호교육의 질을 향상하고자 한다.."
1.3. 연구의 목적
미숙아 무호흡증(AOP, apnea of premature)은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빈도가 증가하는 질환으로, 특히 재태기간 33주 이하 미숙아의 1/3정도, 30주 이하 건강한 미숙아의 반 이상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위험 신생아인 미숙아의 무호흡 응급관리에 대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고위험 신생아의 무호흡 상황에서의 응급간호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평가하여 간호대학생의 아동 간호역량 향상을 위한 임상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1.4. 문헌 고찰
1.4.1. 정의
미숙아 무호흡증(AOP, apnea of premature)은 주기성호흡(periodic breathing)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서맥, 산소포화도 감소 및 피부색 변화 증상 여부와 관계 없이 20초 이상 자발적인 호흡이 정지된 상태이다. 미숙아에게 흔한 증상으로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빈도는 증가한다. 재태기간 33주 이하 미숙아의 1/3정도, 30주 이하 건강한 미숙아의 반 이상에서 무호흡 증상이 나타난다.
1.4.2. 원인
미숙아 무호흡증(AOP, apnea of premature)의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단일 요인이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미숙아의 호흡 조절 기전이 미성숙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첫째, 신경계 및 화학적 호흡 통제 기전의 미성숙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미숙아는 정상 신생아에 비해 신경 뉴런의 수질화가 덜 진행되어 있어, 호흡 반사 및 조절 기능이 충분하지 않다""
둘째, 호흡기계의 미성숙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미숙아는 호흡 반사가 부재하거나 불안정하여 무호흡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렘(REM) 수면 시 무호흡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호흡 조절 기능의 미성숙에 기인한다""
셋째, 다양한 요인들이 무호흡을 유발할 수 있다. 점액이나 부적절한 체위로 인한 호흡기 폐쇄, 탈수증, 산-염기 불균형, 전해질 이상, 감염, 신경계 자극, 심혈관계 이상, 호흡기 질환 등이 무호흡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