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의료보건글쓰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상급종합병원 남자간호사의 수술실 적응
1.1. 서론
1.2. 남자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1.2.1. 힘
1.2.2. 의사소통
1.2.3. 동시다발적 업무 처리
1.2.4. 성별
1.3.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1.4. 남자간호사의 수술실 적응 분석
1.4.1. 힘
1.4.2. 의사소통 및 협력
1.4.3. 동시다발적 업무 처리
1.4.4. 성별
1.5. 결론
2. 대학글쓰기 전공분야 학습동기와 비전
2.1. 서론
2.2. 본론
2.2.1. 사회복지학 학습 동기
2.2.2. 앞으로의 비전
2.3. 결론
2.4. 출처 및 참고문헌
3. 연명의료 결정과 '인간답게 살기'
3.1. 서론
3.2. 인간답게 산다는 것
3.3. 다큐멘터리 에 관하여
3.4.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상급종합병원 남자간호사의 수술실 적응
1.1. 서론
최근 간호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증가와 취업의 용이성으로 인해 남자간호사는 증가하고 있다. 2013년부터 남자간호사는 연 배출 인원 1천명을 넘기 시작한 이래로, 2017년부터는 전체 간호사 합격자 중 남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이 처음으로 10%를 넘는 등 지속적인 수적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2020년에는 남자간호사 수가 2만명을 돌파하여, 2021년에는 전체 간호사의 16.1%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간호사는 특히 전문화된 간호영역과 신체적인 힘이 요구되는 정신과, 마취과, 응급실, 중환자실 등 남성적인 특징이 강조되는 간호영역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간호영역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남자간호사이지만, 간호 연구에서는 남자간호사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대부분의 연구는 여자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나와 있는 논문 또한 여성을 중심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거의 일반병동과 중환자실에 국한되어 있어, 남자간호사의 임상을 알기에는 부족함이 많다. 따라서 남자간호사에 대한 간호 연구가 더 필요함을 알 수 있다.
1.2. 남자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1.2.1. 힘
남자간호사와 여자간호사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바로 힘의 차이이다. 기본적으로 남성은 여성보다 근육의 양이 더 많으므로 힘의 사용에 있어서는 남자간호사가 여자간호사보다 더 우위에 있다. 실제로 중국의 남자 간호사 경험에 관한 연구에서는 남자들의 장점으로 의료장비를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이 더 뛰어나, 중환자실에서의 남자간호사 배치가 더 많았다고 보고했다. 이를 통해서 남자간호사는 힘을 쓰는 일에 있어서는 여자간호사보다는 우위를 갖고 있으며, 이를 인지하고 있는 병원에서는 남자간호사들을 힘이 필요한 특수부서에 기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2. 의사소통
예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간호사는 남성이 아닌 여성이 주류였다. 그렇기 때문에 간호의 의사소통 부분에서도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남자간호사가 아닌 여자간호사이다. 그래서 보통은 여자간호사가 남자간호사에 비해 의사소통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 연구는 이와 달랐다.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의 전형탁이 진행한 연구에서 남자 간호사가 지각하는 평균 의사소통 정도는 3.79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에 근무하는 여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나타난 수치인 3.42(송희정, 이상미, 2016),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수치인 3.37점(임은주, 이여진, 2014) 보다 높은 점수이다. 이를 봤을 때 임상에서 남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여자보다 뒤쳐지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2.3. 동시다발적 업무 처리
남자간호사들은 보통 단편적이고, 순차적인 업무처리에 익숙한 반면, 여자간호사는 이와 달랐다. 여자간호사들은 동시에 여러가지 일들을 꿰뚫고 처리하였다. 남자간호사들은 이와 같은 동시다발적 업무 처리를 임상에서 일을 수행하는데 가장 어려운 일로 꼽았다. 때문에 이 연구에서 남자간호사들은 신경 써야할 것이 많은 병동 간호 업무가 아닌 다른 업무를 맡기를 원하였다. 이를 통해서 남자간호사들은 여자간호사들과는 달리 동시다발적 업무 처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4. 성별
