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초기 상담 면접의 이해
1.1. 임상면접의 정의 및 목적
임상면접이란 내담자가 직면한 임상 문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며 진단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임상면접의 궁극적인 목적은 내담자에게 필요한 치료적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내담자와의 라포 형성이 필수적이다. 라포의 형성은 효과적인 개입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Morrison은 좋은 면접자란 내담자와 좋은 치료적 관계, 즉 라포를 만들고 유지하며 짧은 시간 안에 진단을 위해 필요한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수집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1.2. 라포 형성의 중요성
라포 형성의 중요성이다.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신뢰관계 형성은 초기 상담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라포는 효과적인 개입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모리슨은 좋은 면접자란 내담자와 좋은 치료적 관계, 즉 라포를 만들고 유지하며 짧은 시간 안에 진단을 위해 필요한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수집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따라서 초기 상담에서는 내담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와 고민을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3. 초기 면담 기록
1.3.1. 내담자의 기본 정보
내담자의 기본 정보는 다음과 같다. 내담자는 36세의 남성으로, 상담자의 오빠라는 가족 관계에 있다. 전화번호는 비상 연락처와 같이 제공되지 않았다. 종교는 언급되지 않았다. 직업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 건강 상태의 경우, 6개월 전 과거에 비해 피로감과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흡연량도 증가하였으며, 출퇴근 시 쪽잠을 주로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지적 능력에 대한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다.
1.3.2. 내담자의 이야기 경청 및 정보개방 촉진
내담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정보개방을 촉진하는 것은 초기 면담에서 매우 중요하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편안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내담자의 문제나 갈등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경청하면서 주의 깊게 관찰하여 내담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잘 파악해야 한다. 내담자의 말투, 표정, 몸짓 등을 통해 내담자의 감정 상태와 태도를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내담자가 편안하게 상담에 임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격려해야 한다.
상담자는 개방형 질문을 활용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풀어놓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어떤 계기로 상담을 결정하게 되었나요?", "언제부터 이런 문제가 생겼나요?" 등의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담자는 내담자의 말을 잘 들어주며, 공감적인 태도로 반응함으로써 내담자가 안전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끝마치면 상담자는 "그렇군요. 그런 상황이었군요."와 같은 반응으로 내담자의 경험을 인정해주고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이렇게 내담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정보개방을 촉진하는 과정을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배경, 문제, 갈등 등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이후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의 주요 목표를 확인하고,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현재 기능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초기 면담 내담자 사례
2.1. 내담자의 배경
내담자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내담자는 36세의 남자로, 상담자의 오빠이다. 내담자는 최근 여자친구와의 갈등이 잦아져 상담을 결정하게 되었다. 내담자의 안색을 보면 상대적으로 6개월 전에 비해 피곤해 보이는 것이 자주 관찰되며, 저녁 늦게 외출을 하곤 한다. 또한 외투에서 담배 냄새가 은은하게 맡아지는 것으로 보아 흡연량이 조금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적 능력에 문제가 있거나 그렇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스트레스가 쌓여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2. 내담자의 문제 및 갈등
내담자의 문제 및 갈등은 여자친구와의 갈등으로 인한 것이다. 여자친구가 회사를 옮기면서 그녀가 남자 직장동료들과 자주 회식을 하고 야근을 하는 것에 대해 내담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내담자는 여자친구가 그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해주지 못하여 서운함을 느끼고 있으며, 그녀가 자신만 배려하고 남자 직장동료들과의 관계에서 명확한 선을 긋지 않는 것에 대해 속상해 하고 있다. 또한 내담자는 잦은 야근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고 있으며, 스트레스가 쌓여서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상담자의 질문과 내담자의 응답
Q. 그렇군요. 그렇다면 혹시 갈등이 잦아지게 된 계기나, 시기가 있을까요?
A. 여자친구가 회사를 옮기게 되면서 갈등이 잦아지게 된 것 같다. 한 6개월 전부터이다.
Q. 어떤 문제가 갈등의 원인이 되었을까요?
A. 이직하면서 이직한 회사에서 회식 자리가 많은데, 여자친구 회...