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교육
1.1. 학습자에게 듣기 대본 노출에 대한 논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교육에서 학습자들에게 듣기 대본을 노출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학습자들에게 듣기 대본을 노출하는 것은 학습자의 수준, 학습 목표, 교수 방법 등에 따라 달리 접근해야 한다. 초급 수준의 학습자들에게는 대본 노출이 발음, 어휘 등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중급 이상의 학습자들의 경우 대본 없이도 어느 정도 듣기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대본을 사용하지 않고 억양과 발음에 집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학습 목표에 따라서도 대본 노출의 필요성이 달라질 수 있다. 단순히 듣기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면 대본 없이 진행하는 것이 좋겠지만, 어휘나 문법 등 언어 지식의 향상을 목표로 한다면 대본 활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교수 방법에 따라서도 대본 노출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교수자가 사용하는 교재나 강의 방식이 대본 활용에 적합하다고 판단한다면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 개인의 선호에 따라 대본을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평가 시에는 학습자의 실제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대본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대본 없이도 한국어를 잘 알아듣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교육에서 학습자에게 대본을 노출할지 여부는 학습자의 수준, 학습 목표, 교수 방법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평가 상황에서는 대본 없이 실제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학습자 수준에 따른 듣기 대본 활용
학습자 수준에 따른 듣기 대본 활용은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고려하여 달리 적용되어야 한다. 초급 수준의 학습자의 경우 듣기 대본을 통해 발음, 어휘 등을 학습할 수 있어 대본 노출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반면 중급 이상의 학습자는 어느 정도 듣기 능력을 갖추고 있어 대본 없이도 어휘와 억양, 발음 등에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급 학습자에게는 듣기 대본이, 중급 이상의 학습자에게는 대본 없이 듣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즉,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듣기 대본 활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1.3. 학습 목표에 따른 듣기 대본 활용
학습 목표에 따른 듣기 대본 활용은 외국인들의 한국어 학습 수준과 학습 목표를 고려해야 한다"" 외국인들의 한국어 학습 수준이 초급이나 중급일 경우 듣기 대본을 통해 발음, 어휘 등을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능력이 어느 정도 있는 중급이나 고급 수준의 학습자라면 대본 없이도 어느 정도 듣기 능력을 갖추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대본을 보지 않고 듣기 능력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학습 목표가 한국어 능력 향상이라면 대본 없이 듣기 연습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특정 주제나 어휘 학습이 목표라면 대본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즉, 학습자의 수준과 학습 목표를 고려하여 듣기 대본 활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교수법에 따른 듣기 대본 활용
교수법에 따른 듣기 대본 활용은 다음과 같다.
교수자는 교수 설계를 통해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수업 내용을 진행할지, 언제 어떻게 가르칠지 계획한다. 이때 교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가 교수법에 따른 듣기 대본 활용이다.
교수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교수법에 따라 듣기 대본을 달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교수법을 적용한다면 듣기 대본을 학습자들에게 제공하여 발음, 어휘 등을 설명하고 연습하게 할 수 있다. 과제중심학습법을 활용한다면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