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프로그램 기획안 치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보건프로그램 기획안 치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치매안심센터 소개
1.1. 운영 목적
1.2. 시설 현황
1.3. 치매 현황
1.4. 주요 사업

2. 치매안심센터 사업
2.1.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
2.2. 치매 예방 관리사업
2.3. 치매 환자 쉼터
2.4. 치매 지원 서비스 관리사업
2.5. 치매 가족 및 보호자 지원사업
2.6. 치매 인식개선 사업
2.7. 치매 파트너 사업
2.8. 치매 안심마을 운영
2.9. 지역사회 자원강화 사업

3. 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3.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3.2. 본론 - 연구 및 기존 진행 중인 프로그램, MATCH 모형, 표적집단, 대상자 집단, 이론 적용, 프로그램 기대효과, 프로그램 평가
3.3. 결론 - 과제를 수행하며 느낀 점

4. CHPP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ject)
4.1. 목적 및 목표
4.2. 수행 결과물
4.3. 서론 - 문제의 정의, 문제의 크기 및 심각성, 우리나라와 지역의 문제 현황
4.4. 사정
4.5. 분석과 간호진단
4.6. 프로그램 설계(계획, 수행,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치매안심센터 소개
1.1. 운영 목적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예방, 상담, 조기진단, 보건·복지 자원연계 및 교육 등 유기적인 '치매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치매 중증화 억제 및 사회적 비용을 경감하고, 궁극적으로는 치매 환자와 그 가족, 일반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운영 목적이다.


1.2. 시설 현황

치매안심센터의 시설 현황은 다음과 같다. 중앙 치매 센터 1개소, 광역 치매 센터 17개소, 치매안심센터 256개소, 치매 안심병원 4개소로 총 278개소의 치매 관리 수행 기관이 있다. 전국적으로는 치매안심센터가 256개소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광역 치매 센터가 17개소, 치매 안심병원이 4개소 순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치매 관리를 위해 전국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치매 관리 기관들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3. 치매 현황

치매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20년 기준 전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8,134,674명이며, 이 중 치매 환자 수는 840,191명으로 치매 유병률은 10.33%이다. 인천광역시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392,688명이며, 치매 환자 수는 38,916명으로 치매 유병률은 9.91%이다. 인천 서구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55,341명이며, 치매 환자 수는 5,244명으로 치매 유병률은 9.48%이다.

전국 단위의 65세 이상 치매 환자 유병률 추이를 보면, 2008년 8.0%, 2012년 9.18%, 2016년 10.08%, 2020년 10.3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치매 환자 수와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인천광역시 서구 지역의 경우에도 전국 평균보다 높은 치매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치매 예방과 관리를 위한 다각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4. 주요 사업

지역주민의 인지 건강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 또는 외부 서비스 연계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1) 치매 조기 검진, 2) 치매 예방 관리, 3) 맞춤형 사례관리, 4) 치매 환자 쉼터, 5) 가족 및 보호자 지원, 6) 인식개선, 7) 치매 파트너 사업, 8) 치매 안심마을 운영, 9) 지역사회 자원강화 사업 등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치매 환자와 그 가족, 일반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2. 치매안심센터 사업
2.1.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

치매안심센터의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 건강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다양한 관리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치매 노인 혹은 고위험군, 정상 노인의 삶의 질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치매 환자와 가족에게 치매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족의 부양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한다. 치매 예방, 진단 등 치매 관련 제반 서비스가 안내 및 제공될 수 있도록 등록자의 주요 정보 파악을 위한 상담을 실시한다. 신규 등록자는 반드시 실시하고, 요양시설 입소자를 제외한 지역 치매 환자는 연 1회 이상 재상담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치매 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하고 전체 돌봄 경로를 관리한다.

따라서 치매안심센터의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은 지역사회 거주 치매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다양한 치매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맞춤형으로 관리하여 치매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가족의 부양 부담 경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 치매 예방 관리사업

치매 예방 관리사업은 지역주민 및 치매 고위험군에게 치매 발생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치매 예방 실천 행동 강령을 제시하고, 인지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치매 발병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발병 시기를 늦추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치매 예방수칙 3·3·3, 치매 예방 운동법, 치매 체크 앱, 치매 예방 실천 치수 등을 확산하고, 치매 예방교실, 인지 강화교실 등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지역주민의 치매 예방 인식을 높이고 치매 고위험군의 인지기능 유지 및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2.3. 치매 환자 쉼터

