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에어로케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군사용 드론의 개발과 활용
1.1. 드론의 정의와 개념
1.2. 군용 드론의 필요성
1.2.1. 장시간 비행의 대체자
1.2.2. 핵물질 회피 해결
1.2.3. 조종사의 위험 피하기
1.3. 군용 드론의 종류
1.3.1. 연구개발 드론
1.3.2. 표적 드론
1.3.3. 정찰 드론
1.3.4. 전투 드론
1.3.5. 병참 드론
1.3.6. 군집 드론
1.3.7. 나노 드론
1.3.8. 전자전 드론
1.4. 코로나 상황에서 항공산업의 전망
1.5. 코로나 상황에서 보건의료 산업 전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군사용 드론의 개발과 활용
1.1. 드론의 정의와 개념
드론은 인간이 탑승하지 않고 외부에서 조종을 하거나 자율 조종이 가능한 무인항공기를 의미한다. 기존의 유인항공기의 개념과는 반대되는 무인 항공기의 개념에서 출발한 것이 드론이다. 따라서 드론과 유인항공기는 여러 가지 유사점을 보인다. 소형 드론의 경우 트럭에 탑재 후 캐터펄터를 이용해 이륙시키기도 하고, 작은 기체는 손으로 던져 날리기도 한다. 또한 기체에 갈고리를 달아 지상의 와이어에 걸리게 하여 회수하기도 한다. 대형 드론은 가스터빈 엔진이나 피스톤 엔진을 사용하고, 경량 드론은 전동모터를 사용한다.
드론은 프로그램에 따라 자율 비행이 가능하지만, 아직 유인항공기에 비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특히 충돌에 있어 약점을 가지고 있어, 충돌 회피 프로그램 개발 등이 진행 중이다. 드론은 처음 군함의 대공포 사격 훈련에 표적기로 이용되면서 시작되었으며, 점차 군사적 활용 범위가 확대되어 왔다.
1.2. 군용 드론의 필요성
1.2.1. 장시간 비행의 대체자
비행은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한 작업이다. 장기간 비행을 하는 것은 조종사들을 지치고 피곤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미국의 B-2 스텔스 전략폭격기는 대륙과 대륙을 30시간 이상 비행해서 폭격한다. 코소보 분쟁 당시에 B-2 승무원들은 미국 본토의 미주리주의 기지에서 발진해서 세르비아에 이르는 왕복 30시간의 장시간을 비행해야 했다. 조종석의 왼쪽에는 조종사가 앉고 오른쪽에는 공중 임무 지휘관이 앉는다. 당시 미국은 장시간의 비행으로 인한 피로감을 고려해서 탑승 승무원을 3명으로 늘렸지만 부대 지휘관은 승무원의 피로 관리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었다. 당시 지휘관들은 40시간 임무를 승무원의 최대 한계로 간주했다.
이와는 반대로 드론 MQ-1은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상공에서 하루 종일 비행을 했다. 조종요원들은 미국에 있는 조종실에서 4시간 단위로 교대하면서 작전에 임했다. 드론 조종요원은 항상 최적상태로 작전에 임할 수 있었다. 이들은 미국의 조종실에 앉아서 위성통신을 이용해 드론을 조종하면서 정찰, 요인 암살, 수송차량 저지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이처럼 조종사의 피로도를 한번에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이 드론이다.
1.2.2. 핵물질 회피 해결
군사용 드론은 유인항공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 중에서도 핵물질 회피 작전에 드론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유인항공기가 핵폭탄이 폭발한 직후의 핵구름을 상공에서 조사하다가 방사능 피폭될 위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육군항공대와 공군, 해군은 1946년부터 1948년까지 핵폭탄이 폭발한 직후 핵구름 상공을 비행하며 방사능 물질 표본을 수집하는 위험한 임무를 수행했다. 조종사가 방사선에 피폭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이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주력 대형 폭격기였던 보잉 B-17 플라잉 포트리스를 드론으로 개조하여 작전에 투입했다. 이는 드론을 이용해 위험한 핵물질 작전을 수행한 첫 사례이다.
유인 항공기를 투입할 경우 조종사가 방사선에 피폭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드론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핵폭탄 실험 등 방사능 노출이 우려되는 작전에 드론을 투입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1.2.3. 조종사의 위험 피하기
조종사의 위험 피하기는 군사용 드론이 개발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다. 과거 유인항공기를 이용한 정찰 임무 수행 중 많은 조종사가 목숨을 잃었다. 냉전 시기 미국은 많은 정찰기를 보냈는데, 정찰 임무를 수행하다가 격추된 유인정찰기만 23대에 달했고 희생된 항공요원도 179명에 이르렀다. 특히 정찰기가 다녀가면 수집해간 정보를 바탕으로 폭격기 공격이 시작되기 때문...
참고 자료
강왕구, 채인택, 계동혁, 드론 바이블, 플래닛미디어, 2021
마틴 도허티, 이재익 역, 드론 백과사전, Human & Books, 2017
양욱, 이미 미국은 20년간 드론 전쟁 중, 시사저널, 2020.01.20.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622
2021 항공운송산업전망, 한국교통연구원
코로나19 직격탄 맞은 항공업계, 2021년엔 날 수 있을가, 김우영, 조선비즈, 2020.12.31.
2년 더 있어야...항공 업계의 멀고 먼 코로나 극복기, 이가영, 이코노믹리뷰, 2021.02.20.
내년 보건산업 수출 256억 달러로 지속적 성장 전망, 신형주, 메디컬 옵저버, 2020.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