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 < 불멸의 연인 > 에서 베토벤의 동생인 요한과 쉰들러의 대립에 대한 생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1.1. 베토벤 연구의 배경
1.2. 문서 구성 및 목적
2. 베토벤의 삶
2.1. 베토벤의 가족관계
2.1.1. 아버지 요한 반 베토벤
2.1.2. 어머니 마리아 말달레나
2.2. 베토벤과 귀족 후원자
2.2.1. 베토벤과 귀족들
2.2.2. 베토벤과 리히노프스키 공작
2.3. 베토벤의 불멸의 연인
3. 불멸의 연인 영화 분석
3.1. 영화 소개
3.2. 주요 여인들과의 관계
3.2.1. 줄리아
3.2.2. 에르도디 부인
3.2.3. 조안나
4. 베토벤 음악 세계에 투영된 삶의 흔적
4.1. 어린 시절 경험과 음악
4.2. 장애와 고통의 표현
4.3. 음악을 통한 자기치유
5. 결론
5.1. 베토벤 인생에 대한 종합적 이해
5.2. 음악과 삶의 연관성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1.1. 베토벤 연구의 배경
베토벤 연구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인간관계란 사람 대 사람의 상호작용 또는 상호행위의 양식이다. 구체적 생활환경에 있어서 사람과 사람과의 사이에 생기는 심리작용으로 언어의 작용을 기본적 조건으로 하는 의사소통에 의해 대표된다. 레빈(Kert Lewin)의 집단역학이론이나 소시오메트리, 가족관계나 치료적 인간관계의 실천, 연구 등 복잡한 현대사회에 있어서 대응방법이나 인격의 성장발달과정으로서 인간관계가 논해지고 있다. '카핑 베토벤'이라는 영화를 보면서 베토벤의 삶과 그에 대해 궁금해졌다. 또한 비록 픽션이긴 영화상에서 베토벤의 연인으로 나오는 안나 홀츠를 보면서 베토벤과 관련된 사람들에 대해 알고 싶었다. 또한 이 연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처럼 베토벤의 인간관계에서 그들의 상호작용을 찾고 싶었다. 나는 이러한 베토벤의 인간관계를 통해 얻게 된 위의 효과들을 앎으로 인해 그의 삶과 그와 관련된 사람들을 아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1.2. 문서 구성 및 목적
이 문서의 구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베토벤을 주제로 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작성된 문서이다. 먼저 베토벤 연구의 배경을 살펴보고, 이 문서의 구성과 목적을 제시한다. 그리고 베토벤의 삶을 가족관계, 귀족 후원자와의 관계, 불멸의 연인과의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본다. 또한 불멸의 연인 영화에 등장하는 여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베토벤의 음악 세계에 투영된 삶의 흔적을 탐구한다. 마지막으로 베토벤의 인생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음악과 삶의 연관성을 정리한다. 이를 통해 베토벤의 생애와 음악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이 문서의 목적이다.
2. 베토벤의 삶
2.1. 베토벤의 가족관계
2.1.1. 아버지 요한 반 베토벤
베토벤의 아버지 요한 반 베토벤은 알코올 중독자였으며, 테너 가수였다. 그는 베토벤의 음악적 재능을 이용하여 사람들에게 그를 신동이라고 자랑하려 했다. 베토벤이 4살이 되자 아버지는 그를 몇 시간이고 클라브생(오늘날의 피아노의 전신인 쳄발로) 앞에 앉혀 놓기도 하고 바이올린을 켜도록 방 안에 가두어 놓기도 하는 등 지독한 훈련을 강요했다. 그는 어린 아들을 잔혹하고 거칠게 다루었으며, 벌을 주기 위해 다락방에 가두기도 했다. 게다가 그는 어린 베토벤에게 음악교육을 시키면서부터 때리기 시작했고, 폭력을 빈번하게 행사했다. 이런 아버지의 가혹한 대우에도 불구하고 베토벤은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베토벤은 평소에 아버지 이야기를 거의 하지 않았으며, 남들이 아버지를 비난하면 화를 냈다. 그러나 그는 단지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받은 음악교육'이 잘못되었다는 점만을 언급했을 뿐 단 한 번도 아버지를 비난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를 통해 베토벤도 또한 아버지를 사랑한 것으로 보인다. 요한 반 베토벤은 평생을 남의 위세에 눌려 살았던 나약하고 온순한 남성이었지만, 베토벤의 재능을 알아차리고 교육을 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그가 아들을 사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1.2. 어머니 마리아 말달레나
베토벤의 어머니 '마리아 말달레나'는 난폭한 아버지 밑에서 자란 소년 베토벤을 따뜻하게 격려해 주는 자상한 어머니로 묘사된다. 베토벤은 항상 주위에 그녀를 '정직하고 선량한 여성'이라고 말해 왔고, 편지에서도 "어머니는 내게 정말 훌륭하고 자상한 분이셨고, 내 최고의 친구"라고 표현할 정도로 어머니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많은 사람들도 베토벤의 어머니에 대해 유사한 표현을 하고 있는데, 1784년 라인 강의 홍수 때 그녀가 혼란에 빠진 사람들을 진정시키고 대피시켰다는 등 정의롭고 영웅적인 면모를 보였다고 한다. 이처럼 베토벤의 어머니는 매우 도덕적이고 강인한 여성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러나 베토벤의 어머니는 결혼에 대한 회의와 우울증에 시달렸고, 남편 요한을 비난하기도 했다. 이는 베토벤에게 여성에 대한 거절공포와 부정적인 정서 상태를 심어주었으며, 아버지에 대한 애증의 마음을 갖도록 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또한 어린 베토벤을 방치했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무관심과 사랑 부족을 느끼게 했을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베토벤의 어머니는 베토벤에게 상반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정의롭고 자상한 어머니상을 심어주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정서적 결핍과 부정적인 가정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베토벤의 삶과 음악세계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고 볼 수 있다.
2.2. 베토벤과 귀족 후원자
2.2.1. 베토벤과 귀족들
베토벤은 자존심 센 음악가였다. 당대 음악가들이 귀족들의 문을 두드리고 돌아다니며 일자리를 얻었다면, 베토벤은 그들의 문을 발길로 걷어차고 돌진해 들어갔다. 이는 당시 계몽주의와...
참고 자료
고규홍, 『베토벤의 가계부』, 서울 : 마음산책, 2008
금난새, 『금난새와 떠나는 클래식 여행』, 서울 : 생각의 나무, 2003
김태형, 『베토벤 심리 상담 보고서』, 서울 : 도서출판 부키, 2008
로맹 롤랑(R. Rolland), 『베토벤의 생애와 음악』, 이정림, 경기 : 범우사, 2007
이덕희, 『왜 베토벤인가』, 서울 : (주)문예출판사, 2011
네이버 지식백과 산업안전대사전, “인간관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08200&cid=476&categoryId=476, 2013.12.10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복지학사전, “인간관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71973&cid=476&categoryId=476, 2013.12.10
네이버 지식백과 최신명곡해설·클래식명곡해설, “베토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1954&mobile&cid=2999&categoryId=3016, 2013.12.10
자유를 외쳤던 음악의 혁명가 카핑 베토벤, 진화숙, 네이버캐스트, 2012. 08. 30 http://m.navercast.naver.com/mobile_contents.nhn?rid=176&contents_id=12232
베토벤 생애 최후의 작품 <현악 4중주 16번 F장조 op.135>, 문학수, 채널예스, 2013.12.9, http://ch.yes24.com/Article/View/23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