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파킨슨병 개요
1.1. 정의 및 특징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은 기저핵의 뉴런을 침범하는 만성퇴행성 중추신경계 장애이다. "떨림마비(paralysis agitans)"라고도 불리며, 주요 증상으로 운동의 시작과 수행이 느려지는 서행증(bradykinesia), 근육긴장도가 증가하는 경축(rigidity), 휴식할 때의 떨림(tremor), 체위 반사 상실 등이 나타난다. 특발성 파킨슨병은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퇴행성 질환으로, 유전적,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킨슨병의 병태생리는 기저신경절 내부의 여러 곳에 퇴행성 변화가 수반되는 것으로, 특히 중뇌에 있는 흑색질무늬체 경로의 변화로 인해 도파민이 고갈되어 추체외로계가 손상된다. 이로 인해 전반적인 수의적 운동이 억제되지 못해 진전이 생기고 근육긴장도를 상실하여 경직을 유발하며 자세를 변화시켜 비정상적인 걸음걸이와 평형상태를 초래한다.
1.2. 원인 및 유형
파킨슨병의 원인 및 유형은 다음과 같다.
파킨슨병에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먼저 죽상경화증성 파킨슨병은 기저신경절의 허혈로 인해 발생한다. 반면에 특발성 파킨슨병은 가장 흔한 형태로, 원인을 알 수 없는 퇴행성 파킨슨병이다. 특발성 파킨슨병의 경우 유전적,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파킨슨병은 약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항정신성 약물, 항고혈압제, 신경이완제, 마약 등의 약물 사용이 파킨슨병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일산화탄소, 수은, 망간 등의 독성물질 중독, 제초제와 살충제 등의 화학물질 노출 후에 파킨슨병이 발생할 수 있다.
드물게는 뇌 외상, 수두증, 저산소증, 뇌염, 뇌졸중, 뇌종양 등 다른 뇌 질환으로 인해 파킨슨병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대사성 질환이나 동맥경화증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파킨슨병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죽상경화증성, 특발성, 약물 유발성, 독성물질 중독성, 기타 뇌 질환성 등으로 구분된다.""
1.3. 병태생리
파킨슨병의 1차적 병리는 기저신경절 내부의 여러 곳에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이다. 중요한 퇴행성 변화는 중뇌에 있는 흑색질무늬체 경로(nigrostriatal pathway)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정상적으로 흑질에 있는 색소성 신경원(pigmented neuron)에 의해 기저신경절에 제공되는 도파민과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이 고갈되게 된다.
흑질에서 도파민 뉴런의 파괴는 추체외로계 손상을 초래하여 전반적인 수의적 운동이 억제되지 못해 진전이 생기고 근육 긴장도를 상실하여 경직을 유발하며, 자세를 변화시켜 비정상적인 걸음걸이와 평형상태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아세틸콜린의 흥분성 활동이 도파민과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수의적 운동의 시작이나 조절이 어렵게 된다.
특발성 파킨슨병에서는 루이소체(세포질 내 호산성의 봉입체)가 흑질의 남아있는 뉴런에서 발견되는데, 이것은 원인이 알려진 다른 유형의 파킨슨 증상과 다른 점이다. 특히 말기 파킨슨 환자의 50% 이상에서 대뇌피질의 위축과 신경세포의 소실이 발견되며, 이것은 치매와 내인성 우울증을 유발한다.
질병이 진행되면 기저핵에 있는 도파민 수용체가 감소하는데, 이것으로 발병 후 5년이 지나면 도파민성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이 감소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1.4. 주요 증상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떨림(Tremor)은 파킨슨병의 전형적인 증상 중 하나로, 초기 단계에는 약한 떨림과 함께 팔의 움직임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점차 심해지게 된다. 이러한 떨림은 주로 휴식 시에 관찰되며 활동을 시작하면 감소하고 잠을 자는 동안에는 사라진다. 특히 엄지와 검지로 약 또는 동전을 미는 듯한 "약 제조양 떨림(pill-rolling tremor)"이 전형적인 모습이다.
경축(Rigidity)은 관절을 움직일 때 수동적 운동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는 증상을 말한다. 이로 인해 근육이 뻣뻣해지고 움직이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되며, 통증과 피로감도 유발한다. 초기에는 주로 하지에서 나타나다가 후기에는 전신으로 확산되어 자세와 보행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행증(Akinesia)은 능동적인 움직임의 상실 또는 결손을 의미한다. 움직임을 시작하기 어렵고 움직임의 속도가 느려져 체위 변화를 자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