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습 중간 평가
1.1. 실습 목표와 관련된 실습 내용 및 역할에 대한 평가
실습 목표와 관련된 실습 내용 및 역할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실습생은 실습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실습 안내, 센터 영상 시청, 사업소개, 라운딩 등을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네트워크 자원을 파악하고 타 센터 프로그램을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다문화 이해 교육, 카리타스 교육 등을 받으며 센터 사업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다문화가족 자녀 사회포용안전망 사업, 결혼이민자 역량강화 지원사업, 이중언어환경조성 사업, 통번역 사업, 방문교육 서비스 사업, 언어발달 사업, 가족희망드림지원사업, 다문화가족 사례관리 사업, 다문화가족 교류·소통 공간 사업, 다문화가족지원 거점센터 운영 사업, 아이돌봄 서비스 사업, 공동육아나눔터 사업, 가족 상담 사업 등을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습생은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 센터 사업 1:1 멘토링(가족관계-가족상담사업), 프로그램 홍보지 제작 등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실습생은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업무가 배운 내용보다 더 많다는 것을 느꼈으며, 사업별로 담당자 선생님이 직접 설명해 주셔서 좋았고 질문에 대해 자세한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아직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하지는 못했지만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 과정을 통해 직접 운영을 준비하고 있으며, 센터 사업 1:1 멘토링을 통해 심리검사 진행법, 해석 방법 등을 배울 수 있었다고 한다. 앞으로 남은 실습 기간 동안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실천 역량을 쌓고, 상담 기술과 행정 업무에 대해서도 배우고자 한다고 밝혔다.
1.2. 실습에 임한 자세 및 노력
실습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어르신들과 직접 일하고 계시는 사회복지사 및 요양보호사, 실습 지도자 분들에게 누가 되지 말자고 생각했습니다. 낮은 자세로 알려주시는 것을 최대한 이해하고 행동 하나 하나에 조심하고 생각 하고 행동하려 했습니다. 먼저 인사하고 어르신들에게도 먼저 말을 걸며 따뜻한 관계를 만들려고 노력했습니다. 저에게 주어진 임무에 최선을 다하자는 마음으로 임하였습니다.
1.3. 실습을 통해 배운 점
실습을 통해 배운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은 실습을 통해 기관에서 어떤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행정업무를 통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배울 수 있었다. 실습생은 클라이언트(어르신)들과의 라포형성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교육을 통해 상담과정 및 기법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또한 이론 강의 때의 내용을 직접 임상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배울 수 있었다.
둘째, 실습생은 실습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다양한 업무와 역할을 배울 수 있었다. 사회복지사의 업무가 이론적으로 배운 것보다 더 많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고, 사업별로 담당 선생님의 직접적인 설명을 듣고 질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 실습생은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 홍보물 제작 등의 실제적인 업무를 수행하면서 사회복지사의 업무를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실습생은 상담 사업을 경험하면서 이혼가정 자녀에 대한 부모의 행동, 상담 절차와 방법, 내담자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방법, 심리검사 절차와 해석 등을 배울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상담 기술과 실무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넷째, 실습생은 사회복지개론,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상담 등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실천 기술과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