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응고제 복용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상세정보

소개글

"항응고제 복용과 관련된 출혈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심부전 개요
1.1. 정의
1.2. 원인 및 분류
1.3. 병태생리
1.4. 임상증상
1.4.1. 좌심부전
1.4.2. 우심부전
1.5. 진단
1.5.1. 임상 진단 검사
1.5.2. 기타 검사들

2. 치료 및 간호
2.1. 비약물요법
2.1.1. 원인질환과 위험인자의 조절
2.1.2. 활동 내구성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권장
2.1.3. 체액 균형 유지 모니터링
2.1.4. 식이 조절과 저염식
2.1.5. 가스교환 증진과 산소공급
2.1.6. 절대 안정과 심박출량 증진
2.1.7. 불안 조절
2.1.8. 자기관리 및 대상자 교육
2.2. 약물요법
2.2.1. 이뇨제
2.2.2.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2.2.3.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2.2.4. 베타차단제
2.2.5. 알도스테론 길항제
2.2.6. 디기탈리스
2.2.7. β교감신경 효능제
2.2.8. 혈관 확장제
2.2.9. 항응고제와 항혈소판제
2.3. 심장재동기화와 삽입형 제세동기 시술
2.4. 심장이식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심부전 개요
1.1. 정의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펌프 기능(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순환계에 불균형을 초래하는 심근의 기능장애이다. 즉, 심부전은 전부하(용적 부하)나 후부하(압력부하)가 지나치게 증가되므로 심실내 과도한 혈액을 비우지 못하고 심근 수축력과 일박동량(stroke volume)의 감소를 야기하여 결국 심박출량(cardiac output)이 감소된다. 이러한 상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지만 진단명이라기보다는 모든 심장질환이 최종단계에 일러 심장의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나타나는 임상증후군이다.


1.2. 원인 및 분류

심부전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심부전은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데, 심장 혈관(관상동맥) 질환이 2/3 정도로 가장 흔한 원인이다. 그 밖에 심근 질환, 고혈압, 판막 질환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특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심장 기능도 점차 감소하며, 심장에 손상을 주고 심장에 부담을 주는 다른 원인에 의해 심장 기능의 감소가 심해진 경우 심부전이 발생한다.

심부전의 원인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장 혈관(관상동맥) 질환이 2/3 정도로 가장 흔한 원인이다. 둘째, 고혈압은 일반인에 비해 약 2~3배 정도로 심부전의 위험성이 높다. 셋째, 심장 판막 질환으로 인한 감염성 심내막염과 같은 감염성 질환과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넷째, 심근 질환으로 인한 확장성 심근병정, 비후성 심근병증 또는 심근염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다섯째, 선천성 심질환으로 인해 심장이 감당해야 하는 혈액양이 증가하거나 심장이 부담하는 압력이 증가하여 심부전이 일어날 수 있다. 여섯째, 만성 폐질환으로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하면 우심실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져 우측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일곱째, 당뇨병으로 인해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의 빈도가 증가하고, 당뇨병 자체에 의한 심장 근육 손상이 더해져 심부전 발생이 많아진다. 여덟째,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느리게 뛰거나, 또 너무 빨리 뛰는 부정맥도 심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심부전은 이처럼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분류도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심부전의 정확한 원인을 진단하고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치료와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과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개별 환자의 심부전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1.3. 병태생리

심부전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펌프 기능(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순환계에 불균형을 초래하는 심근의 기능장애이다. 이러한 상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지만 진단명이라기보다는 모든 심장질환이 최종단계에 일러 심장의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나타나는 임상증후군이다.

심부전의 발생 기전은 크게 심장 전부하와 심장 후부하의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전부하는 심장의 확장기 말에 심실의 용적이 최고로 증대된 확장기 용량을 말하는데, 심부전이 발생되면 심실확장기말 용적이 늘어나도 심박출량이 증가되지 않아 폐울혈을 일으키며 가벼운 운동만으로도 호흡곤란을 호소하게 된다. 후부하는 심장이 순환 혈관속으로 혈액을 박출해내기 위해 심실이 수축하면서 받는 저항, 즉 수축기 구출저항을 말하는데, 후부하가 증가되면 좌심실의 수축력이 떨어져 박동량 및 심박출량이 감소된다. 또한 심박출량이 감소되면 신관류압이 낮아져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기전이 활성화되면서 말초혈관 수축과 수분정체를 가져오게 된다.

심부전이 발생되면 심장은 이를 보상하기 위해 다양한 기전을 동원하게 되는데, 이를 보상기전 혹은 대상기전이라 한다. 대표적인 보상기전으로 심박수의 증가, 심실의 확대, 심실 비대가 있다. 심부전이 발생되면 심박출량이 감소되므로 이를 보충하기 위해 심근의 수축력과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말초혈관을 수축시키며 항이뇨 호르몬을 분비한다. 하지만 이러한 보상기전은 처음에는 효과적이지만 결과적으로는 비효율적이며, 심장의 과부담을 가중시켜 결국 대상부전을 초래하게 된다.


