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공정공학 요약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생물공정공학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약의 위험성
1.1. 탐구 동기와 목적
1.1.1. 탐구 동기
1.1.2. 탐구 목적
1.2. 희망 전공학과 소개
1.2.1. 일반 소개
1.2.2. 졸업 후 진로와 직업
1.3. 교육과정 내(內) 교과와의 연계성
1.4. 희망 전공학과 진학을 위한 개인적인 노력
1.4.1. 전공학과 진학 방법(학과 입시 결과 분석)
1.4.2. 활동 및 노력한 내용
1.5. 활동 소감
1.5.1. 활동의 한계와 느낀 점
1.6. 전체적인 내용 요약

2. 화공생명공학과 효소, 생체촉매에 관한 탐구
2.1. 탐구 동기와 목적
2.1.1. 탐구 동기
2.1.2. 탐구 목적
2.2. 희망 전공학과 소개
2.2.1. 일반적 소개
2.2.2. 졸업 후 진로와 직업
2.3. 교육과정 내(內) 교과와의 연계성
2.4. 희망 전공학과 진학을 위한 노력
2.4.1. 전공학과 진학 방법(학과 입시 결과 분석)
2.4.2. 활동 및 노력한 내용
2.5. 활동 소감
2.5.1. 활동의 한계와 의의
2.6. 전체적인 내용 요약

3.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 공정
3.1. 서론
3.2. 바이오디젤
3.3. 미세조류 배양(Upstream)
3.4. 지질 추출, 바이오디젤 생산(Midstream)
3.5. 부산물 분리(Downstream)
3.6.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약의 위험성
1.1. 탐구 동기와 목적
1.1.1. 탐구 동기

직업인과의 만남을 통해서 학교생활기록부와 관련된 지도를 받았고 화학공학을 통해서 신약을 개발하고자 하는 나의 꿈을 화학공학과로 향하게 했다. 어떻게 하면 화학공학과에 진학할 수 있을지, 또 학교생활기록부는 어떻게 작성할지 수많은 궁금증이 생겨 본 탐구 활동을 하게 되었다. 또한 나의 꿈과 관련된 활동이 필요하기에 마약 시뮬레이터를 통해서 직접 경험할 수 없는 마약의 환각과 같은 효과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마약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약물을 조사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약에 대한 상식을 알고 싶었다.


1.1.2. 탐구 목적

(1) 체험할 수 없는 마약을 시뮬레이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마약이 주는 감각적 영향을 체험한다.

이는 직접 마약을 투여할 수 없는 상황에서 마약의 위험성과 폐해를 간접적으로 경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마약 시뮬레이터를 통해 마약의 환각과 같은 효과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어 마약의 위험성을 더욱 실감나게 경험할 수 있게 된다.

(2) 다양한 마약에 대한 정보 탐색을 통해 마약의 부작용을 알 수 있다.

마약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탐색하여 마약의 다양한 종류와 특성, 그리고 마약의 부작용을 알 수 있다. 단순히 마약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서 마약의 위험성과 폐해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3) 시뮬레이터 속의 나와 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약의 위험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 상에서 직접 마약을 투여하고 약물의 영향을 체험하면서 약물의 위험성과 중독성을 경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약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부작용을 직접 느껴볼 수 있어 약물의 위험성을 깊이 있게 확인할 수 있다.

(4) 약물의 위험성을 알고 윤리적 사고를 키울 수 있다.

마약의 위험성과 폐해를 이해함으로써 약물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되고, 이를 통해 약물 남용에 대한 윤리적 문제를 고민할 수 있다. 마약 사용의 위험성과 그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폐해를 인식하여 윤리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게 된다.


1.2. 희망 전공학과 소개
1.2.1. 일반 소개

화학공학은 고분자, 신에너지, 환경 기술 등 최근 주목받는 분야에서 응용될 뿐만 아니라, 반도체, 생물공학, 환경공학, 교통공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학문과도 연계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섬유, 석유, 플라스틱, 세제, 화장품, 제약 등 우리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에서부터 환경 기술, 에너지 생산, 공학 등 화학 공정이 필요한 모든 산업에 걸쳐 응용되고 있다"이다.


1.2.2. 졸업 후 진로와 직업

화학공학은 천연자원을 이용해 일상생활에 필요한 화학제품을 만드는 공정을 연구하거나, 화학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시스템 및 관련 정보를 연구ㆍ설계ㆍ개발하는 일을 하는 분야로, 졸업 후 다양한 직업군으로 진출할 수 있다.

