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분거가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분거가족의 정의와 등장
1.1. 분거가족의 개념
1.2. 분거가족의 등장 배경
1.3. 분거가족의 유형
2. 분거가족의 현황
2.1. 배우자 분거가족 비율
2.2. 미혼자녀 분거가족 비율
3. 한국사회에서 분거가족 증가의 이유
3.1. 산업화와 지역 간 노동력 이동
3.2. 자녀교육과 기러기 가족
3.3. 여성의 사회진출과 일-가정 양립
4. 분거가족의 특성
4.1. 주말가족과 기러기 가족
4.2. 분거가족의 장단점
5. 분거가족 관련 통계 및 정책 동향
5.1. 분거가족 규모 및 추이
5.2. 분거가족 지원 정책
6. 분거가족의 갈등과 해결방안
6.1. 분거가족의 갈등 및 어려움
6.2. 분거가족을 위한 상담 및 지원 프로그램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분거가족의 정의와 등장
1.1. 분거가족의 개념
분거가족의 개념은 "가족성원들이 특정한 이유로 인하여 둘 이상의 가구를 형성하여 비교적 장기간 별거생활을 하거나, 동거를 하더라도 성원들의 출타가 장기적이고 빈번한 가족형태"이다. 국립어학원에 의하면 분거의 사전적 어의는 '이곳저곳에 나뉘어서 살아감'이며, 즉 가구 구성원들이 따로 떨어져 살아가는 가족을 분거가족으로 볼 수 있다. 분거가족은 산업화 초기,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초기 연구에서는 남성의 직업적 이유로 인한 지방근무, 자녀교육을 위한 부인과 자녀의 대도시 거주 등의 유형이 나타났다.
1.2. 분거가족의 등장 배경
분거가족의 등장 배경은 다음과 같다.
1960년대의 이농현상을 시작으로 1970년대의 해외인력수출, 1980년대의 지방산업의 활성화, 정부부처의 지방분산 정책, 자녀교육, 수감, 요양 등을 이유로 부부나 자녀가 국내나 해외의 서로 다른 지역에서 거주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또한 노동시장의 경직성으로 부부가 동일한 지역에서 직업을 갖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서로 떨어져 살면서 가끔씩 만나 생활하는 경우도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부부가 장기간 동안 서로 떨어져 생활하는 새로운 가족유형이 등장하게 되었다.
1.3. 분거가족의 유형
분거가족의 유형은 주로 주말가족과 기러기가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말가족은 단기분거가족으로 부부가 각자 국내의 서로 다른 지역에서 생활하다가 주말마다 만나 함께 생활하는 가족유형이다. 이는 맞벌이 주말가족과 홀벌이 주말가족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맞벌이 주말가족은 부부가 맞벌이로 인해 떨어져 생활하는 가족으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으며 직업에 충실할 수 있고 자녀를 맡지 않은 배우자가 개인적인 자유 시간을 더 많이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자녀양육과 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고, 집안일을 혼자 해야 하며, 자녀를 맡은 배우자는 자신을 위한 시간을 갖기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다. 홀벌이 주말가족은 부부 중 한 사람이 가구의 경제소득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한 사람은 자녀를 돌보는 가족으로, 경제적인 이유와 직업에의 충실한 참여를 제외한다면 맞벌이 주말가족과 비슷한 장단점을 지닌다.
기러기가족은 장기분거가족이면서 부부분거가족으로써 조기유학 열풍이 만들어낸 부산물이다. 아내 혹은 남편 중 일인이 자녀와 함께 해외에 거주하고 나머지 한 사람은 경제활동을 위해 국내에 남아 생활하는 가족유형이다. 이를 국경을 넘어 떨어져 지내는 경우 '초국적 가족(Transnational Family)' 또는 '다국적 가구(Multinational Household)'라 부르며, 2000년 이후 통신수단의 발달로 늘어난 '온라인 접촉'에 주목해 'N패밀리(Network Family)'라고도 한다. 기러기가족의 발생 원인은 자녀교육을 위해 부모가 어떤 대가라도 치를 수 있다는 부모-자녀 일체감, 대학입시와 학벌사회에서의 생존 두려움, 공교육에 대한 불신, 과중한 사교육비, 부정적인 학교경험, 외국체류경험, 고부갈등, 영어능력의 필요성, 정보화 추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2. 분거가족의 현황
2.1. 배우자 분거가족 비율
배우자 분거가족 비율은 전체 가구의 약 5%를 차지하고 있다. 사회조사에 따르면, 2006년도에 4.7% 수준이었던 배우자분거가족은 2008년도 다소 감소하여 3.8%였으나 2012년도 5.7%로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최근 들어 전체 가구의 약 5%는 배우자가 분거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2. 미혼자녀 분거가족 비율
미혼자녀 분거가족의 비율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회조사에 따르면 2006년 17.0%의 수준이었던 미혼자녀 분거가족 비율이 2012년에는 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12년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 최근에는 국내외에 거주지를 두고 장기간 떨어져 살고 있는 미혼자녀 분거가구의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미혼자녀 분거가족의 주된 이유로는 취학과 취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자녀의 교육을 위해 부모가 자녀와 떨어져 사는 경우가 많으며, 취업을 위해 부모와 별거하는 미혼 자...
참고 자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한국가족문화원(2005). 21세기 한국가족(문제와 대안)
유영주 외(2004). 새로운 가족학
정현숙, 유계숙, 최연실(2003). 결혼학
정옥분, 정순화, 홍계옥(2005). 결혼과 가족의 이해
임경자,임주영(2011).베이비붐 세대 분거가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아내를 중심으로.16(2). 197,205~206
강문희, 박경, 외2명(2006). 가족상담 및 심리치료. 신정. p316~318
http://www.fnnews.com/view?ra=Sent0901m_View&corp=fnnews&arcid=201305140100127900007302&cDateYear=2013&cDateMonth=05&cDateDay=1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518447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11107365g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10241558310410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10120100363210
http://reviewstar.hankooki.com/Article/ArticleView.php?WEB_GSNO=10141384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12&news_seq_no=1495381
p://vod.sbs.co.kr/sw13/netv/player/netv_player.jsp?uccid=10000396913&boxid=&st=0&cooper=NAVER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7&aid=0000213885
김은지, “한국 가족변화의 특징과 전망 협동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박민지, “분거부부의 성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서울시립대, 2014
전리나, “기러기 아빠의 여가제약과 극복과정”, 연세대,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