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러기 리더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리더십의 개념과 이론
1.1. 리더십의 개념
1.2. 리더십 이론
1.2.1. 전통적 리더십 이론
1.2.2. 새로운 리더십 이론
2. 팔로워십과 리더십의 관계
2.1. 팔로워십의 개념 및 중요성
2.2.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상호보완적 관계
2.3. 바람직한 팔로워십과 리더십의 모습
3. 기러기에게서 배우는 리더십
3.1. 기러기 리더십의 특징
3.2. 기러기 리더십이 주는 시사점
3.3. 자신의 리더십 발견
4.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방향
4.1. 어린이집 경영 환경의 변화
4.2. 원장의 실천적 리더십
4.2.1. 중용의 덕
4.2.2. 원장-교사, 원장-학부모, 교사 간 관계
4.3. 바람직한 원장 리더십의 방향
4.3.1. 변혁적 리더십
4.3.2. 도덕적 리더십
4.3.3. 서번트 리더십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리더십의 개념과 이론
1.1. 리더십의 개념
리더십이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거나 새로운 구조나 절차의 도입을 위해 다른 구성원들의 행위, 신념, 감정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Liphan, 1964) 또한 사회 속에서 어떤 행위자가 다른 행위자에게 자발적인 협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라고 정의되기도 한다."(Mophet, 1974) 즉, 리더십은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의 지도자가 구성원들의 신념과 행동을 지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리더십의 성격은 직위의 속성, 개인의 특성, 실제 행동의 범주를 포함한다."(Katz and Khan)
1.2. 리더십 이론
1.2.1. 전통적 리더십 이론
전통적 리더십 이론은 리더십에 대한 과거의 관점을 잘 보여준다. 먼저 특성론은 리더는 타고난다는 전제 아래 효과적인 리더와 그렇지 못한 리더를 구분하고자 했다. 이는 리더십이 선천적 자질이라는 견해를 보여주며, 교육과 훈련을 통해 리더의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특성론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리더십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행동론은 지도자의 특성보다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가장 효과적인 지도자의 행동유형이 있다고 보고, 리더의 효과성은 리더의 행동유형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대표적인 행동론 연구로는 아이오와 대학의 민주적 리더십, 권위적 리더십, 자유방임적 리더십 유형과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구조성과 배려성에 의한 리더십 유형이 있다. 하지만 여러 상황과 변화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고 구성원과 외부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상황론은 모든 상황에 적합한 최선의 리더십은 없다고 보았다. 지도자의 행동과 부하의 반응, 상황의 상호작용에 의해 리더십의 효과성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상황에 따라 지시형, 판매형, 참여형, 위임형 등 다양한 유형의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리더십의 상황 의존성을 강조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전통적 리더십 이론들은 리더의 특성, 행동, 상황 등에 주목하며 리더십을 설명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들은 리더십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고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후 등장한 변혁적 리더십, 도덕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등의 새로운 이론들이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1.2.2. 새로운 리더십 이론
새로운 리더십 이론은 1980년대 이전의 전통적 리더십 이론과 대비되는 새로운 관점의 리더십 이론들이다. 이는 기대와 동기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사명감을 고취시키고, 지도자가 부하직원에게 잠재력을 계발하도록 도움을 주고 내재적 만족감을 갖게 하는 리더십을 말한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이다.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내 상사-부하의 관계에 대해 기존의 거래적 리더십에서 나아가 상호작용함으로써 부하 스스로 발전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이다. 변혁적 리더는 거래적 리더가 수행하는 명확한 목표 및 보상 제시, 피드백 제공에서 나아가 부하의 목표를 단순히 일차원적인 것에 머물게 하는 것이 아니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영향력을 미치고 이를 달성하는 데까지 영향을 준다. 변혁적 리더십의 속성은 카리스마, 격려,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등이다.
둘째, 도덕적 리더십이다. Sergiovanni는 문화의 개념을 통하여 도덕적 지도성을 설명하였는데, 어린이집은 도덕적 측면의 선의(good-will)와 경영관리적 측면의 성공(success)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어린이집은 바람직한 가치를 전수하는 곳이므로,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어린이집이 이상적이다.
셋째, 감성적 리더십이다. Goleman은 감성지능이 지도성·유효성에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지도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감성적 리더십은 리더의 감성능력, 즉 자기 자신과 주변의 인간관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개인 역량의 자기 인식능력, 자기 관리능력과 사회적 역량의 사회적 인식능력, 관계 관리능력 등의 구성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넷째, 서번트 리더십이다. 서번트 리더십은 부하에게 목표를 공유하고 부하들의 성장을 도모하면서, 리더와 부하 간의 신뢰를 형성시켜 궁극적으로 조직성과를 달성하는 리더십이다. 리더가 부하를 섬기는 자세로 그들의 성장 및 발전을 돕고 조직 목표 달성에 부하 스스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섯째, 초우량(수퍼) 리더십이다. Manz & Sims에 의해 제안된 이 리더십은 구성원 각자가 스스로를 지도(Self Leader)할 수 있도록 만드는 리더십이다. 구성원들이 스스로를 통제하고, 자신의 삶에 진정한 주인이 될 수 있도록 자율적 지도력을...
참고 자료
홍은경, 팔로워십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pp.5~13.
[이인권 대표 문화담론] 위대한 리더십과 위대한 팔로워십, 뉴스프리존, 2019.12.04.확인.
http://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766
박상완(2018), 학교장론 교장의 리더십과 학교 발전, 학지사.
천연미 외(2021). 어린이집 원장 사전직무교육, 공동체.
탁진국, 손주영(2017), 리더십 이론과 실제, 학지사.
Robert G. Owens, Thomas C. Valesky(2010), Organizational behavior in education : leadership and school reform. 김혜숙, 권도희, 이세웅 옮김(2012), 교육 조직 행동론,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