화학공학 기술자는 천연자원을 이용해 일상생활에 필요한 화학제품을 만드는 공정을 연구하거나, 화학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시스템 및 관련 정보를 연구ㆍ설계ㆍ개발하는 일을 한다. 석유화학 기술자는 석유와 천연가스의 가공처리 과정에서 온도와 압력, 탱크 수위 등을 조절하기 위해 중앙제어장치를 조작하는 일을 한다. 재료공학 기술자는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금속 및 비금속재료를 가공ㆍ처리하여 제조하는 일련의 제조공정을 연구ㆍ개발 및 기술을 지휘ㆍ감독한다. 신약 개발연구원은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생명체에 특별한 작용하는 화합물을 발견하고, 원리에 기초하여 후보 화합물을 설계하고, 실제로 합성하여 화합물의 생리활성을 확인한다.


1.3. 교육과정 내(內) 교과와의 연계성

화공생명공학과는 화학, 생물, 물리에서 강점을 보여야 하는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다. 화학은 과정 대부분에 사용되며, 생명과학은 화공 생물학, 생명과학과 공학, 생화학개론, 촉매반응 공학, 유기 구조분석 등에 사용되고, 물리는 공업 물리화학, 전기화학, 유체역학, 화공 열역학, 에너지 소재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된다. 즉, 화공생명공학과의 교육과정은 화학, 생물학, 물리학 등 기초 과학 지식을 폭넓게 다루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화공생명공학과는 다양한 기초 학문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고등학교 교과목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화학I 교과과정의 실생활에 이용되는 화합물 단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화학II 교과에서 다루는 유기화학, 분자 간 힘, 반응속도와 평형 등의 개념도 화공생명공학과 학습에 필수적이다. 이 외에도 생명과학I의 세포와 생명활동, 생명과학II의 유전자와 생명공학, 물리학I의 열역학, 물리학II의 전기와 자기 등 다양한 기초 과학 교과들이 화공생명공학과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화공생명공학과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화학, 생명과학, 물리 등 관련 기초 교과목에 대한 충실한 이해와 학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4. 희망 전공학과 진학을 위한 개인적인 노력
1.4.1. 전공학과 진학 방법(학과 입시 결과 분석)

내가 지망하는 화학공학과에 가는 방법은 학생부종합전형이며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총 24명을 뽑지만, 지역 균형 발전, 고른기회전형을 제외하면 총 14명을 뽑는다. 즉 화학공학과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학생부종합전형을 통해 합격해야 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내신 성적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교과 활동이 종합적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우수한 내신 성적과 더불어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우수한 활동 실적을 쌓는 것이 필요하다."


1.4.2. 활동 및 노력한 내용

윗글에서 소개한 것처럼 전공학과 진학을 위한 개인적인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 먼저 화학공학과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내신 성적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화학, 생물, 물리 등의 교과목에서 꾸준히 노력하여 우수한 성적을 얻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록도 중요한데,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여 내용을 충실히 기록해야 한다. 특히 화학공학과와 관련된 활동을 중점적으로 수행하여 학생부에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필자는 마약 시뮬레이터를 통해 마약의 위험성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다양한 마약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마약의 부작용과 위험성을 깨닫고 윤리적 사고를 기를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시뮬레이터 속의 체험을 통해 약물의 위험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활동은 화학공학과와 관련된 관심과 열정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경험이 되었을 것이다.

더불어 필자는 관련 직업인과의 만남을 통해 학교생활기록부의 중...


참고 자료

김승욱, 『생명공학기술과 바이오산업』,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박우준, 『미생물과 미래융합기술』,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강도형, 허수진, 오철홍, 주세종, 전선미, 최현우, 노재훈, 박세헌, 김태영 (2012). 미세조류 바이오연료 상용화를 위한 주요 인자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34(4), pp. 365-384.
오유관 (2012).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연료 생산 현황과 전망. 2012년도 한국환경농학회 춘계 전문 학술 워크숍 자료집(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pp. 3-24.
조병훈, 차형준 (2010). 미세조류 해양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KSBB Journal, 25(2), pp. 109-115.
최민기 (2013).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 연료의 생산. BT NEWS, 20(2), pp. 54-59.
“바이오매스에너지소개”, KIER 신재생에너지 데이터 센터
https://kredc.kier.re.kr/kier/02_energyInfo/Biomass_intro.aspx (접속일 2019. 12. 12)
Chisti, Y. (2007) . 《Biotechnology Advances》. Vol. 25. No. 3. pp. 294-306.
Dijkstra, A. J. (2006). . 《European Journal of Lipid Science and Technology》. Vol. 108, No. 3. pp. 249-264.
Jang, E. S., Jung, M. Y. and Min, D. B. (2005) . 《Comprehensive Reviews in Food Science and Food Safety》. Vol. 4. No. 1, pp. 22-30.
Jo, B. H. and Cha, H. J. (2010). . 《KSBB Journal》. Vol. 25. No. 2. pp. 109-115.
Samori, C., Torri, C., Samori, G., Fabbri, D., Galletti, P., Guerrini, F., Pistocchi, R. and Tagliavini, E. (2010). . 《Bioresource Technology》. Vol. 101. No. 9. pp. 3274-327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