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강 열처리 미세조직 변화 경도观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10.15
5,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탄소강 열처리 미세조직 변화 경도观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1.2. 실험 개요

2. 이론적 배경
2.1. 탄소강의 미세조직
2.1.1. Pearlite
2.1.2. Ferrite
2.1.3. Martensite
2.2. 탄소강의 열처리
2.2.1. Quenching
2.2.1.1. Brine quenching
2.2.2. Annealing
2.2.3. Normalizing
2.3. 비커스 경도시험

3. 실험 방법
3.1. 시편 준비
3.2. 열처리 및 냉각
3.3. 표면 처리
3.4. 조직 관찰
3.5. 경도 측정

4. 실험 결과
4.1. 미세조직 관찰
4.2. 경도 측정 결과

5. 고찰
5.1. Annealing과 normalizing의 경도 값에 대한 고찰
5.2. Water quenching과 brine quenching의 경도값에 대한 고찰
5.3. 탄소함유에 따른 경도 값에 대한 고찰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탄소강의 열처리를 이해하고, 탄소함유량에 따라 또는 냉각방법에 따른 조직과 경도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실험의 주된 목적이다. 전자현미경의 사용법을 익히고 조직시험방법을 학습하며, 비커스경도기의 측정법을 습득하는 것도 목표에 포함된다.


1.2. 실험 개요

이 실험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탄소강의 열처리 방법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와 경도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탄소 함량이 다른 0.2 wt%C와 0.4 wt%C의 두 가지 탄소강 시편을 준비하여, 각각 annealing, normalizing, water quenching, brine quenching 의 열처리 방법을 적용한다. 열처리 후 시편의 미세조직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비커스 경도 시험법으로 경도를 측정한다. 이를 통해 열처리 방법과 탄소 함량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와 경도 변화를 비교 분석한다.


2. 이론적 배경
2.1. 탄소강의 미세조직
2.1.1. Pearlite

탄소강을 서냉하면 철과 탄소가 결합하여 층상 구조의 펄라이트가 형성된다. 펄라이트는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층을 이루고 있는 조직으로, 철강 재료에서 가장 연성이 크고 절삭성과 상온 가공성이 우수하다. 펄라이트의 층상 두께는 등온 변태에 영향을 받으며, 층상 두께에 따라 조대 펄라이트와 미세 펄라이트로 구분할 수 있다. 조대 펄라이트는 층상의 두께가 두꺼운 반면, 미세 펄라이트는 층상 두께가 얇은 특징을 보인다. 즉, 탄소강을 천천히 냉각시키면 조대 펄라이트 조직이, 빠르게 냉각시키면 미세 펄라이트 조직이 형성된다. 이처럼 펄라이트의 미세조직은 냉각 속도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곧 강의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2.1.2. Ferrite

Ferrite는 상온의 탄소강에서 탄소의 고용도가 적으나 723℃에서 최대의 고용도를 나타내는 고용체이다. Ferrite는 극히 연하고, 연성이 크며, 인장강도는 비교적 작다. 또한 전기 전도도가 높고, 담금질에 의하여 경화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Ferrite의 특성은 탄소강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2.1.3. Martensite

탄소강이 고온에서 급격히 냉각될 때 나타나는 침상 조직이 Martensite이다. 탄소강이 냉각 시 탄소 확산을 방해할 정도로 급속히 냉각이 일어날 때 형성되며, 부식 저항이 크고 경도와 인장강도가 대단히 크지만 취성이 크고 연성이 적다.

Martensite는 강을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만든 뒤 급랭하여 생성된다. 오스테나이트에는 다량의 탄소가 고용되어 있지만, 급랭하면 탄소 원자가 확산될 시간이 없어 체심정방정(body-centered tetragonal) 구조의 Martensite가 형성된다. Martensite는 결정구조가 심하게 왜곡되어 있어 경도가 매우 높으나 취성 또한 크다.

Martensite는 일반적으로 담금질(quenching)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담금질은 고온에서 가열된 강을 급냉하여 오스테나이트 상태를 유지시키는 열처리 방법이다. 냉각 속도가 빠를수록 Martensite의 양이 많아지며, 경도 또한 높아진다. 또한 담금질 후에는 내부 응력이 많이 발생하므로, 이를 낮추기 위해 뜨임(tempering) 열처리를 거치게 된다.


2.2. 탄소강의 열처리
2.2.1. Quenching
2.2.1.1. Brine quenching

Brine quenching은 소금물에 담가 급냉하는 열처리 방법이다. 소금물에 퀜칭하면 시편이 냉각될 때 소금 결정체가 형성되어 시편 표면에 부착된다. 이 결정체들이 분해될 때 비열이 물보다 낮은 공기막을 붕괴시키므로, water quenching에 비해 퀜칭 속도가 더 빠르다. 따라서 brine quenching은 water quenching보다 더 ...


참고 자료

최신 금속재료총정리 박일부저 남양문화 2004
재료과학과 공학 김용식저 사이텍미디어 2000
열처리공학 김문일저 반도출판사 1995
강의 열처리실무 홍영환저 기전연구사 1996
금속조직학 최병도저 한국산업인력공단 2003
철강의 현미경사진과해설 남궁철저 도서출판세화 1985
재료시험 김암수저 한국산업인력공단 2003
금속백과사전 대중서림출판 2001
금속용어대사전 도서출판준영 2004
http://blog.naver.com/nkdcom28?Redirect=Log&logNo=60002581310
http://blog.empas.com/lwc1975/9153690
http://blog.naver.com/ssamjee12?Redirect=Log&logNo=110010922715
[1] 권호영 외 3명, 2003, 금속재료, pp 96-98
[2] WILLIAM D.CALLISTER, 2011, 재료과학과 공학 8th edition, pp 363, 419-421, 423
[3] 노대호, 한홍걸, 2014, 금속재료 및 기계공작법, pp 69
[4] George E. Totten, C.E. Bates, N.A. Clinton, 1993, Hand book of Quenchants and Quenching Technology, pp 22
[5] Richard E. Haimbaugh, 2015, Practical Induction Heat Treating 2nd edition, pp 143
[6] 이승평, 1998, 그림으로 설명하는 금속재료, pp 327-328
[7] http://www.kwjs.or.kr/intro/dic_02.htm?board=private&num=238&thread_num=238.00000000000000000000(대한용접접합학회)
[8] Harry Chandler, 1999, Hardness testing 2nd editon, pp 5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