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부정맥의 개요
1.1. 부정맥의 정의 및 종류
부정맥이란 심장의 리듬이 비정상적으로 변하여 심장박동이 불규칙하거나 비정상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부정맥은 크게 빈맥, 서맥, 조기수축으로 나뉘며 각각의 특징이 있다.
빈맥은 심장박동수가 분당 100회 이상으로 증가한 상태를 말한다. 빠른 맥박은 심장 내 비정상적인 전기신호의 발생이나 전달로 인해 발생하며, 심방세동, 심방조동, 심실세동, 동빈맥 등이 대표적인 빈맥 유형이다. 심방세동은 심방에 비정상적인 전기신호가 발생하여 심방의 규칙적인 수축이 이루어지지 않고 심실로 전달되는 신호도 불규칙한 특징이 있다. 심방조동은 심방 내 큰 회귀회로 형성으로 인해 분당 250-350회의 빠른 심방수축이 발생하는 빈맥이다. 심실세동은 심실벽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한 비정상적인 전기신호로 인해 심실이 떨리는 상태로, 심장으로부터 혈액이 박출되지 않아 생명을 위협한다. 동빈맥은 동방결절에서 발생한 빠른 전기신호로 인해 분당 100-160회의 빠른 심장박동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서맥은 안정시 심장박동수가 분당 50회 미만으로 느려진 상태를 말한다. 동방결절에서 정상적인 전기신호가 발생하지 않거나 방실결절을 통한 전도가 지연되어 발생한다. 동서맥은 동방결절에서 발생한 느린 전기신호로 인한 서맥이다.
조기수축은 정상적인 심장 박동 리듬에 비해 일찍 발생하는 심장 수축을 말하며,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유형이다. 조기심실수축은 심실에서 발생한 비정상적인 전기신호로 인해 정상 심장박동 전에 조기에 심실이 수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정맥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각 유형별로 원인, 특징, 위험성 등이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1.2.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의 원인은 크게 심장질환과 그 외의 병적 상태에서 발생된다.
심장질환의 경우 선천성 심질환과 후천성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 전도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선천성 심질환에는 방실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 팔로 4징 등이 있으며, 후천성 심질환에는 허혈성 심질환, 판막 질환, 심근병증 등이 있다. 이러한 질환들로 인해 심장의 전기적 전도 체계에 문제가 발생하여 부정맥이 생길 수 있다.
그 외의 병적 상태로는 산-염기 불균형, 알코올, 카페인, 담배, 결합조직 질환, 약물 부작용, 디기탈리스 독작용, 전기쇼크, 전해질 불균형, 정서적 불안정, 저산소증, 쇼크, 대사성 질환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직접적으로 심장의 전기적 활성에 영향을 미쳐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전해질 불균형은 부정맥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