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연구주제: 코로나 19와 같은 세계적인 팬데믹이 우리 사회의 경제에 어떤 악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그에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코로나19 팬데믹이 야기한 경제적 불평등 문제
1.2. 불평등 문제의 중요성과 해결 방안 모색
2. 본론
2.1.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빈곤의 악화
2.1.1. 절대빈곤율 상승
2.1.2. 아동과 취약계층의 보호 위기
2.1.3. 교육 기회의 격차 심화
2.2. 팬데믹 이후 근로 변화와 그 영향
2.2.1. 노인과 여성 고용의 변동
2.2.2. 식량 공급의 불균형
2.3. 경제적 양극화와 회복 가능성
2.3.1. 부유층과 빈곤층의 자산 격차 심화
2.3.2. 빈곤층의 장기적 회복 지연 전망
2.4. 사회구조적 요인과 불평등
2.4.1. 신자유주의와 시장 중심 정책
2.4.2. 가구구조와 자산 분포의 변화
2.4.3. 코로나19의 취약계층에 대한 차별적 영향
2.5. 불평등 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응
2.5.1. 가계부채 해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2.5.2. 기업 구조 개선과 중소기업 지원
2.5.3.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확대
3. 결론
3.1. 요약 및 시사점
3.2. 지속 가능한 균형 발전을 위한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코로나19 팬데믹이 야기한 경제적 불평등 문제
코로나19 팬데믹이 야기한 경제적 불평등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먼저 세계적으로 절대빈곤율이 급상승했는데, 세계은행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1년 만에 1억 명 가까이 추가로 절대빈곤에 빠졌다""라고 한다. 이는 지속가능발전목표에서 세웠던 2030년까지의 빈곤 종식 계획이 큰 차질을 빚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아동과 취약계층의 보호 위기가 급격히 악화되었다. 글로벌 보고서에 따르면 빈곤 가정의 아동 중 원격 학습을 위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아동은 1%에 미치지 못했으며, 빈곤 가구의 82%가 코로나19 이후 소득 감소를 경험했다고 한다. 더욱이 교육 기회의 격차도 심각해져서, 코로나19로 전 세계 10세 어린이의 70%가 간단한 글을 읽거나 이해하지 못하게 되었다는 통계가 있다.
고용 측면에서도 코로나19의 영향이 컸다. 특히 노인과 여성의 경우 30% 이상의 일자리 변화를 겪었으며, 여성 가구주의 노년세대 중 65.1%가 빈곤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처럼 코로나19 팬데믹이 기존의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더욱 큰 타격을 주면서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킨 것이다.
더불어 팬데믹 기간 중 전 세계적인 식량 공급의 불균형 현상이 나타났다. 고소득 국가에서는 식육제품의 과잉 소비가 발생하는 반면, 저소득 국가에서는 식량 공급 부족 사태가 벌어졌다. 이는 극심한 기아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코로나19 팬데믹은 기존에 존재했던 사회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감염병의 확산과 이를 막기 위한 조치들이 취약계층에게 더욱 가혹한 영향을 미치면서, 빈곤과 교육 기회의 격차, 고용 악화 등의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 이는 향후 사회적 통합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적 개입과 해결책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2. 불평등 문제의 중요성과 해결 방안 모색
경제적 불평등은 단순히 자원 배분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의 갈등과 불안정을 초래하는 심각한 사회 문제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이러한 불평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하다.
불평등은 사회적 양극화와 갈등, 범죄율 증가, 건강 및 교육 수준 저하 등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한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위기는 이러한 문제를 더욱 증폭시켰는데, 취약계층의 생활고가 심화되고 교육 기회의 격차가 벌어지면서 사회적 통합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자산가와 일반 국민 간의 격차가 더욱 벌어지면서 사회적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사회 전반이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먼저 가계부채 해소와 사회안전망 강화를 통해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기업 구조 개선과 중소기업 지원을 통해 경제 양극화를 해소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기본적 삶의 질을 보장하고, 교육 기회의 균등을 실현하는 등 제도적 대응이 필요하다.
