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주제 선정 배경 및 필요성
1.1. 환자 안전에 대한 중요성
병원은 환자를 치료하는 것과 동시에 유해한 사고로부터 환자를 보호해야 하며, 이를 위해 환자 안전은 매우 중요하다. 의학이 발전할수록 진료 과정도 복잡해져 한 단계라도 사소한 오류가 발생하면 환자에게 심각한 유해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잡한 진료 과정의 오류를 줄여 환자의 안전을 높이는 것은 병원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최근 환자 안전법 개정에 따라 중대한 환자안전사고 의무보고 시행이 도입되면서 환자확인 및 환자안전문화 조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실제로 환자 확인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엉뚱한 환자에게 수술, 투약, 수혈, 주사 등을 할 수 있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환자확인은 병원의 진료 업무의 기본이자 유해사고 예방에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안전장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의 일상 업무 속에 환자확인 행위를 습관처럼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1.2. 환자 확인의 기본 원칙
환자 확인의 기본 원칙은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현장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첫째, 환자의 이름, 등록번호, 생년월일 등 2가지 이상의 확인 정보를 통해 정확한 환자를 식별하여야 한다. 둘째, 환자 스스로 응답하는 방식으로 환자확인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셋째, 환자 안전을 위해 의료진은 환자 확인 절차를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넷째, 환자 확인은 투약, 검사, 수술 등 모든 의료행위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환자 식별정보는 진료기록, 검사결과, 처방전 등 환자 관련 문서에 정확히 기재되어야 한다. 여섯째, 환자 확인이 누락되거나 잘못될 경우 환자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반드시 이를 숙지하고 준수해야 한다.
1.3. 환자 확인 관련 문제점
환자 확인 관련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진의 인식 부족이다. 매일 보는 환자라는 생각으로 인해 환자 확인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번거로움과 바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으로 인해 제대로 된 환자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부 의료진의 경우 익숙하지 않아서 환자 확인을 깜빡하는 경우도 있다."
둘째, 환자 확인 절차의 복잡성과 미비함이다. 환자 확인에 대한 인식 부족, 교육 부족, 모니터링 부재 등으로 인해 환자 확인 절차가 제대로 정착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동명이인을 구분하는 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혼란을 초래하기도 한다."
셋째, 환자 및 보호자의 인식 부족이다. 환자와 보호자들은 환자 확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반복된 질문에 불만과 짜증을 느끼며, 개인정보 노출 및 도용에 대한 우려로 환자 확인에 협조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넷째, 환자인식 팔찌 사용의 문제점이다. 환자인식 팔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비용 문제, 오래 착용 시 떨어짐, 홍보 및 교육 부족 등으로 인해 환자들이 팔찌를 제거하거나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결국 환자 확인과 관련된 문제점은 의료진, 환자, 병원 측면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문제 분석
2.1. 의료진 측면
의료진 측면에서는 매일 보는 환자라는 생각에 환자확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번거롭고 바쁜 업무로 인해 시간이 부족하여 환자확인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의료진들이 익숙하지 않아 깜빡하거나 부정확한 환자확인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인력부족과 과중한 업무로 인해 번거롭고 불만과 짜증이 누적되어 환자확인을 소홀히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신규 및 재직 직원 교육을 강화하여 환자확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2.2. 절차 측면
절차 측면에서는 환자확인에 대한 인식 부족, 교육 부족, 익숙하지 않음, 모니터링 부재, 절차의 복잡성, 제대로 해본 적 없음, 규정 미준수, 동명이인 구분 방법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환자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