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기간 및 방법
1.3. 신생아에 대한 문헌고찰
1.3.1. 정의
1.3.2. 자궁 외 생활에 대한 적응
1.3.3. 신생아의 생리적 상태
1.3.4. 신생아의 간호중재
2. 간호과정
2.1. 신생아 간호사정
2.2. 간호진단
2.3. 간호계획
2.4. 간호수행
2.5. 간호평가
3.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TN)
3.1. 임상적 정의
3.2. 병인, 위험 요인, 병태 생리
3.3. 증상
3.4. 합병증
3.5. 진단검사
3.6. 협력관리
4. 신생아 사례 연구
4.1. 대상자 정보
4.2. 간호사정
4.3. 간호진단
4.4. 간호중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출생 후 1개월 동안을 신생아기라고 한다. 신생아기는 지금까지의 자궁 내 생활에서 자궁 외 생활로 전환되는 시기로 신생아는 여러가지 필요한 생리적 변화를 가져온다. 또한 이 시기는 행동발달의 출발점으로 출생과 함께 환경 자극이나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발달하게 된다. 그리고 출생과 더불어 생리적으로 독립된 존재가 된다.
연구주제로 정상 신생아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신생아실에서의 가장 다수의 비율을 차지하며 다른 비정상적 신생아들과 비교할 수 있는 좋은 기준의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신생아 시기는 일생 중 가장 취약한 기간으로 사망률과 이환율이 높아 전체 영아 사망의 2/3이 이 시기에 일어난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학생으로서 대상 신생아가 최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간호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려고 한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연구의 기간은 20**년 8월 18일부터 20**년 8월 29일까지로, **여성병원 신생아실에서 치료 중인 서**님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직접적인 관찰을 기본으로 대상자의 전반적인 기록을 알 수 있는 병원 내 Cardex, 간호기록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전공서적인 아동간호학, 간호과정과 인터넷 조사 등을 참고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3. 신생아에 대한 문헌고찰
1.3.1. 정의
태아가 모체에서 떠난 순간부터 임신, 분만의 영향이 사라지고 태외 생활로의 적응과정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에 있는 소아를 신생아라고 한다."
1.3.2. 자궁 외 생활에 대한 적응
태아는 자궁 내에서 모체의 자궁으로부터 양육과 보호를 받으며 살아왔지만, 출생 후 자궁 외 생활에 적응해야 한다. 신생아가 자궁 외 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며, 이 시기에는 여러 가지 필요한 생리적 변화가 일어난다.
신생아가 자궁 외 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가장 심한 생리적 변화는 태아의 순환체계에서 독립적인 호흡체계로의 전환이다. 자궁 내에서는 태아의 폐가 액체로 차 있었지만, 출생 직후에 첫 울음을 내면서 폐가 팽창되기 시작하고 공기가 폐로 들어가게 된다. 이후 폐의 허파꽈리 풍선이 늘어나면서 모양을 갖추고 호흡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 폐포 내에 있던 폐액의 제거와 흡수가 정상보다 지연되면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이 발생할 수 있다.
자궁 외 생활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변화는 순환체계의 변화이다. 태아 시절에는 태반을 통해 가스 교환이 이루어졌지만, 출생 후에는 폐를 통한 가스 교환으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태아의 순환체계에 존재하던 난원공과 동맥관이 폐쇄되며, 태아의 우-좌 단락이 대정맥-우심방-우심실-폐동맥-폐-폐정맥-좌심방-좌심실-대동맥의 순환체계로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신생아는 독립적인 순환체계를 갖게 된다.
신생아가 자궁 외 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생리적 변화에는 체온조절, 조혈계,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위장관계, 비뇨기계, 피부계, 근골격계, 감염에 대한 저항력, 내분비계 등이 있다. 이들 기관계의 기능은 출생 직후부터 점진적으로 성숙해 나가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생리적 현상이 관찰된다.
신생아기는 태아기에 비해 겪어야 할 적응과정이 많고 취약한 시기이다. 따라서 신생아 간호에서는 이러한 신생아의 생리적 변화와 적응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이를 바탕으로 신생아의 건강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1.3.3. 신생아의 생리적 상태
신생아의 생리적 상태는 다음과 같다.
체온조절은 신생아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생리적 기능이다. 신생아는 체온조절이 미숙하여 외부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열 생산 능력은 적절하지만 열 손실이 성인보다 4배 정도 많다. 이는 신생아의 체표면적이 크고 피하지방층이 얇아 열을 보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양수에 젖어 있고 혈관이 피부 표면에 분포되어 있어 열 손실이 더 큰 편이다. 따라서 신생아는 체온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저체온증이나 고체온에 빠질 위험이 크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보온 관리가 필요하다.
조혈계의 경우, 신생아의 혈액량은 300cc 정도로 성인에 비해 적은 편이며,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수치가 높은 편이다. 이는 출생 직후 적혈구의 조혈이 갑자기 중단되어 적혈구 생성인자 분비가 감소하고, 빠른 성장에 따른 혈액량 급격한 증가, 적혈구 수명의 단축 등의 원인으로 인한 것이다. 이렇게 생리적 빈혈이 발생하지만 대체로 경도이며 3개월 정도가 지나면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다.
