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숙아 출산의 모체요인과 관련된 문제
1.1. 태아 알코올 증후군
1.1.1. 정의 및 원인, 병태생리
태아 알코올 증후군은 임신 중 여성이 알코올을 섭취함으로 인하여 아기에게 정신적 신체적인 결함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에탄올은 중추신경억제 작용을 가지고 있어 초기에는 억제중추의 마비로 외관상 흥분된 것처럼 보이지만, 진정제 및 수면제와 마찬가지로 용량이 증가하면 진정, 수면, 마취, 혼수, 사망의 단계를 밟는다. 에탄올은 의존성이 있어 환각, 경련 등의 금단 증상을 일으킨다. 특히 임신 6-9개월에 혈중 농도가 증가하면 알코올이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알콜증후군을 초래한다.
1.1.2. 사정
태아 알코올 증후군의 사정은 다음과 같다. 태아 알코올 증후군은 임신 중 여성이 알코올을 섭취함으로써 아기에게 정신적·신체적 결함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에는 소뇌증, 저긴장성, 자극에 대한 반응 저하, 비정상적 반사, 떨림 등이 있다. 특히 얼굴모양이 비정상적인데 턱이 작고, 코가 납작하거나 매부리 모양이며, 윗입술이 얇고, 주홍색의 입술과 편평한 인중 등 특이한 얼굴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중격과 판막의 결손 등 선천성 심장질환, 눈, 신장, 선천성 고관절 탈구와 같은 골격계 이상 등의 다른 기형이 동반될 수 있다. 수유 곤란과 구강 섭취의 어려움도 지속될 수 있다."
1.1.3. 치료와 간호
태아 알코올 증후군의 치료와 간호는 다음과 같다.
성장 발달 지연을 보이는 영아의 경우, 체온 소실을 방지하고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며 환경적 자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빠는 반사가 저하되어 수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수유에 많은 시간과 인내심이 필요하다고 부모에게 사전에 인지시키고 수유 시 방문객을 제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자주 활력징후를 사정하여 경련이나 호흡부전 상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특이한 외모, 불안정, 수면장애 등의 영아 특성으로 인해 부모가 좌절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부모 지지와 긍정적인 양육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간호사는 부모에게 영아를 직접 돌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영아의 신호를 해석하고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태아 알코올 증후군의 치료와 간호에는 영아의 성장 발달 지연, 비효율적 수유 양상, 부모역할 장애 등의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영아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영아와 부모 모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부모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영아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태아 알코올 증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