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이송 방법 중 기체를 이송하는 방법과 액체를 이송하는 펌프의 종류를 기술하시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4.10.16
6,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유체이송 방법 중 기체를 이송하는 방법과 액체를 이송하는 펌프의 종류를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원심 펌프
1.1. 원심 펌프의 정의
1.2. 원심 펌프의 원리
1.3. 원심 펌프의 종류
1.3.1. 수직 원심 펌프
1.3.2. Froth pumps
1.3.3. 다단 원심 펌프
1.3.4. 단흡입 / 양흡입 펌프
1.4. 원심 펌프의 장단점
1.4.1. 장점
1.4.2. 단점
1.5. 원심 펌프의 실태
1.5.1. 원심 펌프의 발전
1.5.2. 펌프 기술의 향후 전망

2. 공정모사와 평형 증류
2.1. Plant 산업과 화학공학자의 역할
2.2. 상태방정식의 종류와 특징
2.3. 기체-액체 평형(VLE)
2.4. 증류 공정의 종류 및 특징
2.5. 자유도와 그 의미

3. 실험 장치와 원리
3.1. 펌프의 종류와 특징
3.2. 열교환기의 종류와 특징
3.3. 밸브의 종류와 용도
3.4. Hagen-Poiseuille 식의 유도
3.5. 뉴턴 유체와 비뉴턴 유체의 정의 및 비교
3.6. 점도의 개념
3.7. 레이놀즈 수의 의미

4. 실험 결과 및 고찰
4.1. 실험 결과
4.2. 오차 분석 및 개선 방안
4.3. 추가 실험 아이디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원심 펌프
1.1. 원심 펌프의 정의

원심 펌프는 압력작용을 이용하여 관을 통하여 유체를 수송하는 기계를 의미한다. 원심 펌프는 회전 운동에너지를 유체 흐름의 유체 역학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유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회전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엔진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유체는 회전축을 따라 또는 근처에서 펌프 임펠러로 들어가고, 임펠러에 의해 가속되어, 출구에서 배출기 또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흐르게 된다. 이 펌프에서 중심부의 물이 밖으로 나오면 중심부는 압력이 저하되어 진공에 가까워지고 흡수관의 물이 대기의 압력에 의해 임펠러 중심을 향해 흐르게 되어 물은 연속적으로 펌프 작용을 받아 흡상, 압상 되게 된다.


1.2. 원심 펌프의 원리

원심 펌프는 회전 운동 에너지를 유체 흐름의 유체 역학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유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회전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엔진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유체는 회전축을 따라 또는 근처에서 펌프 임펠러로 들어가고, 임펠러에 의해 가속되어, 출구에서 배출기 또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흐르게 된다. 이 펌프에서 중심부의 물이 밖으로 나오면 중심부는 압력이 저하되어 진공에 가까워지고 흡수관의 물이 대기의 압력에 의해 임펠러 중심을 향해 흐르게 됩니다. 이렇게 하여 물은 연속적으로 펌프 작용을 받아 흡상, 압상 되게 됩니다. 보통 원심펌프의 흡입구가 임펠러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원심 펌프는 고속 회전이 가능하고, 소형 경량이며 구조가 간단하며 취급이 용이, 효율이 높고 맥동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3. 원심 펌프의 종류
1.3.1. 수직 원심 펌프

수직 원심 펌프는 펌프의 축이 수직인 펌프이다. 보통 펌프는 대부분 횡축 펌프지만 깊은 우물용 펌프나 오수용 펌프의 경우 수직이 적당하다. 수직 원심 펌프의 장점은 설치 장소의 면적이 좁을 때나, 양정이 높아서 캐비테이션이 일어날 우려가 있을 때 사용하면 좋다. 즉, 설치 공간이 제한적이거나 양정이 높은 경우에 적합한 펌프 형태이다.


1.3.2. Froth pumps

Froth pumps는 광업 산업 또는 오일의 추출에 모래와 점토에서 풍부한 미네랄이나 역청을 분리하기 위해 froth를 생성하게 됩니다. Froth는 기존의 펌프를 차단하고 프라임 손실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는 공기도 포함합니다. 오랜기간동안 이 문제를 해결할 다양한 방법을 개발했는데 그 중 하나는 펄프 및 제지 업계에서 임펠러에 구멍을 뚫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임펠러의 뒤쪽으로 공기가 빠져 나가고, 특수 배출기가 공기를 다시 흡입 탱크로 배출하게 됩니다.


1.3.3. 다단 원심 펌프

다단 원심 펌프는 둘 이상의 임펠러를 포함하는 원심 펌프로, 각 단계에서 유체가 바깥으로 배출되기 전에 중심 센터로 이동하는 구조이다.

임펠러는 동일한 샤프트 또는 다른 샤프트에 장착될 수 있다. 콘센트에서의 압력이 더 높으면 임펠러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고, 더 높은 유량 출력을 위해서는 임펠러를 병렬로 연결한다. 다단 원심펌프는 보편적으로 보일러 급수 펌프로 이용되며, 350MW 단위의 경우 병렬로 2개의 급수 펌프가 필요로 한다. 각 피드 펌프는 21MPa에서 150I/s를 생산하는 다단 원심 펌프이다.

유체로 전달되는 모든 에너지는 임펠러를 구동하는 기계 에서지에서부터 나오며, 이것은 등엔트로피 압축에서 측정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약간의 온도 상승이 발생한다.


