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페이스STP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노스페이스STP"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스페이스 기업 소개 및 현황
1.1. 노스페이스 브랜드 비전과 기업 개요
1.2. 노스페이스 제품군 분석

2. 아웃도어 시장 환경 분석
2.1. 아웃도어 시장 트렌드 및 경쟁 환경
2.2. 아웃도어 소비자 동향 및 특성

3. 노스페이스 SWOT 분석
3.1. 강점(Strength) 요인 분석
3.2. 약점(Weakness) 요인 분석
3.3. 기회(Opportunity) 요인 분석
3.4. 위협(Threat) 요인 분석

4. 노스페이스 마케팅 전략
4.1. 노스페이스 STP (세분화, 표적, 포지셔닝) 전략
4.2. 노스페이스 4P (제품, 가격, 유통, 촉진) 전략
4.3. 노스페이스 광고 및 프로모션 전략

5. 경쟁사 분석: 코오롱스포츠
5.1. 코오롱스포츠 SWOT 분석
5.2. 코오롱스포츠 마케팅 믹스 전략

6. 노스페이스 성공 요인 분석
6.1. 10-20대 고객 공략 성공
6.2. 다양한 상품 라인 개발
6.3. 차별화된 마케팅 및 홍보 전략

7. 노스페이스 향후 전략 방향
7.1. 브랜드 이미지 강화 방안
7.2. 제품 다양화 및 디자인 개선 방향
7.3. 지속적인 혁신과 차별화 전략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스페이스 기업 소개 및 현황
1.1. 노스페이스 브랜드 비전과 기업 개요

노스페이스는 196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더글러스 톰킨스와 케네스 "합"이 《The North Face》라는 장비 소매점을 개점하면서 시작된 미국의 아웃도어 제품 회사이다. 노스페이스 브랜드의 로고에 있는 3개의 심볼은 1960년대 당시 가장 오르기 힘들다고 여겨졌던 알프스 3대 북벽인 아이거, 그랑조라스, 마터호른을 상징한다.

노스페이스는 극한의 날씨와 지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고기능성의 아웃도어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브랜드 비전으로 "Creat Different!"와 "Eliminate Traditional Image!"를 내세우고 있다. 기존의 무채색이고 기능성에 중점을 둔 아웃도어 의류에서 벗어나 패션성과 트렌디함을 강조하여 아웃도어 의류를 일상에서도 입을 수 있는 캐주얼 아이템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또한 전문가 중심의 브랜드 이미지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령층을 아우르는 대중적인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1.2. 노스페이스 제품군 분석

노스페이스는 등산용품에서 시작하여 점차 다양한 제품군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왔다.

먼저 노스페이스의 대표적인 제품은 등산복 및 장비들이다. 고기능성 고어텍스 자켓, 다운 재킷, 배낭 등 전문 산악인들도 신뢰할 수 있는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특히 히말라야 등반 등 극한의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기능성과 내구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또한 노스페이스는 등산복을 넘어 일상복으로도 착용 가능한 캐주얼 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화이트라벨 컬렉션이 그 대표적 사례로, 기존의 등산 전문 이미지를 탈피하고 일상생활에서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과 스타일을 갖추고 있다. 커피 원두 찌꺼기를 활용한 친환경 소재 'S Cafe'를 적용하는 등 혁신적인 제품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한편 노스페이스는 아웃도어 의류 외에도 배낭, 모자, 신발 등 다양한 아웃도어 액세서리 제품군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배낭의 경우 등산용 전문 모델부터 일상생활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캐주얼 모델까지 폭넓은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유아동 라인인 "노스페이스 키즈" 제품군도 선보이며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을 가족 단위로 확대하고 있다. 다양한 연령대와 활동 목적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며 고객의 폭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노스페이스는 등산복과 장비에서 출발하여 점차 캐주얼 의류, 배낭, 신발 등 아웃도어 관련 풀 라인업을 갖추며 사업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고객층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브랜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2. 아웃도어 시장 환경 분석
2.1. 아웃도어 시장 트렌드 및 경쟁 환경

국내 아웃도어 시장은 미국적인 실용형과 유럽의 정통 아웃도어 브랜드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 아웃도어 브랜드들은 익스트림한 스타일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접목할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제품들을 전개하고 있다. 반면, 유럽 브랜드들은 변화무쌍한 날씨와 기후에 맞춰 신체를 보호해주는 기능성과 실용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전문 산악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유럽발 아웃도어 브랜드들은 기능성과 함께 감각적인 컬러감으로 국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지만, 국내 라이프스타일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근래 들어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 개발과 기능성 제품의 복합화를 통해 아이더, 밀레, 라푸마 등 유럽 아웃도어 브랜드의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
한편, 국내 아웃도어 시장은 매년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국내 아웃도어 시장 규모는 약 5조 8천억 원에 이르며, 이는 유럽 전체 아웃도어 시장 규모인 약 2조 원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와 같은 급성장세 속에서 국내 아웃도어 브랜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노스페이스, 코오롱스포츠, K2 등의 브랜드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블랙야크 등의 후발주자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들 브랜드는 각자의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며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경쟁하고 있다. 노스페이스는 전문성과 기능성을 강조하는 반면, 코오롱스포츠는 자연과 함께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내세우고, K2는 새로운 도전과 모험을 내세우고 있다. 한편, 블랙야크는 합리적인 가격과 세련된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처럼 국내 아웃도어 시장은 브랜드 간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각 브랜드들이 차별화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2.2. 아웃도어 소비자 동향 및 특성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직장에서의 주5일제 실시가 늘어나면서 흔히 등산복으로 불리던 아웃도어 패션이 조깅이나 산책, 낚시 등에서 간편하고 활동성 있는 레저복과 출퇴근용 일상복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또한 중/고등학생들 사이에서도 여러 가지 아웃도어 브랜드와 제품이 유행하게 되면서 소비자들의 폭이 넓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웰빙 바람이 의류 식품 등 많은 영역에서 거센 바람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와 함께 아웃도어 스포츠의 저변이 확대되며 제품 소비자층이 넓어졌다. 아웃도어 시장도 웰빙 트렌드에 편승하여 건강한 여가문화를 즐기기라는 전략으로, 고품질 제품을 앞세워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다. 또한 여성 등산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도심에서도 아웃도어를 즐겨 입는 '아웃트로족'이 늘고 있다. 보드복이나 등산재킷은 운동 시에만 입는다는 고정관념이 깨진 지 오래이며 스포츠 의류를 생활에 접목하는 합리적 스포츠 마니아층이 늘고 있다.


3. 노스페이스 SWOT 분석
3.1. 강점(Strength) 요인 분석

노스페이스의 강점(Strength)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스페이스는 아웃도어 마니아층 뿐만 아니라 청소년, 여성 소비자들까지 소비자층을 확대하며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대...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shtmqhd/220232909764
www.thenorthfacekorea.co.kr
www.brandstock.co.k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아웃도어 웨어 회사의 프로모션 전략에 관한 연구’(2013)
한국의류산업학회 - ‘연구논문 : 30~50대 남녀의 아웃도어 웨어 착용실태 및 인식조사’(2013)
한국의류학회 - ‘패션 아웃도어웨어의 시장분석 및 과제’(2013)
아웃도어 웨어 스타일 분석과 포지셔닝에 대한 연구 : 2007년 이후 해외 컬렉션과 글로벌 아웃도어 웨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장영선, 2012)
패션 브랜드 아이덴티티 특성 연구 및 개발 : 스포츠 웨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이은선, 201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