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하얀 가면의 제국
1.1. 하얀 나라를 아십니까?
1.1.1. 러시아와 도스토예프스키
우선, 도스토예프스키는 러시아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사회주의를 표방하면서 개혁과 혁명을 통한 악의 제거와 인간사회의 개선을 꾀했다. 그러나 말년에는 반사회주의적 운동에 선봉하는 삶을 살게 된다. 따라서 후반기 그의 삶은 교회와 국가의 맹신으로 이어지는 대조적인 명암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작가는 타자의 삶 내면의 모습을 관철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바라봐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즉, 도스토예프스키는 초기에는 사회주의적 성향을 보였지만 점차 반사회주의적 입장으로 전환되었다. 그의 이러한 변화는 러시아 사회 내부의 모순과 갈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삶과 작품은 러시아의 복잡한 사회·정치적 상황을 대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작가는 타자에 대한 이해와 비판적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했다고 할 수 있다.
1.1.2. 체첸 반군과 러시아
체첸은 러시아 연방에 속한 지역이지만 오랫동안 독립운동을 펼쳐왔다. 체첸 민족은 오랜 역사를 가진 민족으로,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다. 체첸은 러시아에 의해 여러 차례 강제로 병합되었고, 이에 따라 체첸 민족은 러시아에 대해 끊임없이 저항운동을 펼쳐왔다.
1990년대 초 소련 붕괴 이후 체첸은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이를 용납할 수 없었고, 체첸과 두 차례의 전쟁을 치르게 된다. 첫 번째 체첸 전쟁(1994-1996)에서 체첸 군대는 러시아군을 물리쳐 독립을 쟁취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이를 인정할 수 없었고, 1999년 다시 한 번 체첸을 침공했다. 이른바 두 번째 체첸 전쟁이 시작된 것이다.
이 전쟁에서 러시아군은 막강한 화력과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체첸을 장악해 나갔다. 그러나 체첸 반군은 게릴라전을 펼치며 끈질긴 저항을 계속했다. 결국 러시아는 체첸을 정복할 수는 있었지만, 끝까지 완전한 평화를 달성하지는 못했다. 체첸 반군은 지금까지도 간헐적인 테러 공격을 감행하며 독립을 요구하고 있다.
체첸 반군에 대해 러시아는 테러리스트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체첸 측에서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체첸 반군은 자신들이 러시아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는 정당한 민족해방운동을 펼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체첸은 역사적으로 독립국이었음을 강조하며, 러시아의 침략에 저항하는 것은 정당한 행위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체첸 문제는 여전히 첨예한 갈등 요인으로 남아있다. 러시아는 체첸을 연방 내의 한 지역으로 인정하고 통제하려 하지만, 체첸 측은 독립을 요구하며 끈질긴 저항을 계속하고 있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양측의 입장을 균형 있게 고려하고, 평화로운 대화를 통한 타협점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1.3. 유럽과 서양의 문제
유럽사회 일부에서 나타나는 성의 문란과 관습화된 기부 문화는 동양 철학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