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흥선대원군 생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흥선대원군 - 개혁가인가, 보수주의자인가
1.1. 흥선대원군의 생애와 개혁정치
1.2.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
1.3. 흥선대원군에 대한 평가
2. 고종의 생애와 업적
2.1. 개요
2.2. 고종의 출생과 생애
2.3. 왕위 계승과 흥선대원군의 섭정
2.4. 구한말의 시대적 상황
2.5. 고종의 업적
2.5.1. 강화도조약과 개항
2.5.2. 대한제국의 선포
2.5.3. 광무개혁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흥선대원군 - 개혁가인가, 보수주의자인가
1.1. 흥선대원군의 생애와 개혁정치
흥선대원군은 조선시대 왕족으로 정치가였다. 자는 시백, 호는 석파이며 이름은 하응이다. 영조의 5대손이며 조선 제26대 왕 고종의 아버지이다. 흥선대원군은 3대에 걸친 세도정치 아래에서 안동 김씨 가문의 비위에 거슬리지 않기 위해 무뢰한과 어울리며 구걸하는 등 어려움을 겪다가, 조대비와의 밀약을 통해 철종의 후사 없는 죽음 이후 둘째 아들 고종을 왕위에 올려 세워져 대원군에 봉해졌다.
고종이 왕이 되고 나자 흥선대원군은 왕권 강화와 개혁 정치에 나섰다. 당시 안동 김씨가 지배하던 세도정치를 뿌리 뽑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능력 있는 인재를 등용하고 비변사의 역할을 축소하여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부활시켰다. 또한 정치적 기반이 된 서원 600여 개를 철폐하여 47개만 남겨두었다.
더불어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전정에서는 토지 대장에서 누락된 토지를 찾아내고 지주의 토지 겸병을 금지하였으며, 양반에게도 군포를 징수하는 호포제를 실시하였다. 또한 환곡제를 사창제로 개선하여 백성의 부담을 줄이고자 하였다.
이처럼 흥선대원군은 왕권 강화와 정치·사회 개혁을 통해 세도정치와 삼정(전정, 군정, 환곡)의 폐단을 바로잡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비록 백성들의 원성을 사기도 하였지만, 당시 조선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개혁가적 면모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1.2.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
흥선대원군은 집권기간 동안 서구 세력의 차단을 위한 강력한 쇄국정책을 시행하였다. 그는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등 당시 서양 열강들이 조선에 침략해오자 이에 강력히 대응하였다.
병인양요는 1866년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에 침입한 사건이다. 프랑스는 조선 신교도 추방 정책에 불만을 품고 군대를 보내 강화도를 점령하려 하였다. 하지만 흥선대원군의 지휘 아래 조선군이 완강히 저항하여 프랑스 군대를 격퇴하였다. 이후 조선은 병인박해를 단행하여 프랑스 선교사 9명과 신도 8천여 명을 처형하는 등 가톨릭 신자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을 가하였다.
또한 1871년에는 미국 함대가 강화도를 침략하는 신미양요가 발생하였다. 이때도 흥선대원군은 백골한국군을 동원하여 미국 해군을 물리쳤다. 이후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워 서양 오랑캐의 침략을 단호히 거부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이처럼 흥선대원군은 서양 열...
참고 자료
고종 44년의 비원, 장영숙, 너머북스, 2010
고종의 친정체제 형성과 그 성격, 최선희, 전남대학교, 2003
고종의 군주권 강화와 궁내부, 조한숙, 연세대학교, 2015
대한 제국 정치사 연구, 서영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고종시대의 재조명, 이태진, 태학사, 2000.
조약으로 본 한국 근대사, 최덕수 외, 열린책들, 2010.
고종은 외세에 어떻게 대응했는가, 현광호, 신서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