1.3.4. 단흡입 / 양흡입 펌프

단흡입 펌프와 양흡입 펌프는 임펠러의 흡입 구조에 따른 원심 펌프의 대표적인 종류이다.

단흡입 펌프는 임펠러의 한쪽 면에서만 유체를 흡입하는 펌프로, 횡축 단흡입 볼류트 펌프와 입축 단흡입 볼류트 펌프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임펠러의 바깥 지름, 안 지름 및 그 외의 치수가 동일한 경우 양정은 동일하지만 유량은 양흡입 펌프의 절반 수준이 된다. 따라서 송출량이 양정에 비해 적은 경우에는 단흡입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한편 양흡입 펌프는 임펠러의 양쪽 면에서 유체를 흡입하는 펌프로, 횡축 양흡입 볼류트 펌프와 입축 양흡입 볼류트 펌프가 해당된다. 양흡입 펌프는 단흡입 펌프에 비해 두 배의 유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요구되는 송출량이 양정에 비해 많은 경우에는 양흡입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흡입 펌프와 양흡입 펌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임펠러의 흡입 구조로, 이에 따라 유량과 효율 등 펌프의 성능이 달라지게 된다. 단흡입 펌프는 한 면의 흡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작은 유량을 발생시키지만,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반면 양흡입 펌프는 두 면의 흡입으로 인해 큰 유량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따라서 펌프 설계 시 요구되는 성능과 사용 목적, 공간 및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단흡입 펌프와 양흡입 펌프 중 적절한 펌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원심 펌프의 장단점
1.4.1. 장점

원심 펌프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원심 펌프는 고속 회전이 가능하고, 소형 경량이며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효율이 높고 맥동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속 회전이 가능하여 단일 장치만으로도 높은 양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소형 경량의 구조로 인해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취급이 쉬워 유지보수가 용이한 편이다. 또한 효율이 높아 에너지 효율적이며, 맥동이 적어 안정적인 흐름을 보장한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원심 펌프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1.4.2. 단점

경우에 따라 케비테이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펠러는 부유 물질이나 유체에 의해 마모 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특성에 의한 펌프의 내부부식, 저 유량으로 인한 과열, 회전축을 따른 누출, 마지막으로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내부를 채워놔야 하는 단점이 있다.


1.5. 원심 펌프의 실태
1.5.1. 원심 펌프의 발전

원심 펌프의 발전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원심 펌프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원심 펌프의 임펠러에 이물질 등이 붙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 예로,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전산유체공학연구실의 박사과정 김윤성 대표는 '스웹트 임펠러를 갖는 수중축류펌프의 형상변수가 수력학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프로펠러의 경사각 변화에 따라 펌프의 효율과 임펠러의 표면유속이 증가하는 경향을 수치 해석과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특히 임펠러 표면 유속 증가는 임펠러의 자가 표면 세척 기능을 강화해 표면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펌프산업 현장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 노력을 통해 원심 ...


참고 자료

Warren L. McCabe 외 3인 / McCabe의 단위조작 7th / McGraw Hill Education / 2017 / pp. 169~171, 369~394, 559~562, 619~637
유흥석 외 2인 / 플랜트 엔지니어링과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2th / 플랜트 학회 / 2006 / pp. 17~38
Peter Atkins 외 2인 / Atkin’s physical chemistry 11th / 교보문고 / 2020 / pp. 141~142
Zehua Chen, Daoyong Yang / Optimization of the Reduced Temperature Associated with Peng−Robinson Equation of State and Soave−Redlich−Kwong Equation of State To Improve Vapor Pressure Prediction for Heavy Hydrocarbon Compounds / Journal of Chemical & Engineering Data 62 / 2017 / pp. 3489~3490
J.M.Smith 외 3인 / 화학공학 열역학 8th / McGraw Hill Education / 2018 / pp. 71~72
표준일반화학실험/대한화학회/천문각/p.326/물의 밀도
https://en.wikipedia.org/wiki/Viscosity / 물의 점도
단위조작 7판, McCabe 외 2인저, 이화영 외 2인역, 맥그로힐, p.73~79, p.83~97
https://en.wikipedia.org/wiki/Newtonian_fluid / 뉴턴 유체
https://en.wikipedia.org/wiki/Non-Newtonian_fluid / 비뉴턴 유체
https://en.wikipedia.org/wiki/Viscosity / 점도
https://en.wikipedia.org/wiki/Reynolds_number / 레이놀즈 수
https://en.wikipedia.org/wiki/Viscometer / 점도계
모세관내 과도유동현상을 이용한 비뉴턴유체의 점도측정/ 조민태 외 2명/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738~741
유체의 점성이 원심펌프 성능에 미치는 영향/ 김노형/ Trans. Korean Soc . Mech. Eng. B, Vol. 37, No. 6, pp.599~605, 2013
유체의 점도변화가 펌프성능에 미치는 영향/조민태 외 3명/2000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pp.61~64
온도변화에 따른 조영제 점도차이 및 보관온도 측정/강병삼/Journal of Koran Sooiety of Cardio-Vasoular Interventional Technology, 2010.6, p.277-284
반도체칩 봉지재용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의 점도거동/이명천 외 1명/HWAHAK KONGHAK Vol.40, No. 3, June, 2002, pp.310-31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