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년기트레이닝서론본론결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체력
2.1. 체력의 개념
2.2. 체력의 구성요소
3. 행동체력
3.1. 행동체력의 정의
3.2. 행동체력의 구성요소
3.2.1. 근력
3.2.2. 근지구력
3.2.3. 순발력
3.2.4. 유연성
3.2.5. 민첩성
3.2.6. 전신지구력
4. 방위체력
4.1. 방위체력의 정의
4.2. 방위체력의 구성요소
4.2.1. 물리적 자극에 대한 적응력
4.2.2. 화학적 자극에 대한 적응력
4.2.3. 생물적 자극에 대한 적응력
4.2.4. 생리적 자극에 대한 적응력
4.2.5. 정신적 자극에 대한 적응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신체 훈련이라는 것은 신체를 일정한 목표나 기준에 맞추고 도달하기 위한 운동으로서 신체의 계획적인 훈련을 통해 운동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신체 훈련은 시니어의 나이 속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최근에 시니어의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로 시니어들은 건강을 위해 신체 훈련을 목표로 운동을 많이 하고 있다. 이러한 신체 훈련은 시니어들의 심리적으로도 건강 해줄 수 있어 많은 시니어는 정신력 강화와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신감과 용기를 가지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신체 훈련의 중요성으로 노년기의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만족을 유지할 수 있는 체육활동은 많은 사람에게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나이가 들어서 체력이 성공적인 노후생활과 삶의 질에 중요하다는 인식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이에 따라서 시니어를 위한 적합한 트레이닝하기 전의 다양한 체력평가에 대해 알아보고 시니어의 특징, 체력, 체력평가 방법과 시니어를 위한 체력평가 방법도 알아보아서 나의 의견을 말해보고자 한다.
2. 체력
2.1. 체력의 개념
체력은 인간이 생존과 생활을 할 때 기반이 되는 신체적 능력으로서 행동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신체의 기초적, 전문적 작업 능률의 총합을 의미한다. 체력의 개념은 초기 운동기능이라는 단어에 포함되어 사용되었지만, 체육 지도방법의 개발과 함께 이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이를 통해 체력에는 건강 관련 체력, 운동 관련 체력, 생리적 체력이라는 특징적 요소가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현대 사회에는 신체활동 감소, 정신적 스트레스, 심신의 피로 축적 등 건강에 걸림돌이 되는 요소들이 발생함에 따라 체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의미가 더해지고 있다.
2.2. 체력의 구성요소
체력의 구성요소에는 건강 관련 체력 요소와 운동 관련 체력 요소가 있다. 건강 관련 체력 요소로는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구성이 있다. 이는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관련이 있다. 반면 운동 관련 체력 요소로는 민첩성, 평형성, 반응시간, 조정력, 순발력, 속도 등이 있다. 이는 스포츠 경기 상황에서의 운동 기술 수행 능력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건강 관련 체력과 운동 관련 체력 요소들은 서로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개인의 체력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3. 행동체력
3.1. 행동체력의 정의
행동체력은 외부활동을 행하게 하는 능력으로서 운동 능력에 관여한다. 달리기, 던지기, 높이 뛰기 등 적극적인 신체 행동과 관련을 가진다. 행동체력은 체격과 자세로 구성되며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전신 지구력 등의 기능상 능력으로 이루어진다. 즉, 행동체력은 운동을 일으키는 능력, 운동을 지속하는 능력, 운동을 정확하게 하는 능력,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능력에 따라 관련된 기능상 체력 요소들이 적용되는 것이다."
3.2. 행동체력의 구성요소
3.2.1. 근력
근력은 인간의 행동체력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근력이란 근육 수축에 의해 생성되는 힘을 말하며, 이는 신체 움직임의 직접적인 원동력이 된다.
근력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등장성 근력(dynamic strength)으로, 이는 근육이 수축하면서 신체 부위의 이동을 동반하는 경우의 근력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 아령 들기, 역기 들기 등의 동작에서 발휘되는 근력을 들 수 있다. 두 번째는 등척성 근력(static strength)으로, 이는 근육이 수축하더라도 신체 부위의 이동이 없는 경우의 근력을 말한다. 벽을 밀거나 손바닥을 맞대고 밀어내는 등의 동작에서 발휘되는 근력이 이에 해당한다.
근력은 연령에 따라 변화하는데, 일반적으로 30세 전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65세 이후부터는 근력 감소 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된다. 그러나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30~50% 수준까지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노년기 근력 감소 속도도 줄...
참고 자료
신체훈련론 강의 및 교안
박재현(Jae Hyeon Park),이계산(Gye San Lee),최규정(Kyoo Jeong Choi),고병구(Byung Gu Go),송홍선(Hong Sun Song),김광준(Kwang Jun Kim),박세정(Saejong Park),조정환(Jung Hwan Cho),이경옥(Kyung Ock Yi),and 신승윤(Seung Yun Shin). "우리나라 노인기 체력측정 방법 및 평가기준 개발."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6.3 (2014): 15-29.
노화 곡선과 운동. Joseph F. Signorile.대한미디어.2015.02.13.
체력측정(건강,체력검사 및 평가).차광석.체육과학연구원
체육학대사전, 2000. 2. 25., 이태신 유연성
산업안전대사전, 2004. 5. 10., 최상복 근력
인간의 모든 감각 눈을 감고서도 팔다리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최현석 2009. 4. 20.,
한국운동생리학회, 「스포츠 트레이닝」, 라이프사이언스, 2018.
김선진, 「운동발달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박세윤 외 4명, 「운동과 건강」, 충남대학교풀판문화원, 2016.
홍관이 외 2명, 「체력 트레이닝론」, 대경북스,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