더불어 신자유주의 체제에 의해 심화된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장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구구조 변화와 자산 분포의 변화 등 사회구조적 요인에 대한 이해와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경제적 불평등 문제는 사회 전반의 과제이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라 할 수 있다. 정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2. 본론
2.1.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빈곤의 악화
2.1.1. 절대빈곤율 상승
절대빈곤율 상승이다. 지속가능발전목표에서도 2030년까지 빈곤종식을 목표로 세계적 노력을 촉구한 바 있으나 코로나 펜데믹이 이러한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래프를 보면 코로나 이전예상그래프와 이후 그래프의 격차가 아주 큰데, 절대 빈곤 인구는 해마다 2천만 명이 감소하다가 가량 줄어들다가 2020년에 급상승세로 증가하며 처음으로 추세가 반전되었다. 세계은행 월드뱅크는 1.9달러, 즉 우리돈 2500원쯤으로 하루살이 하는 '절대 빈곤'은 한 해에만 1억 명 가까이 늘었다고 한다.
2.1.2. 아동과 취약계층의 보호 위기
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의 팬데믹을 선포한 지 6개월 만에 발표된, 가정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취약한 아동이 교육과 보건에서 소외되었다"" 빈곤 가정의 아동 중 원격 학습을 위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아동은 1%에 미치지 못했으며 빈곤 가구의 82%가 코로나19 이후 소득 감소를 경험했다고 한다"" 또한 89%의 빈곤 가정은 의료서비스 이용과 의약품 구입에 어려움을 겪었고, 32% 가구의 아동과 보호자가 가정 내에서 신체적 정서적 폭력이 있었다고 답했다"" 팬데믹이 시작된 이래로 세계 빈곤아동의 이렇듯 심각한 보호 위기를 초래했다""
2.1.3. 교육 기회의 격차 심화
팬데믹 이후 교육 기회의 격차가 심화되었다"이다. 『2022 글로벌 학습 빈곤 현황 보고서』에 따르...
참고 자료
박수영, 안미선, 조예은(2020). 개발협력의 관점에서 본 코로나19의 영향과 대응방안.개발과 이슈,(61),1-43.
정지선, 유애라 (2020). 국제사회의 SDGs 이행성과와 코로나 이후 한국의 ODA 정책과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ISSN 1976-0515
http://sasw.or.kr/zbxe/column/516000 서울특별시 사회복지사협회 칼럼 (코로나와 빈곤 사각지대)
UNICEF for every child 뉴스 ‘전 세계 10세 어린이의 70%가 간단한 글을 읽거나 이해하지 못합니다.’ https://www.unicef.or.kr/what-we-do/news/155963
OXFAM 옥스팜 뉴스 ‘전 세계 99% 소득은 줄고, 세계 10대 부자들의 자산은 2배로 증가’ https://www.oxfam.or.kr/press_0117_davos2022/
김윤태. (2022). 코로나19 이후 시대의 불평등과 국가의 역할.공공사회연구,12(1),251-280.
여유진 kbs뉴스 (빈곤층에 더 가혹한 코로나 19 촘촘한 대책 필요)
김영아. 2021."코로나 탓…1.9달러로 하루 살이 '절대 빈곤' 1억 명 늘어“. SBS 뉴스
류희진. 2021. 코로나 1년, '아동 행복감' 소득에 따라 격차. 경북일보
이재. 2021 코로나19가 부채질한 노인·여성 빈곤. 매일노동뉴스
강유덕. "코로나19 팬데믹은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켰는가? 유럽 국가를 대상으로 한 미시데이터 실증연구." 유럽연구 41.1 (2023): 155-190.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97076&cid=47321&categoryId=47321
외환위기 [外換危機]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7931&cid=40942&categoryId=3182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20414&cid=40942&categoryId=32773
박경현, 국토연구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불평등 심화와 균형발전 정책과제>, 2021.
복지국가와 사회복지정책 안병영(대학교수), 정무권(대학교수) 외 2명 저 | 다산출판사 | 2018.08.25
설유진 ‘불평등을 완화하는 새로운 사회정책’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
연금정보 http://www.nps.or.kr/jsppage/app/info/main/main.jsp
한겨레일보 2018.12.14. ‘국민연금 보험료 3~4%p 올리거나 ‘세금 재원’ 기초연금 올리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