또한 신생아는 생리적 황달이 자주 나타난다. 이는 적혈구 파괴가 빨라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하고, 장내 박테리아와 장운동 저하로 빌리루빈의 장간 순환이 증가하여 간 효소의 미성숙으로 인해 배설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대부분 생후 5-7일 사이에 자연적으로 감소한다.
신생아의 소화기계는 매우 미성숙한 편이다. 혀가 큰 편이어서 음식을 깊이 넣어 먹여야 하며, 침샘의 활동도 2-3개월 후에야 활발해진다. 위의 용적도 작아 자주 먹어야 하고, 분문 괄약근이 미숙하여 역류가 잘 일어난다. 장관의 경우 처음에는 태변, 이행변, 모유 수유아의 황갈색 정상변 순으로 변화한다. 또한 간 기능이 미숙하여 황달, 저혈당, 출혈성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소변의 경우 신장 기능이 미숙하여 농축이 어려워 탈수, 산증, 과수분증이 생길 수 있다. 피부는 말단 청색증, 대리석양 피부, 할리퀸 색조 변화 등의 생리적 현상이 나타나며, 털, 반점 등도 관찰된다.
신경계의 반사들은 신생아기에 발달하는데, 모로 반사, 파악 반사, 빨기 반사 등이 있다. 이러한 반사들은 생후 몇 개월 내에 점차 소실된다. 또한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의 감각기능도 출생 시부터 발달하기 시작한다.
이처럼 신생아는 각종 생리적 기능이 미성숙한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에, 섬세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
1.3.4. 신생아의 간호중재
신생아의 간호중재에는 기도유지, 안정된 체온유지, 감염 및 상해로부터의 보호, 영양공급, 예방접종, 신생아 검사, 부모-영아 유대감 증진, 퇴원계획 등이 포함된다.
우선 기도유지가 가장 중요한데, 분만실에서는 30초 이내에 첫 호흡이 있어야 하고 거꾸로 들어 양수를 흘려내리며 흡인을 해준다. 신생아실에서는 고무흡입기를 비치하고 기도 내 분비물을 배액하기 위해 head down position을 취하게 하며 활력징후를 면밀히 관찰한다.
다음으로 체온조절이 미숙한 신생아에게 적절한 보온이 필요하다. 체표면적이 넓고 피하지방이 얇아 열손실이 크므로 환기를 최소화하고 복부 체온을 ...
참고 자료
MEG GULANICK 외 1명(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김미예 외 10명(2014). 신생아간호학. 수문사
조경숙 외 9명(2016).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세브란스병원.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https://sev.iseverance.com/health_info/disease_info/view.asp?con_no=20303
서울아산병원.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http://amc.seoul.kr/asan/depts/neo/K/bbsDetail.do?pageIndex=1&menuId=1761&contentId=67869&searchCondition=&searchKeyword
The New Ballard score. http://www.ballardscore.com/Pages/ScoreSheetInteractive.aspx
Seong-ho Yoon, M.D.(2011). High Flow Nasal Cannula versus Nasal CPAP in Preterm Infants. J Korean Soc Neonatol 2011;18:293-300
Ji Young Chang, M.D.(2010). Predictable risk factors and clinical courses for prolonged transient tachypnea of the newbor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3, No. 3, 2010
Ha-Su Kim, M.D.(2015).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in Transient Tachypnea of the Newborn. Korean J Perinatol Vol.26, No.1, Mar., 2015
김희순 외, 『아동간호학』, 수문사, 2021.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19.
서울아산병원 신생아의학정보,
http://amc.seoul.kr/asan/depts/neo/K/bbsDetail.do?menuId=1761&contentId=67869
MSD 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C%8B%A0%EC%83%9D%EC%95%84%EC%9D%98-%ED%8F%90-%EB%B0%8F-%ED%98%B8%ED%9D%A1-%EB%AC%B8%EC%A0%9C/%EC%8B%A0%EC%83%9D%EC%95%84%EC%9D%98-%EC%9D%BC%EA%B3%BC%EC%84%B1-%EB%B9%88%ED%98%B8%ED%9D%A1
김영혜, 권봉숙, 김소희, 김정미, 손현미, 안민순, 오상은, 이내영, 이영은, 이지원, 정향미, 조인숙, 주현옥(2014)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김미예 외 (2011) 아동간호학의 기초. 군자 출판사.
김미예 외 (2011) 아동의 성장발달과 간호. 군자 출판사.
송경애,박형숙,홍영애,윤은주,이강이,조복희,정경옥,이우숙,엄미란,김순옥,정승교(2011)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최순희(2013) 간호과정. 현문사.
박성주(2014) 아동간호 실습지침서, 포널스 출판사.
네이버건강의약품 http://health.naver.com/drug/pillIdentifier.nhn
[네이버 지식백과] 신생아 [newborn, 新生兒, Neugeborene] (간호학대사전, 1996.3.1, 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