치매 환자 쉼터는 경증치매 환자를 낮 동안 보호하며 치매 악화를 방지하고 사회적 교류를 증진시키는 한편, 치매 환자를 돌보는 주 보호자의 부양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쉼터에서는 치매 환자에게 전문적인 인지 자극 프로그램과 돌봄 서비스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치매 환자의 치매 악화를 방지하고 사회적 고립 및 외로움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의 부양 부담을 경감시킴으로써 전반적인 돌봄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쉼터의 대상자는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경증 치매 환자로, 장기요양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았거나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있는 자, 인지 자원 등급자 등이 해당된다"" 이들에게는 치매예방 체조, 인지훈련 치료, 회상/현실 훈련, 작업치료, 미술치료 등의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치매 환자 쉼터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2020년 기준 치매 환자 쉼터 프로그램 운영이 253회, 이용자 수가 1,323명이었으며, 2021년에는 운영 목표를 1,600회, 이용자 수 16,000명으로 설정하였다"" 다만 코로나19 감염병 장기화로 인해 쉼터와 돌봄터 운영이 제한되면서 치매 지원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1:1 맞춤형 가정방문 서비스와 긴급돌봄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민관 협력을 통한 지역자원 연계 활동을 강화하는 등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2.4. 치매 지원 서비스 관리사업

치매 지원 서비스 관리사업은 치매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사업에는 배회 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조호 물품 제공, 치매 환자 맞춤형 사례관리,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등이 포함된다.

첫째, 배회 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사업은 실종 위험이 있는 치매 환자와 만 60세 이상 어르신에게 실종 예방을 위한 인식표를 보급하여 조속한 발견과 복귀를 지원함으로써 안전한 보호와 가족의 복지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다.

둘째, 조호 물품 제공 사업은 치매 환자의 상태에 따라 돌봄에 필요한 물품을 무상으로 공급하여 치매 환자 및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다. 제공되는 물품에는 인지 강화/인지 재활 용품, 미끄럼방지 용품, 약 달력 및 보관함, 보호대, 기저귀 등이 포함된다.

셋째, 치매 환자 맞춤형 사례관리 사업은 돌봄 사각지대에 있는 치매 환자의 신체, 심리, 사회, 환경적 요구에 맞는 문제에 집중 개입하여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넷째,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참고 자료

인천광역시. 2021년 주요업무계획(보건소). 치매돌봄과.
인천광역시 서구보건소 [인터넷]. c2016. 치매에방 및 관리사업.
인처광역시 서구 치매안심센터 [인터넷]. 치매환자 서비스
보건복지부 치매정책과. 2021년 치매정책 사업안내. 3장. 라온기획; 2021년.
보건복지부. 2020년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Ⅰ. 3장. 2020년.
중앙치매센터 [인터넷]. c2013. 치매오늘은; 2013년
중앙 치매센터.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9. 1장. 34p
송연이, 이강숙, 조현영, 이빛나 (2014). 대상자 중심의 만성질환 자가관리 프로그램.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1(4), 93-106
강정희 (2021). 고혈압 환자의 혈압 인지율과 치료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 1-12.
임정자, 윤소영 (2020). 보건진료소 중심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경험공유 자가관리 프로그램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7), 331-341.
e-나라지표. 만성질환 현황. 21.10.11. retrieved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38
2019년 국민건강통계, http://knhanes.kdca.go.kr
김춘미(2019) 제2판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 서울
황옥남외 공저(2018),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 서울
대한고혈압학회. 가정혈압측정, Retrived 2021.05.19 from http://www.koreanhypertension.org/sense/family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고혈압ㆍ당뇨병 등록ㆍ교육센터 등록환자 및 교육자를 위한 교육 가이드라인 개발(2013), Retrived 2021.05.19. from http://www.nih.go.kr/board/board.es?mid=a40801000000&bid=0050&act=view&list_no=20869
이진희, &조혜진. (2018). 유아교사의 구강건강지식 및 구강관리실천이 유아의 구강건강지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5), 845–865.
이상호 외. (2018). 소아-청소년치과학. 고문사, 4–66.
권보영. (2020). 어머니가 유아기 자녀의 구강건강관리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이수정. "학령전기 아동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국내박사학위논문 한서대학교, 2019. 충청남도
구효진 외 1명. 유아교육 관련 학과 학생의 구강보건교육 필요도에 관한 연구.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 NO.1 p.11-19. 2018.
이민선, 이혜린. 우리나라의 구강건강 조사체계에 따른 아동·청소년 구강건강 수준 비교. 2022; 24(2), 255-269.
김도연(2021), 어린이집 교사의 주도적 구강관리활동에 근거한 질적 연구, 동의대학교대학원, 석사
질병관리청, “만12세 아동 절반 이상은 여전히 치아우식(충치)을 경험”, 2023.10.24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act=view&list_no=722808
청주시청, “청주소개-행정동, 법정동 현황”, 2023.10.24. https://www.cheongju.go.kr/www/contents.do?key=7680
청주시청, “2023년 9월 청주시 인구통계”, 2023.10.26. https://jikjiworld.cheongju.go.kr/stat/selectBbsNttView.do?key=1682&bbsNo=538&nttNo=227431&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integrDeptCode=
청주시청, “서원구 구강교육”, 2023. 10. 24 https://jikjiworld.cheongju.go.kr/ticket/selectWebEduCourseView.do?key=17138&eduCourseNo=22284 서원보건소, “구강건강관리”, 2023. 10. 24 https://www.cheongju.go.kr/swhealth/viewTnHealthLfeCycleBsnsU.do?key=20825&no=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