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무현의 리더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노무현 대통령 리더십의 배경
2.1. 정치, 사회, 문화적 배경
2.2. 노무현의 성장과 사회활동
3. 참여정부의 국정철학
3.1. 대중정치에 대한 도전
3.2. 국정운영의 기조와 특성
4. 참여정부의 정책수행
4.1. 혁신과 창조
4.2. 다원주의적 확산과 균형
4.3. 남북평화공존
5. 노무현 리더십의 평가와 과제
5.1. 리더십의 변화
5.2. 정책결정과 이행
5.3. 향후 대통령 리더십의 방향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노풍이 등장하게 된 정치, 사회, 문화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3김 시대의 지역감정 자극, 봉건적 사당 정치, 정권 창출을 위한 정략적 담합, 전근대적 권력 사유화 등 부정적 요소들이 특징이었다. 그러나 이제 시대는 양김이 보여준 제왕적 리더십을 더 이상 바라지 않는다. 정치인들이 여전히 그대로인 데 대해 혐오를 느끼는 시민들은 새로운 리더에 대한 열망을 품게 되었고, 그들은 바로 노무현에게서 그 희망을 보게 되었다. 이것이 이른바 "노풍"이다.
민주당의 국민경선제는 정치 개혁에 열망있는 국민들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열어줌으로써 노풍을 가능하게 했다. 국민들의 정치적 무관심은 독재 정치 시절부터 굳어져버린 패거리정치에 대한 혐오감에서 비롯된 것이었는데, 제도의 민주화를 통해 후보 선출에 대한 국민 참여를 강화함으로써 국민들의 관심을 얻어내는데 성공했고 그 결과로 노무현이 대선에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지난 20년 간 한국 사회에는 경제성장을 이룸과 함께 '다양화' 라는 문화적인 변화도 함께 일어났다. 독재는 비민주적이며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이었기 때문에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졌지만 그 지배구조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패거리 정치와 사대벌족의 이데올로기는 반공주의, 성장주의, 지역주의, 학력주의 등이다. 이러한 지배구조는 사회의 다양화란 흐름과는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다. 현재 유권자의 20대와 30대는 풍요로운 시대에 청소년기를 보낸 반권위주의적인 세대이며 고학력의 소유자들이다. 권위주의적 리더십으로는 이들을 사로잡을 수 없는 것이 당연하다. 그들은 정치 참여의 중요성은 잘 알고 있으나 기성 정치에 대해서는 불신하며 혐오한다. 이들 세대가 바로 노무현의 지지층이라는 데서 그의 리더십은 흥미롭다.
또한 인터넷은 쌍방향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국민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전 국민의 70%가 인터넷을 이용하는 나라에서, 네티즌의 힘을 무시할 수 없게 된 이상 이제는 국민들과 인터넷상으로 직접 대화할 수 있는 정치인만이 지도력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회 문화적 배경에서 노무현은 가능성을 가진 리더로 떠올랐다. 최초의 정치인 팬클럽이라고 하는 노사모가 생길 만큼 국민들의 기대는 큰 것이었다.
2. 노무현 대통령 리더십의 배경
2.1. 정치, 사회, 문화적 배경
노무현 대통령 리더십의 배경 중 '정치, 사회, 문화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JP YS DJ으로 대변되는 3김 시대는 DJ의 집권을 마지막으로 끝이 났다. 유감스럽게도 3김 시대를 특징짓는 것은 지역감정의 자극을 통한 3김의 지역할거, 이를 기반으로 한 봉건적 사당 정치의 확립, 이들간의 정략적 담합에 의한 정권 창출, 그리고 창출된 권력의 전근대적 사유화 등의 부정적 요소들이다. 이제 시대는 더 이상 양김이 보여준 제왕적 리더십을 바라지 않는다. 시대가 바뀌고 환경이 변화했음에도 여전히 그대로인 정치인들에게 혐오를 나타내는 시민들은 이제 대안으로 새로운 리더에 대한 열망을 품게 되었다. 그리고 그들은 바로 노무현에게서 그 희망을 보게 된 것이었다. 이른바 노풍이다.
민주당의 국민경선제는 정치 개혁에 열망있는 국민들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열어줌으로써 노풍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실상 국민들의 정치적 무관심은 독재 정치 시절부터 굳어져버린 패거리정치에 대한 혐오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러나 제도의 민주화를 통해 후보 선출에 대한 국민 참여를 강화함으로써 국민들의 관심을 얻어내는데 성공했고 그 결과로 노무현이 대선에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지난 20년 간 한국사회에는 경제성장을 이룸과 함께 '다양화' 라는 문화적인 변화도 함께 일어났다. 독재는 비민주적이며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졌지만 그 지배구조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패거리 정치와 사대벌족의 이데올로기는 반공주의, 성장주의, 지역주의, 학력주의 등이다. 이러한 지배구조는 사회의 다양화란 흐름과는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다. 현재 유권자의 20대와 30대는 풍요로운 시대에 청소년기를 보낸 반권위주의적인 세대이며 고학력의 소유자들이다. 권위주의적 리더십으로는 이들을 사로잡을 수 없는 것이 당연하다. 이들은 정치 참여의 중요성은 잘 알고 있으나 기성 정치에 대해서는 불신하며 혐오한다. 혁신을 바라는 이들 세대가 바로 노무현의 ...
참고 자료
http://www.knowhow.or.kr/노무현 공식홈페이지
http://www.nosamo.org/노사모
노무현일보 히딩크와 노무현<1>
http://www.election.co.kr/호감 가는 정치인, 노무현 1위
<한겨레21> 국민 여론조사… 대중이 열망하는 새로운 리더십은 무엇인가
http://vote.minjoo.or.kr/새천년민주당대선후보국민경선
노무현과 리더십
노무현과 국민사기극 (인물과 사상사, 강준만)
노무현; 상식 혹은 희망( 행복한 책읽기)
노무현과 자존심 (인물과 사상사 , 강준만)
'노풍의 사회학적 분석'(홍성태) 참여사회연구소
'노무현 현상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손혁재) 참여사회연구소
노무현의 리더십 이야기
Ⅰ. 국내자료
강준만 외. 1999. 『권력과 리더십』. 서울: 인물과사상사. 제2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