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센병 레포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최초 생성일 2024.10.19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한센병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센병(나병)
1.1. 정의 및 역사
1.2. 원인 및 전파 경로
1.3. 증상
1.4. 진단
1.5. 치료
1.6. 합병증
1.7. 예방 및 관리

2. 결핵
2.1. 정의 및 원인
2.2. 결핵의 형태
2.3. 감염 경로
2.4. 증상
2.5. 진단
2.6. 치료

3. 매독
3.1. 정의 및 원인
3.2. 선천성 매독
3.3. 후천성 매독
3.4. 증상 및 진단

4. 감염병의 발생 요인
4.1. 병인적 요인
4.2. 숙주적 요인
4.3. 환경적 요인

5. 감염병의 예방
5.1. 병원체 대책
5.2. 환경 대책
5.3. 숙주 대책

6. 감염증의 분류
6.1. 형태학적 분류
6.2. 원인균에 의한 분류

7. 급성 세균성 감염
7.1. 카타르성 염증
7.2. 위막성 감염
7.3. 화농성 감염
7.4. 혈류 침입

8. 바이러스 질환
8.1. 에볼라 바이러스
8.2. 메르스

9. 진균질환
9.1. 표재성 진균증
9.2. 심재성 진균증

10. 원충질환
10.1. 아메바증
10.2. 말라리아

11. 기생충 질환
11.1. 선충류
11.2. 조충류
11.3. 흡충류

1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센병(나병)
1.1. 정의 및 역사

한센병은 노르웨이 의사 한센에 의해 나환자의 결절에서 나균이 처음 발견된 것에서 유래하였다. 한의학에서는 가라, 풍병, 대풍라 등으로 불렸고, 과거에는 문둥병 또는 천형(天刑)병으로 불렸다. 천형은 인간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벌로서 보통 문둥병을 천형병이라고 했다. 치료가 불가능한 시대에는 나병(문둥병)으로 불리면서 환자들을 비하하는 인격 모독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어 왔다. 부산에서는 한센병을 문디병, 한센인을 문디라고도 불렀다. 과거에 사람들은 나병의 전염성, 또는 그 증상을 마치 하늘의 형벌이나 저주와 같이 여겼고 그런 이미지가 나병에도 자리잡아 환자들에 대한 편견을 담고 있기 때문에 1980년대 말부터 현재는 한센의 이름을 따 한센병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1.2. 원인 및 전파 경로

나균이 원인 병원체이다. 이는 가족 내의 장기간의 긴밀한 접촉으로 인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확한 감염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상기도나 상처가 있는 피부를 통해 나균이 침입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이다.


1.3. 증상

한센병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한센병은 한센병균이 피부, 말초신경계, 상기도의 점막을 침범하여 조직을 변형시키는 질환이다. 한센병균은 나균이라고도 하며, 현재 한센병은 전세계적으로 24개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연간 1만 명당 1건 미만으로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우리나라에서는 제3군법정전염병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면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키지 않고 성적인 접촉이나 임신을 통해서도 감염되지 않는다.

한센병의 다양한 잠복 기간을 살펴보면, WHO는 한센병의 잠복기는 평균 5년이지만, 1년 이내에 발병할 수도 있고 나균에 감염된 지 20년 후에도 발병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피부에 나타나는 병적인 변화의 종류에 따라 크게 나종 나균과 결핵 나균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나종 나균의 경우 나병균에 코 점막에 침범하면 딱지가 생기며 코막힘, 출혈 등이 발생하고, 피부에 침범하면 전신에 양쪽 대칭적으로 발진이 넓게 나타난다. 눈에 침범하면 홍채염이나 각막염이 발생한다. 결핵 나균은 한 개 이상의 경계가 뚜렷한 피부염이 신체에 비대칭적으로 퍼져 나타난다. 증상이 나타난 피부 부위는 무감각 또는 과다 감각 상태가 되며 특히 말초신경으로의 나균 침범이 심한 특징을 보인다."


1.4. 진단

한센병의 진단은 피부에 나타나는 변화를 확인하고, 말초신경이 침범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인 과다 감각, 감각소실, 마비, 근육 위축 여부의 검진, 양측 말초 신경의 비대나 압통 여부의 촉진(손으로 만져보는 것)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피부에 병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부분을 조직 검사하여 원인균을 확인하면 한센병을 확실히 진단할 수 있다.

피부의 감각신경 검사, 피부도말검사(slit smear), 조직검사(tissue biopsy) 등의 검사를 통해 나균을 확인할 수 있다. 피부도말검사의 경우 피부의 일부를 2-3 mm 절개하여 조직액을 채취하고 나균에 특이한 항산성균 염색을 실시하여 나균을 확인한다. 조직검사는 피부의 일부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한센병에 해당하는 병리소견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 외에도 나균의 항원에 대한 항체인 항페놀당지질-1 항체(anti-phenolic glycolipid-1 antibody)를 측정하거나 나균의 핵산을 검출하는 검사법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진단 검사를 통해 한센병을 확진할 수 있다.


1.5. 치료

한센병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병합 요법으로 치료가 이루어지며, 효과적인 항생제로는 댑손(dapsone), 리팜핀(rifampin), 클로파지민(clofazimine) 등이 있다.

