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인 가구 삶의 질, 행복도 감소 원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1인가구의 증가와 다양한 가족 형태의 등장
1.1. 1인가구 증가의 원인
1.1.1. 만혼 및 비혼의 증가
1.1.2. 자유주의 및 개인주의의 확산에 따른 가치관 변화
1.2. 1인가구를 위한 주거복지 정책
1.2.1. 소형주택 공급 확대
1.2.2. 주택 공급 대상에서 청년가구 배제 해소
1.2.3. 주거 안전성 제고
1.3. 비혼과 독신 가구의 증가와 사회적 문제
1.3.1. 저출산과 인구 감소
1.3.2. 고령화와 독거노인 문제
1.3.3. 사회적 연대 약화
2. 가족 형태의 다양화와 변화
2.1. 가족 형태의 다양화 변화론적 관점
2.2. 가족 문제의 원인 분석
2.2.1. 관계관의 변화와 가족 문제
2.3.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포용 방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1인가구의 증가와 다양한 가족 형태의 등장
1.1. 1인가구 증가의 원인
1.1.1. 만혼 및 비혼의 증가
만혼 및 비혼의 증가는 현대 사회의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결혼이 성인이 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였지만, 최근 들어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결혼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첫째, 경제적 불안정이 만혼 및 비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높은 실업률과 불안정한 고용 상황, 주거비 상승 등으로 인해 청년층이 경제적으로 독립하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면서,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통계에 따르면 청년층의 30% 이상이 안정적인 직장을 갖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결혼보다는 취업과 경제적 안정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가치관의 변화도 만혼 및 비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결혼이 성인의 필수적인 과정으로 여겨졌지만, 최근 들어 개인의 행복과 자아실현을 중시하는 가치관이 확산되면서 결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여성의 교육 수준 향상과 사회적 지위 향상으로 인해 결혼보다는 개인의 목표 달성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실제로 여성의 50% 이상이 결혼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고 응답할 정도로 결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셋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도 만혼 및 비혼의 원인 중 하나이다. 도시화와 1인 가구 증가로 개인주의적 삶의 방식이 확산되면서, 결혼보다는 자기계발과 여가 활동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혼자서도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결혼을 선택적인 것으로 여기는 청년층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만혼 및 비혼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사회적으로 저출산 문제, 고령화 문제, 사회적 연대 약화 등의 문제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1.2. 자유주의 및 개인주의의 확산에 따른 가치관 변화
과거에 비해 사람들의 행위양식이 보편적 행위유형에 따르기 보다는 개인의 내적 욕망과 취향에 따른 선택적 행위를 강하게 추구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 매체의 발달 및 보급, 글로벌 문화의 급속한 확장으로 다양한 문화가 빠르게 전파되면서 표준화된 사회적 규범과 인식은 더욱 약화되고 있다. 그 결과 현대사회에서는 결혼 적령기에 대한 기준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준이 갖는 사회적 의미와 구속력 또한 과거에 비해 크게 퇴색되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우 더 이상 20대 청년기의 주된 과업은 결혼에 있지 않고 취업으로 이동하며 결혼 연령대가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2010년 대구, 경북, 강원 사회조사 결과 나타난 동북지방 통계청의 자료에서 결혼에 대한 가치관을 살펴보면, 20 대의 경우 59.3%는'남녀가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결혼에 대한 미혼 남성의62.6%가 적극적인 반면, 미혼여성은 결혼을 원하는 비중이 46.8%에 불과하여 서로의 견해 차이가 있다. 또한 절반의 미혼 여성(50.0%)은 상황에 따라 이혼도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는 자유주의 및 개인주의 확산에 따른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보여준다.
1.2. 1인가구를 위한 주거복지 정책
1.2.1. 소형주택 공급 확대
1인 가구를 위한 주거복지 정책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소형주택 공급을 확대하는 것이다. 최근 선진국(미국 워싱턴, 영국 런던 등)에...
참고 자료
류혜주, 김석경 (2021). “1인 가구를 위한 생활편의시설과 주거서비스에 관한 문헌내용분석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박혜선, 이소연 (2021). “최근 10년과 그 이전의 1인 주거 연구의 비교”. 한국주거학회.
안종찬, 강석진 (2020). “1인 가구 최저주거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
최하영, 진미정 (2020). “1인생활 어려움에 근거한 청년과 중장년 1인가구 유형화 및 특성 분석”, 가정과 삶의질 학회 학술발표대회.
박주아. (2022). 청년층 혼인율 감소의 배경 : 미혼청년들의 혼인 가치관 분석.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경호. (2018). [필동정담] 비혼식(非婚式).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columnists/8536419
이광수. (2018). 솔로가미로 가는 세상. 경남매일.
http://www.gn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81791
정상혁. (2024). '노웨딩 청첩장' '비혼 선언식'… 축의금은 얼마 해야 돼요?.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4/06/08/275VTLDAINCC5C3INUV4WHM3RU/
사피엔스 스튜디오. (2020). '비혼식'을 아시나요? 나와 웨딩촬영도 하고 허니문도 갔다오는 신개념 웨딩 문화 | #외계통신 #사피엔스. [Video]. Youtube.
https://youtu.be/5iKu5mdQGt0?si=q6ZobjweHEBxVxRB
고용 한파 vs 미스매치…어쨌든 저조한 취업률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34726)
코로나에… 작년 결혼 50년 만에 가장 적었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318/105953363/1)
이현지(2011) 한국사회의 가족 문제와 주역 의 해법 한국학논집 제42집(2011),pp.207~226
이지성(2020) 코로나19 시대, N포 세대의 ‘두려움’과 ‘혐오’에 대한 윤리적 과제* 기독교사회윤리 제48집
(2020) 107~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