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전문직 표준 및 간호 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1.1. 간호 전문직 표준
1.1.1. 간호 표준의 정의와 구성
간호 표준(nursing standards)이란 간호의 구조, 과정 및 결과적 측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간호에 대한 기대 수준을 의미한다. 간호 표준은 대상자의 다양한 간호 요구에 부응하는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간호실무의 실천 기준을 명시한 것이다.
간호 표준은 일반적으로 간호 실무 표준과 전문직 수행 표준의 두 영역으로 구성된다. 간호 실무 표준은 간호사가 직접 간호를 제공할 때 적용되는 간호과정의 다섯 가지 단계(자료수집,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한편 전문직 수행 표준은 간호사의 역할과 책임에 관한 윤리, 업무수행평가, 교육, 연구, 협동, 자원활용, 간호의 질 관리 등 8개 영역에서의 전문직 수행 기준을 제시한다.
간호 표준은 간호사 개인뿐만 아니라 대상자, 그리고 건강관리 기관을 보호하면서도 간호사가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간호 표준을 숙지하고 이를 실제 간호 실무에 적용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1.1.2. 한국 간호협회의 간호표준 제정
우리나라는 대한간호협회(KNA)에서 2003년에 간호직무표준위원회를 구성하고, 간호표준을 설정하였다. 간호표준은 간호사 자신과 대상자, 그리고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기관을 보호하면서 간호사가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대한간호협회의 간호표준은 "간호실무 표준"과 "전문직 수행표준" 두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실무 표준은 직접 간호 제공 시에 적용되는 자료수집, 진단, 계획, 수행, 평가 등 5개 영역으로, 전문직 수행표준은 전문직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에 관한 윤리, 업무수행평가, 교육, 연구, 협동, 자원활용, 간호의 질 관리 등 8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1.2. 간호 실무의 법적 기준
1.2.1. 간호사 면허제도
간호사 면허제도는 의료법에 따라 간호사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간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평가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간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이나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간호사 국가시험에 합격한 후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받아야 한다. 간호사는 연간 8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받아야 하며, 최초로 면허를 받은 후부터 3년마다 그 실태와 취업상황 등을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전문성과 자질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1.2.2. 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