댑손은 일명 DDS라고 불리며 지금도 한센병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DDS의 작용 메커니즘은 항생제의 DHPS(dihydropteroate synthetase) 활성 부위에 디히드로 엽산(dihydrofolic acid)의 합성을 저해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또한 DDS는 오랫동안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면서 임상적으로 부작용이 현저히 적어 사람에게 적용하는 데 있어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리팜핀은 리팜피신(rifampicin) 이라고도 하며 한센병 뿐만 아니라 결핵 치료에도 이용되고 있다. 리팜피신은 세균 세포 내 DNA 폴리머라제(polymerase, 중합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RNA 전사를 막고 궁극적으로 단백질의 생산을 막아 균을 죽인다.

클로파지민은 람프렌(Lamprene) 이라는 상품명으로 팔리고 있으며 살균 효과 이외에도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클로파지민은 세균 DNA 복제를 억제함으로써 균을 죽인다.

한센병에 감염된 것을 빨리 진단하고 시기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면 촉각, 통각, 온도감각의 소실, 위치 감각, 진동 감각에 문제가 생기는 합병증까지는 이르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치료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나균이 잘 침범하는 부위인 팔꿈치와 약지, 새끼손가락이 갈퀴처럼 변형되고 손목이나 발목이 축 늘어지기도 한다. 손가락과 발가락에 감각이 소실 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외상을 입고 이로 인해 2차 감염이 발생하면 말단 부위가 떨어져 나가기도 한다.

또한 코 점막에 나균에 들어오면 연골이 변형되어 안장코가 되거나 무후각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눈이 침범되면 눈꺼풀이 움직이지 않고 안구가 돌출되며 각막궤양이나 백내장, 녹내장 등이 발생하여 실명할 수도 있다.

이처럼 초기에 의료진의 판단과 진단이 제일 중요하며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나균이 소멸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예방법으로는 BCG접종 (소아결핵 예방접종) 만으로도 거의 100% 예방되기 때문에 우리 국민들 대부분이 이 나균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6. 합병증

한센병의 합병증은 치료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나균이 잘 침범하는 부위인 팔꿈치와 약지, 새끼손가락이 갈퀴처럼 변형되고 손목이나 발목이 축 늘어지기도 한다. 손가락과 발가락에 감각이 소실 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외상을 입고 이로 인해 2차 감염이 발생하면 말단 부위가 떨어져 나가기도 한다. 만약 코 점막에 나균에 들어오면 연골이 변형되어 안장코가 되거나 무후각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눈이 침범되면 눈꺼풀이 움직이지 않고 안구가 돌출되며 각막궤양이나 백내장, 녹내장 등이 발생하여 실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초기에 의료진의 판단과 진단이 제일 중요하며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나균이 소멸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1.7. 예방 및 관리

한센병은 적절한 조치를 통해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는 질병이다. 우선 BCG 접종만으로도 거의 100%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국민들 대부분이 나균에 대한 저항력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치료 중인 환자나 후유증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 전염력이 없다.

따라서 한센병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초기에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과 적기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조기 진단과 치료를 통해 나균을 신속히 소멸시키면 후유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에게로의 전파도 막을 수 있다. 국내에서는 한센병이 제3군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어, 신고와 격리 등의 관리 대책이 마련되어 있다.

그 밖에도 개인위생 교육과 환경관리로 감염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상생활에서 규칙적인 목욕과 의복 관리, 상처 소독 등 개인위생 관리에 힘써야 하며, 주거환경과 지역사회의 위생관리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나균의 전파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과거부터 한센병 환자들이 겪어온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한센병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개선하고, 한센인들이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편견 해소와 사회적 통합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한센병 환자들이 차별 없이 치료받고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종합하면, 한센병은 조기 발견 및 치료, 개인 위생 교육, 환경관리, 사회적 편견 해소 등 다각도의 예방 및 관리 대책이 필요한 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2. 결핵
2.1. 정의 및 원인

결핵은 인형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과거에는 우형결핵균에 오염된 우유에 의해서도 결핵이 발병하였다. 결핵은 결핵균이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어 감염되며, 초기 감염 시 주로 폐에 발병한다. 결핵균은 숙주인 인체의 폐 조직에 침입하여 증식하며 이로 인해 결핵 결절이 형성된다. 특히 결핵균은 면역력이 약한 개체나 노인, 영유아 등에서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 결핵의 형태

결핵의 형태는 크게 나종 결핵과 결핵성 결핵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나종 결핵은 전신의 피부에 양측성으로 대칭적인 결절이나 구진 등의 병변이 넓게 나타나는 형태이다. 나균이 코 점막에 침범하면 딱지가 생기고 코막힘, 출혈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눈에 침범하면 홍채염이나 각막염이 생길 수 있다. 나균의 침범이 심한 경우 특징적인 안장코 변형이 나타나기도 한다.

결핵성 결핵은 한 개 이상의 경계가 뚜렷한 비대칭적 피부병변이 나타나는 형태이다. 이 경우 병변이 있는 부위의 감각이 저하되거나 과민해지는 특징이 있으며, 말초신경으로의 나균 침범이 두드러진다. 특히 팔꿈치와 손가락 부위에 잘 나타나는데, 결절이나 구진, 반상 병변 등이 관찰된다.

이외에도 나종 결핵과 결핵성 결핵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다양한 양상의 결핵...


참고 자료

서울 아산병원
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62
서울대학교병원
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04
한센병 치료약 동물 수명 증가 규명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4730303
한센병환자…사회차별은 불치인가
www.hani.co.kr/arti/society/health/7862.html
한센인, 지워진 사람들
www.opinion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107
오래된 가난의 삶 [한센인 정착촌 실태 보고서]
https://blog.naver.com/cojaya/222625306222
한센병 연구소
https://m.blog.naver.com/sebelee
[네이버 지식백과] 한센병 [lepros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한국한센복지협회 http://www.khwa.or.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