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질 시대와 화석
1.1. 지질 시대의 구분
지질 시대의 구분은 지구 역사상 일어난 주요 사건들을 기준으로 크게 누대(Eon), 대(Era), 기(Period), 세(Epoch)로 나뉜다. 우선 지질 시대의 첫 시기는 선캄브리아 시대(Precambrian Era)이다. 선캄브리아 시대는 대체적으로 온난했지만, 빙하 퇴적물이 발견되어 일부 추운 시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에디아카라 동물군 화석이 산출되었다.
고생대는 캄브리아기, 오르도비스기, 실루리아기, 데본기, 석탄기, 페름기로 세분된다. 캄브리아기와 실루리아기는 온난했고, 오르도비스기는 한랭했다. 생물상으로는 캄브리아기에 삼엽충과 완족류 등이 번성하였고, 오르도비스기에는 삼엽충과 필석류가 번영했다. 실루리아기에는 필석류, 산호, 갑주어 등이 출현하였고, 양치식물이 최초로 육상 생활을 시작하였다. 데본기에는 갑주어와 폐어 등의 어류, 최초의 양서류가 출현하였다. 석탄기에는 방추충, 산호류, 유공충 등이 번성하였고, 페름기에는 은행나무와 소철 등 겉씨식물이 번성하였다.
중생대는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구분된다. 중생대 전체적으로는 온난하고 빙하기가 없었던 것이 특징이다. 트라이아스기에는 암모나이트와 원시 포유류가 출현하였고, 쥐라기에는 공룡과 암모나이트, 겉씨식물이 번성하였다. 백악기에는 공룡과 암모나이트가 최전성기를 맞았지만 백악기 말에 멸종하였다.
신생대는 팔레오기와 네오기로 나뉘며, 여러 차례의 빙하기와 간빙기를 거치며 오늘날과 유사한 수륙 분포가 형성되었다. 이 시기 화폐석이 번성하였고, 인류의 조상이 출현하였다.
1.2. 화석(fossil)
1.2.1. 표준화석
표준화석은 특정 기간 동안 넓은 영역에 걸쳐 존재하는 화석이다. 표준화석이 되기 위해서는 생물의 생존 기간이 짧고 분포면적이 넓어야 하며 개체수가 많아야 한다. 이러한 표준화석은 지층이 생성된 시기를 판단하는 근거로 이용된다.
대표적인 표준화석으로는 삼엽충, 필석, 화폐석 등이 있다. 삼엽충은 고생대 전기에 번성하였고, 필석은 고생대 전ㆍ중기에 번성하였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