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윌헌팅 정신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굿윌헌팅 정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굿 윌 헌팅'의 의사소통 분석
1.1. 치료적 의사소통 모형
1.1.1. Berne 상호교류 분석모형
1.1.2. Satir 일치형 의사소통 모형
1.1.3. Peplau의 치료적 의사소통 과정
1.2. 영화 소개
1.3. 주요 내용 요약
1.4. 문헌고찰
1.4.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1.4.2. 치료적 의사소통기법
1.5. 의사소통 분석
1.6. 방어기제 찾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굿 윌 헌팅'의 의사소통 분석
1.1. 치료적 의사소통 모형
1.1.1. Berne 상호교류 분석모형

Berne의 상호교류 분석이론은 인간과 사회적 환경 안에서의 인성발달과 관련된 사회적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개인 상호이론이다. Berne에 따르면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치와 신념을 이해하고 개인의 인성 형성에 영향을 받지만, 스스로 자신의 행동 유형과 삶의 양식을 결정하는 자율적인 존재라고 하였다.

Berne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자극의 욕구, 안정적 욕구, 자세의 욕구, 구조의 욕구 등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자극의 욕구는 유아기에 형성된 '쓰다듬기'로 충족되며, 안정적 욕구는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해 주는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충족된다. 자세의 욕구는 부모의 양육 태도에 의해 형성되어 생활방식의 기본 모형인 생활각본을 만들게 된다. 구조의 욕구는 개인이 좋아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과 시간을 보내며 충족된다.

한편, Berne는 자아상태를 아동 자아, 성인 자아, 부모 자아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아동 자아는 생리적 욕구와 정서를 포함하며, 성인 자아는 현실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능력을, 부모 자아는 부모나 권위자로부터 물려받은 태도와 행동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아상태 간의 경계가 파손되거나 한 자아상태가 다른 자아상태를 침범하는 경우 성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Berne는 상호교류의 상태를 상보적 상호교류, 교차적 상호교류, 잠재적 상호교류 등으로 구분하였다. 상보적 상호교류는 서로 원하는 요구가 충족되어 의사소통이 원활한 상태, 교차적 상호교류는 자아상태 간 불일치로 인해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는 상태, 잠재적 상호교류는 겉으로는 다른 내용을 전달하지만 심리적 수준에서는 다른 내용이 전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Berne는 4가지의 기본적인 생활자세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자기긍정-타인긍정, 자기부정-타인긍정, 자기긍정-타인부정, 자기부정-타인부정 등이다. 이러한 생활자세는 주로 유아기에 형성되며 개인의 심리와 행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1.1.2. Satir 일치형 의사소통 모형

Satir 일치형 의사소통 모형은 가족상담 기법으로 발전되며 성장과 완성을 위한 긍정적 에너지를 가지고 생에 대한 역기능적 대처방법을 변화시켜 높은 자기존중감 상태에서 자신을 돌보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고 주장한다. Satir는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① 자기가치에 대한 개인의 감정 ② 인간 및 가족관계에서 명확하고 구체적이고 정직한 의사소통 ③ 인간 및 가족체계에서 개방적이고 융통성 있는 규칙 ④ 개인 및 가족체계와 주변 사회와의 개방적이고 희망적인 관계를 제시한다.

Satir는 자기가치·자기존중 및 의사소통을 가장 중시하고, 타인이 자기를 보는 것과는 별개로 자기가 자신에게 가지는 인정, 애착, 사랑, 존중, 신뢰 등을 인간의 기본 욕구로 보고 자존감을 높이는 것을 중요한 치료과정으로 다룬다.

Satir는 의사소통의 유형을 5가지로 구분한다. 첫째, 일치형 의사소통은 의미 있는 의사소통으로 기능적이고 원만하며 책임감과 정직성, 창의력이 있다. 둘째, 회유형 의사소통은 자기감정과 가치를 무시하고 타인의 의견이나 감정 및 상황을 존중한다. 셋째, 비난형 의사소통은 자신과 상황을 보호하고 타인을 무시·비난하며 강하고 자신감 있다. 넷째, 초이성형 의사소통은 자신이나 타인을 과소평가하고 상황만을 중시하며 매우 정확하고 이성적이다. 다섯째, 산만형 의사소통은 즐겁고 익살맞으며 최이성형과 반대되는 유형이다.

Satir는 일치형 의사소통이 가장 바람직한 유형이라고 보았다. 일치형 의사소통은 현실의 문제를 현실적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들의 의사소통이다. 이는 기능적이고 원만하며 책임감, 정직성, 창의력이 있다. 또한 자신과 타인, 상황을 모두 존중하는 유형이다.

Satir는 일치적 의사소통 기법으...


참고 자료

나동석, 박현순. 2005. 교류분석이론의 임상사회복지실천에서의 함의. 한국사회과학연구.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6-28.
김경화. 2004. 상호교류분석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5(1). 105-126.
김희숙, 강문희, 김미자, 김영숙, 김판희. (2019).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5판]. p.214-221. 학지사 메디컬.
임승주,박은영. (2013). 「사티어 의사소통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변화 경험=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Pattern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fter ‘Satir Communication Education’. 한국간호교육학회Vol.19 No.2 [2013], 151-162(12쪽).
질병관리본부. (2016).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Retrieved May 19, 2019, from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810
박주언. 안현의. 정영은. (2016).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예방과 치료 :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사회적 개입을 중심으로.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Vol.55 NO.2[2016], 89-96(8쪽).
재난정신건강 정보센터. (2016). PSTD 증상의 분류. Retrieved May 19, 2019, from
http://www.traumainfo.org/in/0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