1.4. 임상증상
1.4.1. 좌심부전

좌심부전은 심장의 좌측 부분, 즉 좌심실의 기능 부전으로 인해 발생한다. 좌심실은 혈액을 전신으로 펌프질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기능이 감소하면 온몸으로 공급되는 혈액량이 줄어들어 말초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불충분해진다.

좌심부전의 대표적인 증상은 호흡곤란이다. 좌심실 기능이 저하되면 폐포모세혈관압이 증가하여 폐부종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특히 기좌호흡(ortholnea)과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paroxysmal nocturnal dyspnea)이 특징적이다. 누워있다가 갑자기 숨이 가쁘고 기침을 하게 되는데, 이는 좌심실 충만압 증가로 인한 폐울혈이 주요 원인이다.

또한 좌심부전 환자는 피로감, 권태감, 집중력 저하 등을 호소하는데, 이는 전신 순환 감소로 인한 조직 관류 저하 때문이다.

좌심실 기능 저하가 지속되면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말초 관류 저하로 발생하는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이에는 청색증, 어지러움, 두근거림, 실신 등이 포함된다.

말초 부종도 좌심부전의 특징적인 증상이다. 과다한 수분 축적으로 인해 하지에 부종이 발생하며, 특히 야간에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외에도 좌심부전 환자들은 심장 두근거림, 흉통, 기침 및 객혈 등을 호소할 수 있다.

이처럼 좌심부전의 임상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증상의 정도와 형태가 달라진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을 자세히 문진하고 신체 검진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1.4.2. 우심부전

우심부전은 전신 정맥계의 울혈과 관련된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정맥압 증가로 인해 경정맥 화장, 체액 정체와 부종이 나타난다. 간과 비장의 비대와 함께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복수가 찬다.

간 비대 및 소화기 증상의 경우, 간 울혈로 간 비대가 나타나면 우측 상복부 압통을 호소한다. 간소엽은 울혈이 심해지면 무산소 상태가 되어 조직이 손상되고 섬유화로 경화된다. 문맥압이 상승하면 소화기관의 정맥 울혈로 식욕 부진, 오심, 소화장애, 복부팽만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복수가 찬다.

부종의 경우, 우심부전 초기 증상으로 전신 정맥계의 혈액 정체로 경정맥 팽창이 나타나고 발목과 하지에 흔히 요흔성 부종(pitting edema)을 보인다. 그 외에도 간, 폐, 복강, 둔부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 부종이 나타난다. 혈류속도의 저하로 사지의 냉감과 청색증이 나타나기도 하며, 야간다뇨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처럼 우심부전은 전신 정맥계의 울혈과 관련된 증상이 주로 나타나며, 간과 소화기계 증상, 부종 등을 특징으로 한다.


1.5. 진단
1.5.1. 임상 진단 검사

임상 진단 검사는 심부전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검사들이다. 먼저 빈혈 검사, 전해질 검사...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1, 2(2017)/ 수문사/ 손경애 외
간호진단과 중재(2012)/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은옥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Sparks and Taylor's Nursing Diagnosis pocket guide 3rd edition(2017)/ Linda Phelps
Nursing Diagnosis Handbook: An Evidence-Based Guide to Planning Care(2013)/ ELSEVIER
Nursing Care Plans. 9th Edition(2014)/ Marilynn E. Doenges, Mary Frances Moorhouse, Alice C. Murr/ F.A DAVIS COMPANY
국내저널:『와파린 복용환자의 항응고요법에 대한 인식과 약물복용이행』(2012)/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제 14권 제1호/ 추상희 외
국외저널:『Current strategies to minimize the bleeding risk of warfarin』(2013)/ David Snipelisky, Fred Kusumoto/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760283/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2015.08.25), 303~379P
고자경, 김정아, 홍정주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Pacific Books(2017.03.02.), 587~604P
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1.10.19) 148~152P, 298~304P
차병헌, 황락경, 장향미, 이화진, 김소정, 김영재, 김정숙, 이범희, 허성수, 황혜민 외, 「알기 쉬운 병리학」, 고문사(2017.08.01.), 249~250P
김수경 외, 「간호사를 위한 임상약리학」, 범문에듀케이션(2015.09.01.), 345~353P, 366~401P
네이버 지식백과, “심부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12&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 병원, N의학정보, “심부전”,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7
대한심부전학회, “심부전이란”, http://khfs.or.kr/know/index.php?tab_num=1
박성규(2010), “CBC 검사에서 혈구수치 이상에 대한 해석과 이해”, 대한내과학회지, 제 78권, 제 5호, 531~539P
김형섭(2012), “급성 심부전의 약물적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제 82권, 제6호, 651~657P
약학정보원, “다이아벡스정500mg”, “라식스 주사”, “리피토정40mg”,“아스피린프로텍트정100mg”
“오로디핀정”, “이소켓0.1%주사”, “중외5%포도당주사액(200mL)”, “트리테이스정2.5mg”, “프리그렐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043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740A0096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7003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375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7911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DDDDD0012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CCCCC0284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740A0369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PPPPP100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