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직 내 정서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정서 관리의 중요성
2.1. 정서 관리의 개념
2.2. 정서 관리의 필요성
3. 정서 관리를 위한 리더의 역할
3.1. 압박 관리
3.2. 의미 관리
3.3. 완벽주의 관리
4. 효과적인 정서 관리 방안
4.1. 진정성 확보
4.2. 자부심 향상
4.3. 애착 형성
4.4. 재미 요소 강화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 기업 및 조직들은 지금까지 사람에 대해 주로 호모 이코노미쿠스 가정을 바탕으로 해왔다. 이에 따라 경제적 행위의 주된 목적은 효용 극대화이며, 이를 위해서는 인간은 합리적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물론 일부 경우에는 정서나 애착과 같은 요소들이 경제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이러한 측면들은 보통 부차적인 영향으로 간주되며, 경제적 행위의 설명을 위해 주로 무시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로 인간은 전 생애에 걸쳐 이성적인 측면보다는 정서적인 측면을 통해 더욱 깊은 관계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서적 관계의 우상 정도에 따라 경제적 행위의 선택지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의 주체적 선택과정은 사업가 마인드라고도 불리며, 결국 정서는 이성보다 사업가 마인드와 더욱 깊은 영향관계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은 사회학자 그라노베터가 대기업에서 실직한 직장인들의 창업 활동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정서관리가 중요한 이유 및 조직 내 정서관리와 관련된 사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2. 정서 관리의 중요성
2.1. 정서 관리의 개념
정서 관리의 개념이란, 조직 구성원들의 감정과 감정적인 상태를 인식하고 이를 적절하게 관리하여 조직의 생산성과 직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정서란 감정과 기분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것을 의미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이다. 감정은 어떤 사건이나 대상에 대해 짧게 지속되는 것으로, 긍정 또는 부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반면 기분은 특정 사건 또는 대상이 특정되지 않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감정보다는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감정과 기분은 상호작용하며, 긍정적인 감정은 대체로 사고-행동을 확장해 어떠한 사건 또는 대상, 자극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행동 또는 태도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부정 감정의 경우 사고-행동을 축소해, 대상 또는 자극이 발생했을 때 이를 피해 가려는 행동 또는 태도를 유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정서 관리란 조직 구성원들의 감정과 기분을 인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조직의 생산성과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
2.2. 정서 관리의 필요성
정서 관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관리는 조직 활성화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 마릴린 K. 고윙, 존 D.크래프트 그리고 제임스 캠밸 퀵이 공저한 바에 따르면, 21세기를 준비하기 위해 조직에 가장 필요한 것은 조직 활성화라고 제시하였다. 조직 활성화란 조직이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의 몰입도를 높이고 환경변화에 기민하게 반응하며 문제해결을 위해 구성원 간 긴밀히 연합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런 구성원들이 있는 조직은 생동감 있는 모습으로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경영혁신이 중요하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조직 활성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며, 성과관리와 더불어 정서 관...
참고 자료
박정열, “성과관리 시대가 가고 정서관리 시대가 왔다”, 월간 인재경영, 2021.10.13.
http://www.abouth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91
김은주, “Pick ISSUE Up | 이제 조직의 정서적 문화에 집중하라”, HRD Insight 2016.03.10.
https://hrdinsight.co.kr/bbs/board.php?bo_table=column01&wr_id=100179&page=23
유준희, “소통과 협력은 도움의 조직정서에서 시작된다”, 사람인, 2019.10.16.
https://www.saramin.co.kr/zf_user/hr-magazine/view?hr_idx=407
직장 내 여가경험이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이호건, 전병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지』, 제12권 제3호(통권69호),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 pp1188–1196
팀원의 참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팀 업무유연성과 집단 잠재력의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한주희, 제36집 제1권,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년, pp101–130
교대근무제의 변화를 통한 기업역량 강화』, 이영호, 이정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 pp385–392
외식기업 서비스종사원의 성격요인이 조직시민행동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훈, 『한국조리학회지』, 제18집 제4권, 2012년, pp84–99
건강가정지원센터 종사자가 경험하는 작업사건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신용석, 강태인, 윤성은, 『한국생활과학회지』, 2014
고용조정을 경험한 조직에서 사원들이 느끼는 고용불안과 신뢰 그리고 직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상언, 이영면, 『경영학연구』, 33(2), pp. 503–529
호텔 상사의 조직 내 갈등, 분노, 자기평가, 관계회복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 정서사건이론을 중심으로 -』, 진진희, 조민호, 한양대학교, 2021년
항공사 내 객실승무원의 직무사건이 정서적 반응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서적 사건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장미경, 조민호, 한양대학교, 2022년
조직행동론, 교재
구성원의 감정을 챙겨라, 월간인재경영, 2020. 5. 이경민
R&D HRD Trend Report, 2022. 최고의 팀을 만드는 Key 정서 관리, 박정열
실적관리만큼 중요한 조직 내 정서 관리, 인터비즈, 2023. 5. 5 (출처 : https://blog.naver.com/businessinsight/223093396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