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하준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독후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장하준 교수의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 자본주의 비판
1.2. 책의 영향과 비판의 목소리
2. 기업 경영과 지배구조
2.1. 주주 중심 경영의 문제점
2.2. 이해관계자 중심 지배구조에 대한 고찰
3. 자유 시장 경제와 성장
3.1. 자유 시장 정책의 한계
3.2. 보호무역과 산업 정책의 역할
4. 아프리카의 저개발 문제
4.1. 자유 시장 정책이 초래한 부작용
4.2.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5. 부의 분배와 경제 성장
5.1. 부자를 위한 정책의 문제점
5.2. 소득 재분배와 경제 성장의 관계
6.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의 균형
6.1. 금융시장 발달의 부작용
6.2. 금융과 실물경제의 상호 관계
7. 요약 및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장하준 교수의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 자본주의 비판
장하준 교수의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는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담고 있다. 저자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가 겉으로 보이는 성장과 번영 이면에 다양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고 지적한다.
먼저 저자는 기업 경영과 지배구조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그는 기업이 주주의 이익만을 위해 경영되고 있다고 비판한다. 주주가 기업에 위기가 닥쳤을 때 가장 쉽게 빠져나갈 수 있는 대상이기 때문에, 주주 중심의 경영은 기업의 장기적 성장을 고려하지 않고 단기적 이익에만 몰두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노동자나 납품업체 등 다른 이해관계자들은 기업의 장기적 이익에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저자는 주주 중심의 지배구조에서 벗어나 이해관계자 중심의 지배구조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저자는 자유 시장 경제 체제에 대한 비판을 펼친다. 그는 자유 시장 정책으로 부자가 된 나라는 거의 없다고 말한다. 오히려 과거 많은 선진국들이 보호무역 정책을 채택했기 때문에 지금의 눈부신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고 설명한다. 그런데 현재 선진국들은 그들이 성공했던 방법이 아닌 자유 시장 정책을 개도국에 강요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저자는 과거 폐쇄적이었던 나라들도 성장할 수 있었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가 특화된 산업을 가지고 있어 자유 시장 정책이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이어서 저자는 아프리카의 저개발 문제에 대해 언급한다. 그는 아프리카의 저개발이 숙명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아프리카 국가들이 선진국의 강요에 의해 자유 시장 경제 정책을 도입한 결과 경제가 퇴보했다는 것이다. 저자는 아프리카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원조와 더불어 아프리카 스스로의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부의 분배와 경제 성장의 관계에 대해 다룬다. 그는 부자를 위한 정책으로는 눈에 띄는 경제 성장을 가져오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소득 재분배를 통해 평등한 분배가 이루어진다면 경제 성장이 촉진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에 대해 저자는 부자들의 소득을 줄이는 것만이 아니라 복지 제도 등을 통한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종합적으로 장하준 교수의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는 자본주의 체제의 한계와 문제점을 다각도로 비판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저자는 기업 지배구조, 자유 시장 정책, 아프리카의 저개발, 부의 분배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현재의 자본주의가 초래한 폐해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1.2. 책의 영향과 비판의 목소리
장하준 교수의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는 출간 후 반 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그 여파가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에 대한 호응은 "장하준 신드롬"이라 불릴 만큼 많은 이들의 관심과 감동을 불러일으켰다. 기존에 습득했던 경제 지식을 뒤집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기 때문에 독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장하준 교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장하준에게 속은 23가지'"라는 연재글을 비롯하여 그의 주장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한국경제연구원에서 직접 "장하준이 말하지 않은 23가지"를 출간함으로써 장하준 교수에 대한 비판의 여론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장하준 교수의 책은 전반적으로 자본주의의 이면을 비추면서도 계획경제를 옹호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이에 대해 독자들은 호불호가 엇갈리고 있다. 장하준 교수의 주장을 지지하는 부류와 비판하는 부류 사이에서 독자 개인의 잣대로 판단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이 책을 읽는 과정에서 저자가 제시한 새로운 시각으로 문제를 인식할 수 있었던 반면, 의아함이 앞서는 부분도 존재했다. 이는 필자가 주입식 교육을 받은 세대라는 점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보인다. 장하준 교수의 주장이 기존 지식과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종합하면, 장하준 교수의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는 자본주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면서도 지속적인 비판 여론에 직면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이 가져온 파장은 상당하며, 향후 이 부분에 대한 학계와 대중의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2. 기업 경영과 지배구조
2.1. 주주 중심 경영의 문제점
주주 중심 경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주주 중심 경영은 기업의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저해한다. 주주들은 눈앞의 이익에 주목할 뿐 기업의 장기적 발전에는 관심이 적다. 때문에 기업...
참고 자료
- 장하준,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서울 : 부·키, 2010
- 송원근·강성원, 「계획을 넘어 시장으로」 , 『한국경제연구소』, 2011.2.7.
- 『한국일보세계』, 2011.10.6.일자
- 『경향신문세계』, 2011.10.5.일자
- 김정호, 「장하준에게 속은 23가지」,『데일리안』 http://www.dailian.co.kr/news/searchlist.htm?option=shk1&gubun=sh&search=%EC%9E%A5%ED%95%98%EC%A4%80%EC%97%90%EA%B2%8C (연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