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벼의 기원과 한국으로의 전파
1.1. 벼의 기원
벼의 기원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장 유력한 벼의 기원설은 인도 아삼 지역을 중심으로 미얀마, 라오스, 중국 윈난성 일대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 벼농사가 약 1만 년~6500년 전부터 시작되었고, 이후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재배종의 근연종인 야생벼 중에서 아시아형이 널리 재배되었고, 이 아시아형 야생벼로부터 1년생의 재배벼가 생겨났다. 아삼·윈난 지역에서 발생한 이들 아시아형 야생벼가 양자강을 따라 중국 화중 지역으로 전파되었고, 이 지역의 벼가 다시 한반도로 전해져 왔다고 본다.
이러한 벼의 기원과 전파 과정은 한국과 중국에서 발견된 벼의 고고학적 유적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경기도 여주군 흔암리, 김포군, 평양 대동강가, 충청남도 부여, 전라북도 부안, 경상남도 김해 등지에서 발견된 수천 년 전의 탄화미와 벼 유적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따라서 벼는 인도 아삼 지역에서 시작되어 중국 남부를 거쳐 한반도로 전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벼의 기원과 전파 과정은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1.2. 한반도로의 전파
우리나라로 벼가 전파된 경로는 크게 두 가지로 알려져 있다.
첫째, 중국의 산둥반도를 통하는 바닷길이다. 한국과 중국에서 발견된 벼의 유적을 통해 볼 때 한강이나 대동강 유역에서 시작된 벼농사가 한반도의 남쪽으로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경기도 여주군 흔암리, 김포군, 평양의 대동강가, 충청남도 부여, 전라북도 부안, 경상남도 김해 등지에서 발견된 약 2,000년 이전의 벼 유적들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를 통해 중국으로부터 바닷길을 통해 운반되어 온 벼가 한반도 중부 및 남부 지역으로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랴오둥 반도를 거치는 육지나 바닷길이다. 중국 산둥반도와 연결된 랴오둥반도를 통해 벼가 한반도로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중국 동북지방에서 출토된 벼 유적과 한국의 벼 유적이 시기적으로 일치하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처럼 벼는 중국의 산둥반도와 랴오둥 반도를 통해 한강이나 대동강 유역으로 유입되었고, 이후 한반도 남부로 전파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최초의 벼 재배 지역은 한강이나 대동강 유역이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이곳에서부터 남쪽으로 이동하며 전파되었다는 것이 학계의 중론이다.
2. 농기구와 농업 발전
2.1. 농기구의 발전과 소사용
농기구의 발전과 소사용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청동기 시대부터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당시의 생산량은 미비했는데, 이는 밭을 일구는 농기구가 부실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접어들면서 철기 문화가 전파되어 농기구에 큰 변화가 생겼는데, 이 시기의 농기구는 현재의 것과 매우 유사했다. 특히 소와 쟁기를 이용하여 밭을 갈면서 농기구의 발전과 함께 곡물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대표적인 농기구로는 곡괭이, 삼태기, 쟁기, 지게, 호미 등이 있다. 곡괭이는 괭이의 한 종류로 날이 좁고 긴편이며 양 끝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져 뾰족한 편이었다. 삼태기는 쓰레기, 거름, 흙, 곡식 등을 담아 나르는 그릇으로 짚이나 새끼로 엮어 만들었다. 쟁기는 거름이나 풀 등을 걷어 올리는 데 사용되었고, 소와 기계력을 이용하여 흙을 파서 일으키는 데 이용되었다. 지게는 짐을 등에 지는 운반도구로 우리 민족이 발명한 것이었다. 호미는 김매기에 사용되었는데 그 형태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달랐다.
이러한 농기구의 발전과 소사용으로 인해 곡물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잉여 작물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더 많은 잉여 작물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고, 그 결과 계급사회가 형성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계급사회를 지배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강력한 통치체제를 구축해 나갔고, 이것이 왕을 중심으로 한 국가 출현의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2. 농기구의 종류
농기구의 종류에는 곡괭이, 삼태기, 쟁기, 지게, 호미 등이 있다.
먼저, 곡괭이는 괭이의 한 가지로, 날의 너비가 좁고 기름하다. 가운데에 괴구멍이 있어 자루를 끼우게 되어 있고, 양쪽 끝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져서 양 끝에 황새 부리처럼 뾰족하게 날이 서 있다.
다음으로 삼태기는 쓰레기·거름·흙·곡식 등을 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