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비계의 조립순서 및 방법에 관한 사항
1.1. 설치기준
비계의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능검정기준에 적합한 부재를 사용해야 한다. 둘째, 받침널, 받침판 등 침하방지와 밑둥잡이를 설치해야 한다. 셋째, 기둥간격은 띠장방향 1.5~1.8m, 장선방향 1.5m 이하로 한다. 넷째, 첫 번째 띠장은 지상 2m 이하에 설치한다. 다섯째, 띠장과 장선의 간격은 1.5m 이하로 한다. 여섯째, 기둥간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는다. 일곱째, 벽이음은 수직 5m, 수평 5m 이내에 설치한다. 여덟째, 가새는 기둥간격 16.5m 이하, 띠장간격 15m 이하마다 45도로 설치하고 모든 기둥을 결속한다. 아홉째, 작업발판은 2개소 이상 고정하며 추락 및 낙하물 방지 조치를 한다.
1.2. 조립도
조립도는 비계의 구조와 배치 등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으로, 비계의 안전한 조립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조립도에는 기둥, 띠장, 장선, 가새 등 비계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배치와 연결 상태가 상세히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도에는 비계의 기둥간격, 띠장과 장선의 배치 및 간격, 가새의 설치 위치와 각도 등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비계가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조립도에는 비계의 규격에 따른 부재의 사이즈와 연결 방식도 상세히 표기되어 있어, 현장 작업자들이 비계를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조립도는 비계 설치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도면이라고 할 수 있다.
1.3. 비계 설치시 주의사항
1.3.1. 가새
가새는 강관비계 전체의 도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가새와 교차하는 모든 기둥을 클램프를 사용하여 결속해야 한다"" 수평 가새는 벽이음 철물을 설치한 층의 각 Span마다 설치하며, 장선 방향 가새는 비계의 양끝에 있는 비계의 각층마다 설치한다"" 가새의 역할은 비계 전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도괴를 방지하는 것이므로, 전체 비계 구조에서 가새의 설치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3.2.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
작업발판의 폭은 40cm 이상으로 하며, 발판과 발판 사이의 틈 간격은 3cm 이하로 해야 한다. 발판의 겹침길이는 2cm 이상으로 하며 장선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해야 한다. 발판 1개당 지지물은 최소 2개소 이상 장선에 지지하도록 결속해야 한다. 표준안전난간은 비계의 통로와 끝단의 단부 및 작업발판의 측면 등 추락발생 우려가 있는 장소에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안전한 비계 작업을 위해서는 작업발판과 안전난간의 적절한 설치가 매우 중요하다. 작업발판은 폭과 틈새, 걸침 길이 등을 기준에 맞게 견고히 설치해야 하고,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반드시 안전난간을 설치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1.3.3. 출입구
출입구의 높이가 15m 이상일 경우 출입구 양측의 기둥에 비계용 강관을 덧붙여 보강한다. 출입구 상부의 비계 전·후면에는 사재로 수평재를 보강한다. 이는 출입구의 안전성과 강도를 높여 추락 위험을 낮추기 위함이다.비계 설치 시 출입구의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높이 15m 이상의 출입구에서는 추락 위험이 높아지므로, 비계 기둥에 추가 강관을 설치하여 보강하고 상부에도 수평재를 보강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해 출입구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출입구의 안전한 설계와 관리는 근로자의 보호와 비계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이다.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 규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출입구 관련 안전기준을 준수하여 시공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안전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1.3.4. 우각부
우각부는 비계의 개구부를 없애기 위해 양변의 기둥을 근접하도록 배치하는데, 우각부는 비계의 2층마다 보강강관을 전용철물(크램프)로 체결하여 설치해야 한다. 또한 우각부에는 개구부로부터 추락방지를 위해 발판을 수평으로 설치해야 한다. 이는 우각부에서의 추락 위험을 낮추기 위한 조치이다.
2. 비계작업의 재료 취급 및 설치에 관한 사항
2.1. 강관비계용 강관
강관비계용 강관은 일반구조용 탄소강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