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문화의 이해 중간고사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전문직의 특성
1.1. 전문직의 정의와 특성
1.2. 간호는 전문직인가에 대한 논쟁과 관련된 생각
1.3. 간호전문직의 특성
2. 국제보건분야의 간호사의 역할
2.1. 간호의 정의
2.2. 간호사의 역할
3.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간호사의 특징
3.1. 다문화사회의 정의
3.2. 간호사가 다문화 사회에서 어떻게 역할 해야하는가
4. 부모의 국적에 따른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지 비교
4.1. 연구필요성
4.2. 문헌고찰
4.3. 연구목적
5. 결혼 준비와 관련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5.1. 결혼 준비 교육 프로그램 탐색 및 목적 구체화
5.2. 해당 프로그램의 구성 분석 및 수정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전문직의 특성
1.1. 전문직의 정의와 특성
사회가 급속히 변화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직업들이 많이 생겨났고, 기존에 있던 직업도 세부적으로 나뉘었다. 이로 인해 현대사회에서 전문화는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등장한 전문직은 일반적인 다른 직업과는 달리 구분되는 일련의 직업범주로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한 직업을 뜻한다.
이러한 전문직의 특성으로는 크게 세 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전문직이라는 이름에 맞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는 장기적인 교육 훈련의 결과로 얻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통해 일반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특성이 일반인과 전문직을 가를 수 있는 첫 번째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전문직이라는 사회적 인정을 받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환경에 따라 적응하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자율성을 제시할 수 있다. 전문직은 누구나 습관적으로 수행할 수 없도록 비표준화된 업무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전문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그에 적합한 해결방식을 제공해야 한다. 의사결정 시 객관적 사실을 근거하여 결정해야 하며 이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1.2. 간호는 전문직인가에 대한 논쟁과 관련된 생각
간호는 전문직인가에 대한 논쟁과 관련하여 나는 간호가 전문직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간호사는 4년간의 장기적인 교육과 학습을 통해 전문성을 갖추고 있으며, 사회에서도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직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성과 사회적 인정이 필요한데, 간호사는 이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다. 간호사는 4년의 교육과정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며, 실습을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 실무를 익힌다. 또한 사회에서 간호사에 대한 인식이 과거에 비해 더욱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간호는 인간존중, 과학적 지식, 치료적 돌봄 관계, 건강 증진을 바탕으로 하는 전문분야이다. 간호사는 단순히 처방전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환자의 상황에 맞는 간호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의료진과의 협력을 통해 환자 중심의 치료를 실천한다.
이러한 점에서 간호는 전문직의 특성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간호가 전통적으로 여성이 주로 종사하는 분야라는 점에서 남성 중심적인 사회에서 종속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편견은 점차 개선되고 있으며, 간호사의 전문성과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1.3. 간호전문직의 특성
간호전문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는 체계적인 이론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간호는 단순한 육체적 보살핌을 넘어 과학적 지식에 기반한 전문적인 활동이기 때문이다. 둘째, 간호사는 타 보건의료분야보다 의사소통 능력을 더욱 중시한다. 환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의 정서적 안녕과 치료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신체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환자들과의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 간호사는 환자들과 돈독한 유대감을 형성하여 환자의 치료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타 보건학과에 비해 팀 학습과정이 많이 포함된다. 이는 다양한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환자 치료에 기여해야 하는 간호직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간호학은 인간존중, 과학적 지식, 치료적...
참고 자료
김성재 외 5인, 국제간호, 계축문화사, 2019
이현경 외 6인, 간호학과와 타 보건의료관련 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간 학습 준비도 차이,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 25권 3호, 2019, 6p
고명숙 외 공저, 간호학개론, 수문사, 2019
민중국어사전, 2006
백수미,and 전승훈.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다문화청소년 건강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인문사회 21 13.6 (2022): 4347-4362.
김진영 ( Jinyung Kim ). "한국 다문화가정 청소년 건강격차 문제 : 탐색적 연구."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2019.- (2019): 1-60.
다문화가족지원법. 법률 제17281호, 2020.5. 19., 일부개정. 여성가족부(다문화가족과)
김민혜 and 최은진. (2019). 아동기 사회경제적 환경이 중고령자의 당뇨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42(1), 89-113.
이봉숙, 김지수 and 김기숙. (2013).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개인적, 심리적, 건강행위와 주관적 건강상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1), 64-75.
김광숙 and 문선숙. (2011). 여성 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실천, 결혼만족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5(2), 174-186.
유인영, 이정애.(2013).다문화 가족 환경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행복정도.한국생활환경학회지,20(5),699-707.
Dawson, D.A. (1998). Beyond black, white and Hispanic: race, ethnic origin and drinking pattern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substance abuse, 10 4, 321-39 .
강북구 건강가정지원센터 부부스쿨 프로그램
https://gangbuk.familynet.or.kr/center/lay1/program/S295T322C324/receipt/view.do?seq=119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