최근 점점 간호사 면허를 갖게 된 남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간호사들 대부분은 여자이다. 때문에 주류가 아닌 남자가 환자들을 간호하는 과정에서 환자들과 수많은 마찰이 발생한다. 최경혜가 연구한 '간호행위를 거부당한 남자간호사의 경험'에 따르면 남자라는 이유로 간호 행위를 거부당한 남자간호사들의 고충을 들을 수 있다. 특히 젊은 여성의 경우 남자간호사에 대한 거부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엉덩이 주사(근육주사)를 남자에게 맞기 싫다고 다른 여자 간호사를 호출해달라고 하거나, 여자 환자의 도뇨 행위를 성적 접촉 행위로 오해하는 등, 남자라는 성별로 인해 간호행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통해서 남자 간호사의 수가 점점 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인식 개선은 잘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3.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실에서 의사를 보조해 일하는 간호사로, 복잡한 특수기술을 지녀야 한다. 다양한 종류의 수술과 진료과, 집도의의 기호도, 수술 기구 및 장비, 수술에 사용되는 진료재료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익혀야 하고, 수술과정과 수술간호에 집중하여 의료진과 조화를 이루는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수술 환자 확인(time out) 및 계수오류 발생을 최소화하고 환자안전 강화와 응급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긴장상태로 근무하게 되며, 새로운 기술의 도입에 따라 기술의 사용법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갖고 동료간호사들과 교육을 받고 훈련한다.
1.4. 남자간호사의 수술실 적응 분석
1.4.1. 힘
남자간호사의 힘은 수술실 적응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여성보다 근육량이 많기 때문에 물리적인 힘이 강하다. 이에 따라 남자간호사들은 관련 부서인 정신과, 마취과, 응급실, 중환자실 등에 주로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
수술실에는 무거운 수술 장비들이 많이 사용되므로, 이를 다루기 위한 힘은...
참고 자료
노연호, 수술실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2
김지혜, 상급종합병원 남자간호사의 일반병동 적응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제22권 제5호, 2016, 499
유희경, 중환자실 남자간호사의 적응경험, 충북대학교, 2022
전형탁, 남자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 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8
송희정, 이상미, 병원 간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셀프리더십과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2016, 220-229
임은주, 이여진,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 능력 비교.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3호, 2014, 313-321
최경혜, 간호행위를 거부당한 남자간호사의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8
김정옥, 수술실 간호사의 의료기술에 대한 인지와 자기효능감 및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2
윤계숙, 박성애,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15권 제1호, 2009
김현수, 임상에서의 상생, 간호행정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8
대한간호협회, http://www.koreanurse.or.kr/resources/statistics.php, 2021
대한의사협회, http://www.kma.org/stat/sub1.asp, 2017
Evans, J. (2004). Men nurses: a historical and feminist perspective. Journal Advanced Nursing 06 July 2004
Higgins BL, MacIntosh J. Operating room nurses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physician-perpetrated abus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0;57(3):321-327.
Zhang, H. & Tu, J. (2019). The working experiences of male nurses in China: Implications for male nurse recruitment and reten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8(2)
Caldeira SM, Avila MAG, Braga EM. Educ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in surgical and anesthetical recovery center: perception of the nursing team. Journal of Nursing UFPE. 2013;7(8): 5232-5238.
Bigony L, Lipke TG, Lundberg A, McGraw CA, Pagac GL, Rogers A. Lateral violence in the perioperative setting. AORN Journal. 2009;89(4):688-696.
Clark RC, Greenawald M. Nurse-physician leadership: insights into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43(12):653-659.
Salmon P, Young B. Dependence and caring in clinical com-munication: The relevance of attachment and other theori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9;74(3):331-338.
http://www.hyungseul.co.kr, 사회복지학, 학문명백과:사회과학, 최천규, 형설출판사
홍경준(2002), 「공적 이전과 사전 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 분석:기초생활보장제도 도입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0권
정진화(2020), 「복지국가 이론, 사례, 정책」, 명인문화사
http://www.doopedia.co.kr, 사회복지학, 두산백과
박기용 (2017년 11월 13일). ‘존엄사’는 되지만 ‘웰다잉’은 못하는 사회. 한겨례 신문. URL: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818851.html#csidxdfad3d4d3af9f2d8b4adcfd9af16251
이창재 감독. 다큐멘터리 <목숨(The Hospice)>.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